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 및 방사선검사를 통해 구강 작열감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를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같은 기간 구강 작열감 증후군의 증상 및 병력이 전혀 없고 구강내 병소가 없는 환자를 대조군으로 선택하여 사회적 재적응 평정척도 설문지를 이용하여 생활변화를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MS환자군은 최근 1년간 생활상의 변화를 대조군에 비해 다소 많이 경험하였고, 이는 내원 전 7개월에서 12개월 이내에서 차이를 보였다. 2. 고점자(생활변화량 150점이상)의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3. 설문내용을 6개 범주로 나누었을 때, 6개의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사회생활 범주에서 환자군이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ife changes of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s were evaluated through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SRRS) questionnaire. 67 subjects were included for the study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 (BMS 33 persons, control 34 persons) and investigated in the Dept. of Oral Medicin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는 지금까지 거론되는 것 처럼 그렇게 큰 원인은 아닌 것으로 보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 내지 악화될 수 있는 정신신체질환 중 구강 작열감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의 생활상의 변화를 파악하여 개체마다 스트레스가 구강 작열감을 유발 내지 악화시키는데 얼마나 관여하는 가를 평가함으로써 구강 작열감 증후군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 작열감 증후군은 무엇인가? 구강 작열감 증후군(Burnig mouth syndrome)은 육안적으로 명확히 관찰되는 임상적 징후 없이 설, 구강점막 및 구순을 침범하는 작열양 동통이나 찌르는 듯한 동통 등을 호소하는 질환으로1,2) 혀 전방 2/3, 경구개 전방, 하순 점막에서 주로 호발한다. 1946년 ZisKin에 의해 특발성 구설통(Idiopathic orolingual pain)으로 연구된 이래 설열감, 설통, 구강통, 구강열감 등으로 명명되어 연구되어 왔다.
구강 작열감 증후군을 호소하는 대부분의 환자는 누구인가? 구강 작열감 증후군을 호소하는 대부분의 환자는 폐경기 이후의 여성이며2)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7:1정도로 여성에서 호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4) 구강 작열감 증후군의 발생원인으로는 철분결핍성 빈혈, 악성빈혈, 비타민 B12 결핍, 엽산 결핍, 캔디다증, 정신적 문제, 호르몬 균형의 이상, 지도상설, 편평태선, 구강건조증, 당뇨, 고혈압, 접촉성 알러지 등 여러 가지 전신적 혹은 국소적 원인이 제시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Franzio S. Principles and practice of oral medicine. 2nd ed. Philadelphia, 1995, W.B. Saunders Co.pp395-400 

  2. Steven A, Vincent B. Burning mouth syndrome. Mount Sinai J Med 1988;65:344-346 

  3. Grushka M. Clinical feature of burnig mouth syndrome. Oral Surg 1987;63:30-35 

  4. 염미정, 김종열. 구강작열감 증후군(BMS)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5;20:39-50 

  5. Svesson P, Kaaber S. General health factors and denture function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nd matched control subjects. J Oral Rehab 1995;22:887-895 

  6. Basker RM, Sturdee DW, Davenport JC. Patients with burning mouth : A clinical investigation of causative factor, including the climacteric and diabetes. Br Dent J 1978;145:9-16 

  7. Gorsky D, Silverman S Jr, Chinn H.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ut-come in the burning mouth syndrome. An open study of 130 patie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1;72:192-195 

  8. Papic M, Glickman I. Keratinization of the human gingiva in the menstrual cycle and menopau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50;3:504-516 

  9. Montgomery PW. A study of exfoliative cytology of normal human oral mucosa. J Dent Res 1951;30:12-18 

  10. Trott JR. A desquamative cytological study of healthy oral mucosa. J Periodontol 1995;29:213-220 

  11. Trott JR. A desquamative cytological study of healthy oral mucosa. Acta Anatomica 1962;49:289-296 

  12. Zegrarelli DJ. Burning mouth : an analysis of 57 patie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4;58:34-38 

  13. Holmes TH, Rahe RH,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 Psychosom. Res 1967;11:213-217 

  14. 백기청 외. 스트레스 요인으로서의 생활사건과 통재소재 및 불안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1987;26:75-77 

  15. Wyler AR, Masuda M, Holmes T.H. Magnitude of life events and serious of illness. Psychosom Med 1967;33:115-117 

  16. 고병학 외. 한국인의 생활사건에 관한 예비적 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1981;20:62-63 

  17. 최태진 외. 한국에서의 사회 재적응평가척도에 관한 예비적 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1981;20:131-132 

  18. 홍강의 외. 사회 재적응평가척도 제작. 신경정신의학회지 1982;21:123-135 

  19. 이평숙.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양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집 1984;1-138 

  20. 조대경 외. 정신위생, 초판, 서울, 1984, 중앙적성출판부, pp.75-101 

  21. 김재환 외.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의 한국판 표준화연구III. 정신건강연구 1984;2:278-311 

  22. Seley H. The physiology and pathology of exposure to stress : a treatise based on the concepts of the general adaptation-syndrome and the disease of adaptation 

  23. Stein S, Hart DL, Loft G, Davis H. Symptoms of TMJ dysfunction or related to stress measured by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 Prosthet Dent 1982;47:545-5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