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Burnout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2, 2017년, pp.233 - 241  

서지영 (강동대학교 간호학과) ,  이혜진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유미애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behavior on burnout among mothers caring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ere 185 mothers who completed a self-report str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진을 약화시키며[6]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26] 인지장애와 신체기능장애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소진을 설명하는 영향요인으로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대처를 설명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장애 관련 특성,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대처가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소진 예방과 감소를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장애 관련 특성,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대처가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소진 예방과 감소를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와 소진 정도를 확인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활병원 외래에서 치료중인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로 나타났으며 50.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대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아동 어머니의 소진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진은 정서적이며 대인관계적 만성 스트레스가 오래 동안 지속되는 환경에 장기간 노출될 때 특히, 정서적으로 힘든 상황에서 발생한다[8,9]. 장애아동은 양육자의 많은 주의력 및 노력을 요구하며 정상아동에 비해 부모에게 더 의존적이며 세심한 보살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양육자로 하여금 높은 스트레스와 육체적, 정신적 피로를 더 많이 경험하게 한다[10]. 이로 인해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피로감, 좌절감, 정신적 소모감, 무력감 등 신체적, 정신적 고갈 상태가 되는 소진이 나타난다[11]. 뇌성마비 아동은 정상아동보다 많은 요구와 장기간의 돌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우울, 불안 및 소진 등 심리사회적 문제들을 경험할 수 있으며[3,4,12,13] 이는 뇌성마비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4,14].
뇌성마비의 특징은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모체의 임신 기간 중 또는 출산과정에서 감염이나 뇌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 진행성 장애로 운동과 자세조절 능력의상실로 대표되는 증상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장애가 일생 동안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1]. 뇌성마비 유병률은 국가별 차이가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15세 미만 뇌성마비 아동의 수는 5,927명으로 장애아동 16,078명의 36.
소진은 어떤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가? 소진은 정서적이며 대인관계적 만성 스트레스가 오래 동안 지속되는 환경에 장기간 노출될 때 특히, 정서적으로 힘든 상황에서 발생한다[8,9]. 장애아동은 양육자의 많은 주의력 및 노력을 요구하며 정상아동에 비해 부모에게 더 의존적이며 세심한 보살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양육자로 하여금 높은 스트레스와 육체적, 정신적 피로를 더 많이 경험하게 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oon JH.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yangsaeng in mothers with cerebral palsy childre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9;15(2):127-134. 

  2. Kim SH, Lee YH, Hwang JH, Oh MA, Lee MG, Lee NH, et al. 2014 disabled survey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Report No.: Policy Report 2014-73. 

  3. Basaran A, Karadavut KI, Uneri SO, Balbaloglu O, Atasoy N. The effect of having a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quality of life, burn-out, depression and anxiety scores: A comparative study.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2013;49(6):815-822. 

  4. Cheshire A, Barlow JH, Powell LA.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comparison stud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10;32(20):1673-1677. http://dx.doi.org/10.3109/09638281003649920 

  5. Unsal-Delialioglu S, Kaya K, Ozel S, Gorgulu G.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related factors in Turkey: A controll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09;32(3):199-204. http://dx.doi.org/10.1097/MRR.0b013e32832607b6 

  6. Kim SH, Kang HS.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0;13(2):123-131. 

  7. Lee JM.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intervention program on emotional well-being and burnout in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2013;4(2):63-80. 

  8. Maslach C, Schaufeli WB, Leiter MP.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2001;52:397-422. http://dx.doi.org/10.1146/annurev.psych.52.1.397 

  9. Lindstrom C, Aman J, Norberg AL. Increased prevalence of burnout symptoms in parent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Acta Paediatrica. 2010;99(3):427-432. http://dx.doi.org/10.1111/j.1651-2227.2009.01586.x 

  10. Lim EK, Kim JK. Depression among mother with handicapped children: Focusing on the personality, support, cop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Gestalt Counseling. 2014;4(1):49-67. 

  11. Jang SO, Kim Y. Effects of maternal rearing stress and burnout on their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Research of Waldorf Education. 2011;3(1):91-111. 

  12. Byrne MB, Hurley DA, Daly L, Cunningham CG. Health status of caregiv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010;36(5):696-702.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09.01047.x 

  13. Guillamon N, Nieto R, Pousada M, Redolar D, Munoz E, Hernandez E, et al. Quality of life and mental health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coping strategi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3;22(11-12):1579-1590. http://dx.doi.org/10.1111/jocn.12124 

  14. Parkes J, Caravale B, Marcelli M, Franco F, Colver A.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European crosssectional surve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011;53(9):815-821. http://dx.doi.org/10.1111/j.1469-8749.2011.04014.x 

  15. Woo YJ.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burnout in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4. p. 1-52. 

  16. Chung KM, Lee KS, Park JA.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Seoul: Hakjisa; 2012. p. 85-114. 

  17. Glenn S, Cunningham C, Poole H, Reeves D, Weindling M.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its correlates in families with a young child with cerebral palsy.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008;35(1):71-78.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08.00891.x 

  18. Mobarak R, Khan NZ, Munir S, Zaman SS, McConachie H. Predictors of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Bangladesh.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000;25(6):427-433. https://doi.org/10.1093/jpepsy/25.6.427 

  19. Ribeiro MF, Sousa AL, Vandenberghe L, Porto CC. Parental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2014;22(3):440-447. http://dx.doi.org/10.1590/0104-1169.3409.2435 

  20.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p. 1-127. 

  21. Kim JM, Chung J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16;34(5):21-33. http://dx.doi.org/10.7466/JKHMA.2016.34.5.21 

  22. Kim ES, Kim HS.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mothers with cerebral palsy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9;12(1):39-46. 

  23. Rentinck IC, Ketelaar M, Jongmans MJ, Gorter JW.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eview of factors related to the process of adaptation.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007;33(2):161-169. http://dx.doi.org/10.1111/j.1365-2214.2006.00643.x 

  24. Lee SJ, Oh 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mothers of the child with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Testing a mediating model of active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6;7(1):27-45. 

  25. Kim SO, Kim SH. Differences in childcare stress and coping behaviors of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and mothers of non-handicapped children. Journal of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2014;5(1):17-29. 

  26. Lee HZ, Lee JW. A study on the stress and coping patterns of mothers with cerebral palsy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997;3(2):190-202. 

  27. Cheshire A, Barlow J, Powell L. Coping using positive reinterpretation in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0;15(6):801-810. http://dx.doi.org/10.1177/1359105310369993 

  28.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29.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 (PSI). 3r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5. 

  30. Schaufeli WB, Greenglass ER. Introduction to special issue on burnout and health. Psychology & Health. 2001;16(5):501-510. http://dx.doi.org/10.1080/08870440108405523 

  31. Olawale OA, Deih AN, Yaadar RK. Psychological impact of cerebral palsy on families: The African perspective. Journal of Neurosciences in Rural Practice. 2013;4(2):159-163. http://dx.doi.org/10.4103/0976-3147.1127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