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ACUM 기법을 이용한 재활간호사의 직무분석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Rehabilitation Nurse based on DACUM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2 no.1, 2009년, pp.16 - 29  

소희영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정화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박지원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임난영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analyze the duty and the task of rehabilitation nurse in Korea. Method: The definition of rehabilitation nurse and job description was developed based on developing curriculum(DACUM) by panels who have experienced in DACUM analysis and rehabili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활 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된 방법론적, 서술적 조사연구로 재활 간호사의 임무와 업무를 제정하여 체계적인 상급 수준의 간호실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실무 표준 개발을 위한 연구의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 재활간호계의 발전에 따른 수정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고 업무요소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재활원과 재활병원, 제3차 의료기관 재활병동에 근무하는 재활 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분석된 직무의 수행빈도, 중요도 그리고 난이도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론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재활간호사의 직무분석을 통해 재활간호사들이 현장에서 실제로 하고 있는 직무의 영역과 내용을 밝히고, 이러한 직무의 수행빈도, 중요도, 난이도를 조사함으로써 재활간호사가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하는 일들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재활간호사의 구체적인 직무내용과 역할이 파악되면 이는 재활간호사에 대한 인식과 필요를 높이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재활간호를 담당하는 교육자들에게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어 재활간호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근간이 될 수 있을 것이며(Kim, N.
  • 본 연구의 목적은 DACUM 기법으로 재활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에 대한 수행빈도, 중요도, 난이도를 파악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의료계의 급속한 변화에 대비하여 재활간호사의 구체적인 역할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분석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직무분석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최초분석법, 비교 확인법,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법 등이 있다(Kim, N., 2008).
조직내의 인력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조직내의 인력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담당하는 직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 직무분석이 필요하다. 직무분석은 어떤 직책에 있는 사람들이 실제로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명확히 밝힘으로서 수행하는 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직무의 책임과 권한의 소재를 분명히 하여,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업무수행을 도울 수 있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며(Kim, 2006), 직무분석의 결과는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 등으로 작성하여 인력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Kim, E.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법은 무엇을 개발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법인가? , 2008). 이중 DACUM법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법으로 8-12명의 실무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를 중심으로 직무기술서가 작성되므로 특정한 직업분야의 사람들이 수행해야 할 작업이나 능력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인 방법(Byun, Kim, Kim, Ha, & Jeon, 2003)으로 본 연구에서도 이 방법을 적용하여 재활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dams, S. R. (1999). A description of the roles, activities, and skills of clinical nurse specialist in the United States. Clinical Nurse Specialist, 13, 183-190. 

  2. American Rehabilitation Nurse (2009). http://www.rehabnurse.org/ retrieved April, 29. 

  3. Bemreuter, M. E. (2001). The American board of nursing specialist. Nursing's gold standard. JONA's Healthcare Ethics and Regulation, 3, 5-7. 

  4. Byun, S. J., Kim, H. K., Kim, A. R., Ha, H. S., & Jeon, K. O. (2003). Task analysis of Korean transplantation nurse practitioner. J Korean Acad Nurs, 33, 179-188. 

  5. Chun, H. J. (2007).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 for patients with a hemorrhagic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 Coster, W., Haley, S. M., Jette, A., Tao, W., & Siebens, H. (2007) Predictors of basic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in persons receiving rehabilitation services. Arch Phys Med Rehabil, 88(7), 928-935. 

  7. Cowan, D. T., Wilson-Barnett, D. J., Norman, I. J., & Murrells, T. (2008). Measuring nursing competence: development of a self-assessment tool for general nurses across Europe. Intl J Nurs Stud, 45(6), 902-913. 

  8. Hwnag J. H. (2002). A study on the job analysis of legal secreta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9. Kim, D. O. (2001). Issues and prospect of nurse practitioner system in Korea. Proceedings of the Nursing Seminar at Soonchunhyang University, Korea, 29-43. 

  10. Kim, E. (2008). A study on improving librarian job system in public libraries using job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1. Kim, E. Y. (2006). Job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2. Kim, H. S., Kim, S, S. K., & Kang, J. S. (2008). The study on education course for exercise instructors for dementia by DACUM job analysis. J Korean Gerontol Soc, 28, 357-375. 

  13. Kim, K. S., Lim, N. Y., Cho, B. H., So, H., Chon, M. Y., Park, S. J., Lee, H. Y., Kim, J. I., & Cho, N. O. (2005). Roles and functions of the rehabilitation nurse practitioner expected by nurses and doctors in rehabilitation hospital. Korean J Rehabil Nurs, 8(2), 85-93. 

  14. Kim, N. (2008). A basic study on the job analysis for secretaries of big accounting firms in Korea by DACUM meth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5. Kim, N. (2008). A basic study on the job analysis for secretaries of big accounting firms in Korea by DACUM meth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6. Lee, I., & Lee, E. (2006). Concept analysis of stigma. J Rheumatol Health, 13, 53-66. 

  17. Lee, I., & Lee, E. (2006). Concept analysis of stigma. J Rheumatol Health, 13, 53-66. 

  18. Lee, K. J., Kong, E. S., Kim, J. H., Kim, C. K., Kim, H. K., Song, M. S., Ahn, S. H., Lee, Y. H., Jang, S. O., Chon, S. J., Cho, N. O., Cho, M. O., & Choi, K. S. (2004). Roles and functions of the gerontological nurse practioner. J Korean Gerontol Nurs, 6, 125-133. 

  19. Masiero, S., Pierobon, R., Previato, C., & Gomiero, E. (2008). Pneumonia in stroke patients with oropharyngeal dysphagia: A six-month follow-up study. Neurol Sci, 29(3), 139-145. 

  20. Mezey, M. D., McGivern, D. O., & Sullivan-Marx, E. M. (2003). Nurse practitioners; Evolution of advanced practice. New York: Springer. 

  21. Michell, S. (2006). Neurogenic bowel and bladder in the older adult. Clin Geriatric Med, 22(2), 311-330. 

  22.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n Accreditation of Nursing (2005). Core ability and tasks of professional nurse. 

  23. Newton, J. M., Kelly, C. M., Kresser, A, K., Jolly, B.. & Billett, S. (2009). The motivations to nurse: an exploration of factors amongst undergraduate students, registered nurses and nurse managers. J Nurs Manag, 17(3), 392-400. 

  24. Oh, P. J., Kim, I. O., Kim, Y. H., Shin, S. R., Lee, K. S., & Han, S. J. (2006). Task analysis of Korean geriatric care managers. J Korean Acad Nurs, 36, 770-781. 

  25. Pamela, L. E. (2000). Comparing CNS and NP role activities: a replication. Clinical Nurse Specialist, 14, 269-277. 

  26. Pamela, L. E. (2000). Comparing CNS and NP role activities: a replication. Clinical Nurse Specialist, 14, 269-277. 

  27. Pryor, J. (2008). A nursing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and allied health in inpatient rehabilitation. Disability & Rehabil, 30(4), 314-322. 

  28. Post, M. W. M., Gianotten, W. L., Heijnen, L., Lambers, E. J., Hille, R., & Willems, M. (2008). Sexological competence of different rehabilitation disciplines and effects of a discipline-specific sexological training. Sexuality & Disability, 26, 3-14. 

  29. Roberts-Davis, M., & Read, S. (2001). Clinical role clarification: Using Delphi method to establis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ractitioner and clinical specialist. J Clin Nurs, 10, 33-34. 

  30. Smyth, C., Dubin, S., Restrepo, A., Nueva-Espana, H., & Capezuti, E. (2001). Creating order out of chaos: models of GNP practice with hospitalized older adults. Clin Excellence Nurs Practitioner, 5, 88-95. 

  31. University of Virginia Health System (2009). www.healthsystem.virginia.edu/uvahealth/adult_pmr/rehabnur.cfm retrieved April,29. 

  32. Wall, S. (2006). Living with gray: role understanding between clinical nurse educators and advanced practice nurse. Canad J Nurs Leadership, 19, 57-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