$\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 서사에 대한 구조주의 신화론적 고찰
A study on game narratives in a structuralism mythologic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9 no.3, 2009년, pp.3 - 14  

김대진 (경상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게임 서사를 구조주의 신화론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다른 게임의 서사성을 설명해 줄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신화가 게임 서사에게 소재 이상의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가를 살피는 데 있다. 서사적 측면에서 게임과 신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은 계속 있어 왔다. 그러나 그 연구들은 대부분 '영웅 서사'로서의 신화가 게임 서사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들이다. 이 글은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와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이라는 두 구조주의 신화학자의 이론이 게임 서사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연구 결과로서, 구조주의 신화론에서 끌어온 '재구성'과 '동시성'은 글말서사와는 다른 게임의 서사성을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서 자리 매김할 수 있으며, 입말문학으로서의 신화는 게임 서사에게 잊혔던 구술성을 복원시킨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how game narratives are analyzed in a structuralism mythology and make theoretical bases which can explain game narratives, and finds out the meaning of myths in game narratives.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s and myth have been researched. However, these are m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이와는 달리 신화에 대한 관점을 구조주의 신화론으로써 구체화 시키고자 한다. 그래서 앞장에서 밝혔듯이,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다른 게임의 서사성을 설명해 줄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구조주의 신화론의 관점에서 둘 사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 고, 더불어서 신화가 게임 서사에게 소재 이상의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가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 지는 3, 4장에서는 구조주의 신화학자인 레비-스트 로스와 질베르 뒤랑의 이론을 살펴본 후, 두 신화 론이 게임 서사와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가를 논의 해 보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이러한 동시성에 주 목하여 게임의 서사를 살펴보기 위한 뒤랑의 신화 론을 ‘동시성의 사유’라고 부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양극점에 있는 신화와 게임[6]의 조우 에 주목하여, 게임의 서사를 신화론의 측면에서 살 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다른 게임만 의 독특한 서사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신화론의 관점을 끌어와 서로 간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신화가 게임 서 사에게 단순히 소재 이상으로서 어떤 의미를 지니 는가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다른 게임만 의 독특한 서사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신화론의 관점을 끌어와 서로 간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신화가 게임 서 사에게 단순히 소재 이상으로서 어떤 의미를 지니 는가도 검토해 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먼저 신 화의 관점에서 게임 서사를 논의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본 후, 구체적인 논의를 계속해서 이어나가고 자 한다.
  • 본 연구는 양극점에 있는 신화와 게임[6]의 조우 에 주목하여, 게임의 서사를 신화론의 측면에서 살 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다른 게임만 의 독특한 서사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신화론의 관점을 끌어와 서로 간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상의 두 연구는 ‘영웅 서사’로서의 신화가 게 임 서사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는 달리 신화에 대한 관점을 구조주의 신화론으로써 구체화 시키고자 한다. 그래서 앞장에서 밝혔듯이,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다른 게임의 서사성을 설명해 줄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구조주의 신화론의 관점에서 둘 사이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 고, 더불어서 신화가 게임 서사에게 소재 이상의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가도 살펴보고자 한다.
  • 이 글은 글말서사와는 차별화된 게임의 서사성 을 설명해 줄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기존 연 구들이 선점한 ‘영웅 서사’의 관점이 아닌 구조주의 신화론의 관점에서 양자간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살 펴보았다.
  • 이미지 혁명으로 태어난 게임에 대해 이 글에서 는 구조주의 신화학자인 레비-스트로스와 질베르 뒤랑의 이론에 기대어 살펴보고자 한다. 신화론 중 에서도 구조주의 신화론을 게임에 끌어온 이유는, 구조주의가 신화와 게임에 대해 그 각각의 내부를 이루는 요소들의 관계와 체계를 중시 여기고 있어, 이러한 측면에서 구조주의 신화론이 계속해서 살펴 볼 게임의 서사성을 정치하게 설명할 수 있는 실 마리를 제공한다고 추정되기 때문이다.
  • 이상의 두 연구는 게임의 서사를 신화가 아닌 스토리텔링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특징들을 설명 해낸 의미 있는 연구들이다. 이와는 달리 연구자는 기존의 글말 서사와 다른 모습을 지닌 게임의 서 사를 신화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논의의 순서상 먼저 신화가 반영된 게임 서 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구성의 사유가 발휘된 구체적인 예로 주목한 것은 무엇인가? ‘재구성의 사유’가 발휘된 구체적인 예로 먼저 「스타크래프트」의 유즈맵에 주목하고자 한다. 우 리 나라 ‘e-스포츠’를 대표하는, 실시간 전략게임인 「스타크래프트」는 프로게이머와 프로게임단이 창단되는 등 여전히 최고의 인기와 판매량를 유지 하고 있다.
드래곤 로드라는 TRPG 룰북에서 마법사 스킬은 어떤 것이 있는가? ○파이어볼 : 불의 기운을 둥글게 공 모양으로 모아 적에게 날리는 기술 LV:15 ○아이스프리즌 : 적에게 얼음을 떨어뜨리는 기술 LV:18 [레벨이 높을수록 떨어지는 얼음의 개수 증가] ○텔레포트 : 가고 싶은 곳을 파티원과 함께 날 아갈 수 있다. LV:20 ○힐링 타워 : 일정시간 동안 체를 넣어주는 탑 이 하나 생긴다. LV:16
이미지를 다루는 기술문화 산물 중 가장 근래에 등장한 것은 무엇인가? 이미지를 다루는 기술문화 산물 중 가장 근래에 등장한 것은 컴퓨터게임이다. 게임 제작에 필요한 이미지와 프로그래밍 기술은 신화 세계의 재현을 가능하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송태현, 상상력의 위대한 모험가들, 살림, pp.186-187, 2007. 

  2. 김현자, 신화, 신들의 역사 인간의 이미지, 책세상, p.4, 2004. 

  3. 질베르 뒤랑, 유평근 뒤침, 신화비평과 신화분석, 살림, pp.19-20, 1998. 

  4. 가스통 바슐라르, 정영란 뒤침, 공기와 꿈, 이학사, pp.19-21, 2003. 

  5. 가스통 바슐라르, 김병욱 뒤침, 불의 정신분석, 이학사, p.166, 2007. 

  6. 안동준, 전자말 시대의 문학교육, 배달말 26호, p.139, 2000. 

  7. 전경란, 컴퓨터 게임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분석, 고욱 외,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p.59, 2006. 

  8. 박태순, 컴퓨터게임의 서사와 장르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6권 제2호, p.23, 2006. 

  9. 최혜실, 디지털 서사의 미학, 최혜실 편, 디지털 시대의 문화 예술, 문학과 지성사, pp.245-246, 1999. 

  10. 최혜실, 디지털 서사(e-narrative)의 현황과전망, 한국현대문학연구 제8집, p.35, 2000. 

  11. 최혜실, 게임의 서사구조, 현대소설연구 16, pp.365-383, 2002. 

  12. 이정엽, 컴퓨터 게임 스토리텔링의 원리 : 놀이와 서사, 이인화 외, 디지털 스토리텔링, pp.81-97, 황금가지. 

  13. 이정엽,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역사와 장르, 이인화 외,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p.47. 

  14. 김원보, 최유찬, 컴퓨터 게임과 문화, 이룸, pp.29-50, 2005. 

  15. 노창현, 이완복, 게임스토리에 나타난 영웅의 모험의 12가지 단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104-108, 2006. 

  16. 배주영, 최영미, 게임에서의 ‘영웅 스토리텔링’ 모델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4호, pp.109-115, 2006. 

  17. 질레브 뒤랑, 진형준 뒤침, 상상력의 과학과 철학, 살림, pp.38-39, 1997. 

  18. 질베르 뒤랑, 유평근 뒤침, 상상력의 과학과 철학, 살림, 1997, pp.19-24. 

  19. 김형효,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 인간사랑, p.487, 2000. 

  20. 김대진, 전통문화를 재매개한 전자말놀이의 의미, 배달말교육 제28호, p.73, 2007. 

  21. 레비-스트로스, 이동호 뒤침, 신화를 찾아서, 동인, 1994, 85-94쪽. 

  22. 레비-스트로스, 김진욱 뒤침, 구조인류학, 종로서적, pp.204-207, 1983. 

  23. 레비-스트로스, 안정남 뒤침, 야생의 사고, 한길사, p.89, 2007. 

  24. 레비-스트로스, 안정남 뒤침, 야생의 사고, 한길사, p.95., 2007. 

  25. 송태현, 상상력의 위대한 모험가들, 살림, pp.64-65, 2007. 

  26. 이재실, 질베르 뒤랑의 상형구조주의와 신화 방법론, 외국문학 가을호 제10호, 열음사, p.154, 1986. 

  27. 송태현, 상상력의 위대한 모험가들, 살림, pp.105-106, 2007. 

  28. 질베르 뒤랑, 진형준 뒤침,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문학동네, 81, p.552, 2007. 

  29. 레비-스트로스, 안정남 뒤침, 야생의 사고, 한길사, 115, 140, 339쪽, 2007. 

  30. 질베르 뒤랑, 유평근 뒤침, 상상력의 과학과 철학, 살림, 1997, p.555. 

  31. 한국융연구원 C. 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원형과 무의식, 솔, 2006, 368쪽. 

  32. C. G. 융 외, 이창일 외 뒤침, 자연의 해석과 정신, 청계, pp.47-48, 2002. 

  33. 김대진, 저작도구를 활용한 전자말 문학교육 현장 연구, 문학교육학 제27호, pp.263-264, 2008. 

  34. 강종원, 정보문화시대의 지향점 : 연기(緣起)패러다임, 東國思想 제29호, 1998, p.289. 

  35. E. M. Forster, 이성호 뒤침,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p.96, 1993. 

  36. 조동일 외, 口碑文學槪說, 일조각, p.3, 1993. 

  37. 박상우, 게임, 세계를 혁명하는 힘, 씨엔씨미디어, p.142, 2000. 

  38. 김학진 외, 디지털 펀, 재미가 가치를 창조한다, 삼성경제연구소, p.45, 2007. 

  39. 마츠나가 노부후미, 이수경 뒤침, 작은 소리로 아들을 위대하게 키우는 법, 21세기북스, p.23, 2007. 

  40. http://www.intothemap.com 참조. 

  41. 재클린 브룩스 외, 추병환 외 뒤침, 구성주의 교수.학습론, 백의, p.65, 2005. 

  42. 존 백 & 미첼 웨이드, 이은선 뒤침, 게임 세대 회사를 점령하다, 세종서적, p.122, 2006. 

  43. 김용섭, 디지털 신인류, 영림카디널, p.141, 2005. 

  44. 스티븐 스트로가츠, 조현욱 뒤침, 동시성의 과학, 싱크, 김영사, p.73, 2005. 

  45. 김대진, 저작도구를 활용한 전자말 문학교육 현장 연구, 문학교육학 제27호, p.72. 2008. 

  46. 최혜실, 문화 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삼성경제연구소, p.78, 2006. 

  47. 월터 J. 옹, 이기우 외 뒤침,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pp.204-207,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