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3 no.2, 2010년, pp.123 - 131  

김수현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  강현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identifying the levels of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cross-sec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22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under 15 year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Abidin (1992)의 양육스트레스모델에서 설명한 변인 중심으로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향후 환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방안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 Y 대학병원 재활병원에 뇌성마비로 입원치료 중인 15세 이하 아동의 어머니 122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 초부터 10월 초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파악하고, 양육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밝히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입원중인 뇌성마비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파악하고, 양육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밝히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고서(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에 의하면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주로 도와주는 사람은? 더군다나 우리나라는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배타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장애아동 가족에게는 심리,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양육부담이 가중되고 있는데,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고서(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에 의하면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주로 도와주는 사람은 대부분이 가족 구성원(87.4%)인 것으로 나타나 가족의 역할이 과중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뇌성마비 아동을 양육한다는 것은 다른 장애아동보다 더욱 많은 것을 요하는 복잡한 일이며, 가족의 부담과 스트레스 증가, 특수 교육적 중재에 대한 비용부담이 매우 크다(Gu, Park, & Cho, 2009).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가 높은 스트레스르르 경험하게 되는 이유는? 자녀 양육에 따른 스트레스는 부모 모두가 느끼는 문제지만, 어머니는 아동과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고, 아동 양육의 일차적인 책임과 다른 가족구성원을 돌보는 역할 등으로 매우 힘든 위치에 있으므로 부담감을 갖게 되는데, Sung (2000)의 연구에서도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았다. 특히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는 장애아동을 돌보는데 따른 육체적 부담, 가족과 친척간의 관계 변화, 심리적 고충 등으로 인해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결과 어머니는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는 Britner, Morog, Pianta와 Marvin (2003)의 연구에서도 뇌성마비아동 어머니가 질병이 없는 아동 어머니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im (2008)의 연구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방안을 어떻게 제시할 수 있는가? 우리나라 현행 복지체계는 장애유형에 따른 지원전달체계가 미흡하다고 지적한 Yang (2002)의 연구와 사회 환경요인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Kim (2008)의 연구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할 수 있다. 첫째, 입원치료 기관 이외의 낮 병동 운영시설을 확충하고, 방과 후 아동의 학습을 지도해주는 학습도우미 활용으로 아동의 양육시간을 줄이는 동시에 뇌성마비 아동의 치료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둘째, 아동의 양육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어머니의 효율적인 시간 계획으로 어머니 개인 취미활동이나 생계활동을 할 수 있다면 경제적, 정서적 측면에서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가사활동 지원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연계와 의뢰를 통해 지역사회 내 자원봉사자나 도우미를 적극 활용하도록 한다. 넷째, 현실적으로 아동에게 필요한 특수치료를 위한 장애아동 지원 혜택 방안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물론 이를 위하여 정책적인 지원방안이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그 외에도 증가하는 뇌성마비 아동의 수에 비해 부족한 재활치료 전문기관 및 전문 인력의 확충, 지역사회와 연계된 통합재활치료 프로그램 개발 등 사회적인 인식변화와 더불어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양육 부담과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PSI), short form: test manual. S.F. Charlottesville: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 407-412. 

  3. An, S. H. (2008).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s and emotional table overt and emotional maladjust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 Brehaut, J. C., Kohen, D. E., Raina, P., Walter, S. D., Russell, D. J., Swinton, M., et al. (2004). The health of primar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ow does it compare with that of other Canadian caregivers? Pediatrics, 114, 182-191. 

  5. Britner, P. A., Morog, M. C., Pianta, R. C., & Marvin, R. S. (2003). Stress and coping: A comparison of self-report measures of functioning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r no medical diagnosi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2, 335-348. 

  6. Gu, I. S. (2008). The relationship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o degree of stress in child-rearing among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7. Gu, S. S., Park, J. K., & Cho, Y. S. (2009). The study on the condition and awareness of family support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52(1), 377-396. 

  8. Jang, Y. Y. (2008). Study on the effects of father's participation perceived by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on mother's parenting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 Chai University, Daejeon. 

  9. Jeon, S. Y. (1984). 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s in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and child's depend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0. Jeong, C. Y. (2004).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ental retarded child mother's stress and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11. Jeong, D. H. (2008). A qualitative research on mothers' experience of caring teenagers with cerebral pals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12. Kang, Y. H. (2002). A study on mothers' parenting stress in hearing-disabled preschool children: focus on control effects of the stress coping meth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im, J.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mother's child rearing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4. Kim, J. Y. (2008). The effec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mprove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mother's parenting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5. Kim, M. H. (2006). Relations among self-esteem, stress and coping behaviors of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6. Kim, M. S. (1997). Study on examples of the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the mothers having autistic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17. Lee, S. H. (2005). A study on the social support system and the stress of mothers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8. Lee, Y. S.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May). Registered disabled people in 2007. Retrieved May 7, 2007, from http://www.mw.go.kr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April). Statistics of disabled people in 2008. Retrieved April 29, 2009, from http://www.mw.go.kr 

  21. Na, Y. J. (2007). The effects of selected eco-systemic variables o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22. Park, E. S. (2004).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tudy on stress and co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23. Park, J. W. (1985).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4. Park, K. S. (2002).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bringing-up stress of the disabled child and social support: focused on the Incheon metropolot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ncheon, Incheon. 

  25. Park, N. C. (2007). A study on the social support, rearing stress and self-esteem of the mother reari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 In. 

  2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Shin, S. J. (1997). Maternal stress, social support, parenting efficacy and impact on par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8. Sung, J. S. (2000). A study of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stress of the family caring for the child with the developmental disorders. 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29. Yang, K. H. (2002). The study of family support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10, 135-1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