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Mothers with Cerebral Palsy Children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2 no.1, 2009년, pp.39 - 46  

김은숙 (연세대학교 의료원) ,  김희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연세대학교 간호정책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mothers with Cerebral Palsy (CP) children, and to determine whether providing social support is an effective strategy to relieve the burden of those mothers. Metho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7, the dat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뇌성마비 환아를 돌보는 어머니가 느끼는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뇌성마비 환아를 돌보는 어머니의 부담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적절한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과의 관계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성마비 환아를 돌보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사회적 지지가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중재방안으로서 타당한지 확인하여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뇌성마비 환아를 돌보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사회적 지지가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중재 방안으로 타당한 것인가 하는 것과 중재방안에 대한 적절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Y 재활병원에서 뇌성마비 진단을 받고 입원치료를 하고 있는 만 2세부터 7세까지의 뇌성마비 환아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6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 기간은 2007년 10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며 이 중 6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장애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가 장애아동을 돌봄으로써 경험하게 되는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의 정도를 확인하고 부담감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부담감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33, p=.
본 논문에서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부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인가?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회적 지지와 장애 기능수준(GMFCS)이 부담감에 유의한 영향 변수로 확인되었으므로 이 요인들을 환아 어머니의 간호중재 시 중요한 변수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며, 향후 뇌성마비 장애아를 대상으로 한 전향 적 연구의 실행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장애아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을 완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Singh (1990)의 연구에 의하면 장애아를 돌보는 가족이 정 상아의 가족에 비해서 경제적, 시간적, 심리적 부담감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부담감을 완화시키지 못하면 전반적으로 경험하는 생의 만족과 안녕에 위협을 받게 되며 더 나아가 장애아의 성장발달과 안녕에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되므로 부담감과 관련되는 요인을 찾아내어 부담감을 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부담감이란 가족 구 성원의 일원이 질병을 갖게 되면서 환아를 돌보아 주는 가족이나 사람이 가지게 되는 반응으로 어떤 두려움이나 죄책감같이 막연하게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느낌, 태도, 감정을 뜻하며(George & Gwyther, 1986)) 이러한 부담감을 완화시키는 완충역할 변인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 사회적 지지를 들 수 있는데,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체제내의 지지망에 의해 제공되는 사회적, 심리적, 물질적 도움을 말하는 것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응을 촉진하고 적응을 돕는 보호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바람직하지 않는 스트레스 발생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개인의 심리적인 적응을 돕고 좌절을 극복케하며 문제해결의 도전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강화하는 측면으로 중요하게 작용한다(Tilden & Weinert,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andt, P. A., & Weinert, C. (1981). The PRQ: A social support system. Nurs Res, 30(5), 277-280. 

  2. Erickson, M., & Upshur, C. (1989). Caretak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A comparison of mothers and infa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m J Ment Retard, 94(3), 250-258. 

  3. George, L. K., & Gwyther, L. P. (1986). Caregivers well being: A multidimensional examination of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adults. Gerontologist 26(3), 253-259. 

  4. Grad, J., & Sainsbury, P. (1963). Mental illness and the family. The Lancet, 9, 544-547. 

  5. Han, S. H., Oh, G. O., & Na, D. M.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mother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6. Lee, M. S. (1995). A study of burde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ongenital metabolic disorders. J Korean Acad Pediatr Nurs, 4(2), 221-229.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annual report, 2007. from http;//www.mohw.go.kr/ volcani. 

  8. Moon, J. H. (1995). Burden and social support in mothers of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9. Montgomery, R. J. V., Gonyea, J. G., & Hooyman, N. R. (1985).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19-26. 

  10. Norvac M., & Guest C. (1989).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Gerontologist, 29(6), 798-803. 

  11. Oh, G. S., Chae, S. M., & Jun, N. Y. (200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mily burden questionnaire. J Korean Acad Pediatr Nurs, 8(3), 272-280. 

  12. Paliasno, R.. Rosenbaum, P., Walter, S., Russell D., Wook, E., & Galuppi, B. (1997).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a system to classify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palsy. Dev Med & Child Neurol, 39(4), 214-223. 

  13. Park, M. H. (1991). An analytical study on perceived burden of family caregivers and its associated variables. Catholic Medical University thesis, 44(3), 949-958. 

  14. Seo, M. H., & Oh, G. S. (1993). A study on burden of chronic diseased person family. J Korean Acad Nurs, 23(3), 467-484. 

  15. Seo, J. S. (1993).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mothers with leukemia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6. Singh, P. D. (1990). Psychosocial problems in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Brit J Med Psycho, 63, 173-182. 

  17. Sung, M. H. (2000). A study burd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mothers of a child with nephrotic syndrome. J Korean Acad Nurs, 30(3), 670-681. 

  18. Sylvia, S. (1971). Family of the retarded child, the mentaly retarded child and his family. New York, Brunner Mazel Pub. Co, 22-25. 

  19. Tilden, V. D., & Weinert, V. D. (1987). Social support and the chronically ill individual, Nurs Clin North Am, 22(3), 613-620. 

  20. Thompson. E. H., & Doll. W. (1982). The burden of families coping with the mental ill: An invisible crisis. Family Relations, 31, 379-388. 

  21. Woo, M. Y. (1998). Burden and needs of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