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다방면에서 효능이 알려지고 있는 로즈마리를 이용하여 apoptosis 유도기전을 해석하기 위하여 인간유래 자궁암 Hela 세포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즈마리 분획물 중 hexane층과 chloroform층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Hela 자궁암세포의 저해활성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이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로즈마리 분획물 중 hexane층과 chloroform층의 처리에 의하여 apoptosis 억제에 관여하는 Bcl-2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되었으며, apoptosis 유도에 관여하는 Bax 유전자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로즈마리 분획물 중 hexane층과 chloroform층의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3, 7, 9 및 PARP의 활성화와 연관성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cancer effect of Rosmarinus officinalis L. In this study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 of rosemary and their fractions were investigated in vitro. In examining the effect of rosemary methanol extract on the inhibition of growth of Hela, H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로즈마리의 추출물 및 분획물뿐만 아니라 단일성분의 세포사멸 유도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즈마리의 추출물 및 분획물이 여러 가지 암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검색하고 세포사멸 기전을 살펴보았다.
  • 그 이외의 ethyl acetate, butanol, water 분획물에서는 암세포주에 대한 저해 활성이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각각의 암세포주에서는 로즈마리의 hexane, chloroform 분획물이 뛰어난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분획물을 사용하여 Hela 세포주에 대한 세포사멸 유도 기전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즈마리의 성분 중에서 α-Pinene는 무엇인가? 로즈마리에서 추출되는 essential oils는 조미료, 향수 및 의약품으로써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rosmarinic acid는 로즈마리 에서 추출한 2차대사산물의 일종으로 식품의 산패방지 또는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는 등 천연 항산화물로 이용되고 있다(8). α-Pinene은 식물계에 가장 풍부한 terpenoids로써 방충, 항균, 생체활성에 기여하는 물질로 감기, 감염 등의 바이러스성 질환과 신진대사 촉진, 혈액순환 및 지혈 등에 효능을 나타내며(9), apigenin은 염증과 산화스트레스 억제 및 탄수화물대사를 증진하는 효과를 보인다(10,11). 그리고 β-sitosterol은 뇌신경세포의 지질 속에 유리 또는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로 존재하며 구조형성과 여러 대사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스테로이드 호르몬계 화합물의 합성원료로 이용된다(12).
로즈마리의 주요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는 해안에서 많이 자생하고 있고, 지중해 연안이 원산인 상록관목으로 소나무 잎처럼 뾰족한 잎에 장뇌와 비슷한, 산뜻하고 강한 향이 있어 라벤더와 나란히 유럽에서는 예로부터 약, 향수에 사용되었다. 로즈마리의 주요 성분으로는 α-pinene, apigenin, β-carotene, β-sitosterol, betulinic acid, borneol, rosmanol, rosmarinic acid, 1-8 cineol, carnosol, carnosic acid, tannin, 칼슘, 철, 마그네슘, 망간, 인, 칼륨, 아연, 비타민 B 1, B 3, C 등이 있다(7). 로즈마리에서 추출되는 essential oils는 조미료, 향수 및 의약품으로써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rosmarinic acid는 로즈마리 에서 추출한 2차대사산물의 일종으로 식품의 산패방지 또는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는 등 천연 항산화물로 이용되고 있다(8).
로즈마리의 주요 성분 중에서 Borneol는 무엇이며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그리고 β-sitosterol은 뇌신경세포의 지질 속에 유리 또는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로 존재하며 구조형성과 여러 대사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스테로이드 호르몬계 화합물의 합성원료로 이용된다(12). Borneol은 담즙을 촉진하는 물질로 일정량 섭취 시 적당량의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체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소화를 촉진하는데 기여하며, carnosol과 carnosic acid는 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성 중 90%의 효능을 갖는 물질로 세포내의 마이크로좀과 리포좀계에서 지질의 과산화를 강력히 저해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3). 이러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로즈마리는 식품법규 65421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oon JH. 2006. Effects of Curcuma longa L. on some kinds of cancer cells. PhD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 Nam KY. 2000.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of material separation and apoptosis of stilbene derivatives from Cynanchum paniculatum Kitagawa.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 Schulze-Osthoff KD, Ferrari M, Los S. 1998. Apoptosis signaling by death receptors. Eur J Biochem 254: 439-459 

  4. Wylie AH, Kerr JF, Currie AR. 1980. Cell death: the significance of apoptosis. Int Rev Cytol 68: 251-306 

  5. Yu MH. 2003. Antitumor and antioxidant effect of Prunus salicina Lindl. cv. Soldam.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6. Yun KS. 2005. Analysis of essential oil of Rosemarinus offcinalis L. MS Thesis. Sun Moon University, Chungnam, Korea 

  7. Duke JA. 1997. The green pharmacy. Rodale Press, New York, USA. p 6-23 

  8.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9. Park HK. 200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s of Rosemarinus officinalis, Melaleuca altemifolis and Lavendula angustifolia.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Masan, Korea 

  10. Middleton E Jr, Kandaswami C, Theoharides TC. 2000. The effects of plant flavonoids on mammalian cells: implications for inflammation, heart disease, and cancer. Pharmacol Rev 52: 673-751 

  11. Oh EK, Kim HJ, Bae SM, Park MY, Kim YW, Kim TE, Ahn WS. 2008. Apogenin-induced apoptosis in cervical cancer cell lines. Korean J Obstet Gynecol 51: 874-881 

  12. Bouice PJ. 2001. The role of phytosterols and phytosterolins in immune modulation: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Curropin Clin Nutr 4: 471-475 

  13. Frankel EN, Huang SW, Aeschbach R, Prior E. 1996. Antioxidant activity of a rosemary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carnosic acid, carnosol and rosemarinic acid in bulk oil and oil in water emulsion. J Agric Food Chem 44: 131-135 

  14. Green LC, Reade JL, Ware CF. 1984. Rapid colometric assay for cell viability: Application to the quantitation of cytotoxic and growth inhibitory lympolines. J Immuno Methods 126: 131-138 

  15. Nivea MM, Sampietre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6. Oh YL, Eo WK, Hong KY, Kim YS, Kim HY. 2007. The effect of apoptosis related protein expression by cyclosporine in osteoblast. Kosin Medical J ournal 22: 232-239 

  17. Green DR, Reed JC. 1998. Mitochondria and apoptosis. Science 281: 1309-1312 

  18. Srinivasula SM, Ahmad M, Fernandes-Alnemri T, Litwack G, Alnemri ES. 1996. Molecular ordering of the Fas apoptotic pathway: the Fas/APO-1 protease is a CrmA-inhibitable protease that activates multiple Ced-3/ICE-like cysteine protease. Proc Natl Acad Sci 93: 14486-14491 

  19. Zhou Q. 1997. Target protease specificity of the viral serpin CrmA. Analysis of five caspase. J Biol Chem 272: 7797-7800 

  20. Fernandes-Alnemri T, Litwack G, Alnemrk ES. 1994. CPP32, a novel human apoptotic protein with homology to Caenorhabditis elegans cell death protein Ced-3 and mammalian interleukin-1 bata-converting enzyme. J Biol Chem 269: 30761-30764 

  21. Jeon SK, Lee JW, Lee IS. 2007.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and induction of DNA damage on human gastric cancer cell by Rubus coreanus Miquel. J Life Science 17: 1723-17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