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이 뇌졸중 노인의 시간 사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ifestyle Redesign Program on Time Usage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9 no.3, 2019년, pp.21 - 30  

김형민 (김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전병진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본 연구는 작업 균형(Occupational Balance)과 성공적인 노화연구(Well Elderly Research Study)를 이론적 근거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뇌졸중 노인의 시간 사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뇌졸중 노인 총 40명(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시행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 2주 동안 사전평가를 실시하였고, 이 후 10주 동안 주 7회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이 후 1주 동안은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시간 사용은 통계청(2009) 생활시간 조사표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의 경우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평가도구(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결과 :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시간 사용량 비교 결과 실험군의 경우 휴식과 수면(t=-4.89, p<.001), 여가(t=-4.6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 간 비교 결과 역시 휴식과 수면(t=-2.24, p<.01) 그리고 여가(t=3.57,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삶의 질 비교 결과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6.80, p<.001). 삶의 질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신체적 건강영역(t=6.08, p<.001), 심리적 건강영역(t=5.21, p<.001), 생활 환경영역(t=3.60,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은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뇌졸중 노인의 휴식과 수면의 시간 사용은 줄이고, 여가생활에 참여하는 시간 사용을 늘려주었으며, 그로 인해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s on the time usage and quality of life of seniors with stroke by applying lifestyle redesign programs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Occupational Balance. Method :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0 st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뇌졸중 노인을 대상으로 13주간의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뇌졸중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 적용 후 집단 간 시간 사용과 삶의 질 변화량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주 행동’을 중심으로 연구 대상자들의 하루 24시간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 1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총 30점 만점으로 간단한 인지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인지기능의 이상 유무 및 집단 간 동질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1998).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목적 있는 활동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 각 동작 별로 5단계의 점수로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전 집단 간 동질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질문 중 고통과 불편감(질문 3번), 부정적 감정(질문 4번), 약물에 대한 의존(질문 26번)등의 문항은 ‘매우 많이 그렇다’가 가장 부정적인 반응으로 되어 있어 이들은 채점 시 역 환산 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뇌졸중 노인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 일상적인 생활영역에서 균형이 깨져 있다면 건강과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므로 작업치료 분야에서는 목표 설정과 중재 과정에서 클라이언트들의 시간 사용량을 파악하도록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Baltes, Wahl, & Schmid-Furstoss, 199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 균형과 성공적인 노화연구(Well Elderly Study)를 기반으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뇌졸중 노인들의 시간 사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삶의 배경(Context) 안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작업의 시간 사용 방법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은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Backman, 200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 균형을 이론적 기반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이 뇌졸중 노인의 시간 사용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노인이 겪는 문제점은? 뇌졸중은 뇌에 공급되는 혈류의 차단으로 인해 신경학적 기능이 갑자기 소실되는 것을 말한다(Adamson, Beswick, & Ebrahim, 2004). 대부분의 뇌졸중 노인의 경우 신체적, 인지적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활동은 물론 여가활동 그리고 사회활동에 제한을 받게 된다(Lee, Lee, & Kim, 2019). 또한 뇌졸중 후 장애로 인해 좌절감과 사회 접촉을 피하는 경향을 보이고 삶의 질도 낮아진다(Hopman & Verner, 2003; Leppavuori, Pohjasvaara, Vataja, Kaste, & Erkinjuntti, 2002).
뇌졸중 노인에게 요양시설로의 입소는 두려움과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근원이 되는 이유는? 시설에 장기간 입소한 뇌졸중 노인은 주체성, 독립성, 통제력 등을 상실하게 되고(Song, 2001),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주권이 상실된 ‘발가벗겨진 삶(barley life)’, ‘날 생명(just life)’만이 주어지게 된다(Agamben, 1998). 즉 시설에서 살아가는 삶은 생물학적 생명만을 유지하는데 급급하며, 숨 쉬고 음식을 먹으며 배설하는 기능만으로 전락한다. 이러한 이유로 요양시설로의 입소는 두려움과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근원이 되며 인생 후반기에 겪게되는 새로운 삶의 과제가 된다(Goh, Hwang, & Oh, 2009).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뇌에 공급되는 혈류의 차단으로 인해 신경학적 기능이 갑자기 소실되는 것을 말한다(Adamson, Beswick, & Ebrahim, 2004). 대부분의 뇌졸중 노인의 경우 신체적, 인지적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활동은 물론 여가활동 그리고 사회활동에 제한을 받게 된다(Lee, Lee, & Kim,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통계청. (2009). 2009년 생활시간조사.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 Adamson, J., Beswick, A., & Ebrahim, S. (2004). Is stroke the most common cause of disabilit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13(4), 171-177. 

  3. Agamben, G. (1998). Homo sacer: Sovereign power and bare life. Trans. Daniel Heller-Roazen. Stanford: Stanford UP. 

  4.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8).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 Domain & process edition. 2nd.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6), 625-683. 

  5. Anaby, D. R., Backman, C. L., & Jarus, T. (2010). Measuring occupational balance: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two approache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7(5), 280-288. 

  6. Backman, C. (2004). Occupational balance: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daily occupations and their influence on wellbeing.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1(4), 202-209. 

  7. Backman, C. L., Kennedy, S. M., Chalmers, A., & Singer, J. (2004). Participation in paid and unpaid work by adults with rheumatoid arthriti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31(1), 47-56. 

  8. Baltes, M. M., Wahl, H. W., & Schmid-Furstoss, U. (1990). The daily life of elderly Germans: Activity patterns, personal control, and functional health. Journal of Gerontology, 45(4), 173-179. 

  9. Bejerholm, U., & Eklund, M. (2006). Engagement in occupations among men and women with schizophrenia.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3(2), 100-121. 

  10. Christiansen, C. H. (1996). Three perspectives on balance in occupation. In R. Zemke & F. Clark(Eds.), Occupational science: The evolving discipline (pp431-451). Philadelphia: F. A. Davis. 

  11. Christiansen, C. H., & Matuska, K. M. (2006). Lifestyle balance: A review of concepts and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3(1), 47-61. 

  12. Clark, F. (1993). Occupational embedded in a real life: Interweaving occupational science and occupational therapy, 1993 Eleanor Clarke Slagle lect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7(12), 1067-1078. 

  13. Depp, C. A., & Jeste, D. V. (2006).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4(1), 6-20. 

  14. Edgelow, M. M. (2008). Efficact of an occupational time use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serious mental illness. published master's thesis.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15. Edgelow, M. M., & Krupa, T. (2011).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of an occupational time-use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serious mental illn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3), 267-276. 

  16.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Psychiatry Research, 12(3), 189-198. 

  17. Gallimore, R., Weisner, S., Kaufman, S., & Berheimer, L. (1989). The social construction of ecocultural niches: Family accommodation of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n Mental Retardation, 94(3), 216-230. 

  18. Goh, J. K., Hwang, I. O., & Oh, H. Y. (2009). The experiences of the newly admitted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477-488. 

  19. Hay. J., LaBree, L., Luo, R., Clark, F., Carlson, M., Mandel, D., et al. (2002). Cost-effectiveness of preventive occupational therapy for independent livi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0(8), 1381-1388. 

  20. Hong, S. P, Lee, J. E., & Park, S. H. (2008). The analysis study of time use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issues for individuals with a spinal cord injury in rehabilitation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6(4), 89-98. 

  21. Hopman, W. M., & Verner, J. (2003). Quality of life during and after inpatient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34(3), 801-805. 

  22. Jackson, J., Carlson, M., Mandel, D., Zemke, R., & Clark, F. (1998). Occupational in lifestyle redesign: The well elderly study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2(2), 326-336. 

  23. Jackson, J., Mandel, D., Blanchard, J., Carlson, M., Cherry, B., Azen, S., et al. (2009). Confronting challenges in intervention research with ethnically diverse older adults: the USC well elderly II trial. Clinical Trials, 6(1), 90-101. 

  24. Kim, Y. G. (2010). The effect on Time-use Intervention for the elder with disabilit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4(4), 205-224. 

  25. Kwag, S. W., Sim, K. B., Roh, H. L., & Kim, D. H. (2018).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the quality of lif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8(1), 23-31. 

  26. Law, M., Baptiste, S., Carswell, A., McColl, M., Polatajko, N., & Pollock, N. (1998).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3rd ed.). Ottawa, Ontario, Canada; CAOT publications ACE. 

  27. Lawton. (1999). Methods and concepts for time-budget research on elders. In W. E. Pentland, A. S. Harvey, M. P. Lawton, & M. A. McColl(Eds.), Time use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pp. 107-125).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8. Lee, J. Y., Lee, C. Y., & Kim, T. H. (2019). Comparison of level of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and the healthy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9(1), 47-56. 

  29. Leppavuori, A., Pohjasvaara, T., Vataja, R., Kaste, M., & Erkinjuntti, T. (2002). Insomnia in ischemic stroke patients. Cerebrovascular Diseases, 14(2), 90-97. 

  30. Matuska, K. M., & Christiansen, C. H. (2008). A proposed model of lifestyle balance.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5(1), 9-19. 

  31. Matuska, K. M., & Erickson, B. (2008). Lifestyle balance: How it is described and experienced by women with multiple sclerosis.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15(1), 20-26. 

  32. Min, S. G., Lee, C. I., Kim, G. I., Seo, S. Y., & Kim, D. G.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i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Psychiatry Investigation, 39(3), 571-579. 

  33. Peralta-Catipon, T., & Hwang, J. E. (2011). Personal factors predictive of health-related lifestyle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3), 329-337. 

  34. Phipps, S., & Richardson, P. (2007). Occupational therapy outcomes for cl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nd stroke using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3), 328-334. 

  35. Sandqvist, G., & Eklund, M. (2008). Daily occupations-performance, satisfaction and time use, and relations with well-being in women with limited systemic sclerosi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0(1), 27-35. 

  36. Shah, S., Vanclay, F., & Cooper, B. (1989).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2(8), 703-709. 

  37. Song, A. L. (2001). The effect of lsisure activity program interven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institutionalized older population.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8. Yang, J. B. (2010). A study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4), 1239-1261. 

  39. Yerxa, E. J. (1998). Health and the human spirit for occupa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2(6), 412-4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