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맥진(脈診)에 관한 도상(圖像)연구
A Study on Images of the Pulse Diagnosis 원문보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5 no.2 = no.26, 2009년, pp.101 - 109  

한봉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lse diagnosis is in the boundary of the Four Examinations, and it is called 切診, or palpation. It has a great impact on people in reminding of the Traditional Medicine that it is probably the first thing that people think of when they hear about Traditional Medicine. Hu-Jun quoted in the Trea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그동안 맥학에 관한 연구는 맥진의 기원이나 역사, 맥학이론 등에 집중되어왔으나, 맥학 서적에 실린 圖像에 관한연구는 적었다. 그래서 본 논고에서는 맥진에 관련된 圖像을 연구하였기에 이를 발표하고자 한다. 먼저 맥진의 기원과 역사에 대해서 살펴보고 중국과 한국의 의서를 중심으로 맥진에 관한 圖像을 살펴보기로 한다.
  • 또, 약재의 성상과 형태 등을 나타낸 본초도와 과거에 활용된 부적, 외과적인 병태를 그린 피부과 도상, 치료용도로 사용된 시술도구에 관한 그림 등 수많은 도상이 있다. 본고는 脈診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의 圖像을 수집해서 연구하여 그 의미를 살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圖像의 사전적 의미는? 圖像은 圖象과 같은 용례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두 가지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형상이나 모양을 그리다는 의미, 둘째는 그려서 이루어진 형상이라는 의미이다. 古書에서 쓰여진 예를 보자면 다음과 같다.
脈이란? 脈이란 ‘營氣를 에워싸고 벗어나지 않게 한 것’6)이며 ‘혈이 모이는 곳’7)이다. 또한 경맥은 血氣를 운행하기 때문에陰陽을 운용하고 근골을 부드럽게 하며 관절의 운동을 순조롭게 한다.
圖像란? ’라 하여 명사로서 사용되었다.4) 그리고 圖像學이라는 단어가 쓰여지고 있는데, 종교나 신화적 주제를 표현한 미술작품에 나타난 인물 또는 형상을 圖像이라 하고 이를 연구하는 학문을 圖像學이라고 한다. 주로 기독교나 불교의 미술에서 조각이나 그림에 나타난 여러 형상의 종교적 내용을 밝히는 학문5)을 일컫는데, 논자가 한의학 의서에 실린 圖像을 연구하는 것도 의학 분야에 있어서 圖像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金達鎬 編譯, (補註注解) 黃帝內經 靈樞, 의성당, 2002. 

  2. 凌耀星 主編, 難經校注, 人民衛生出版社, 1991. 

  3. 鄧鐵濤 主編, 實用中醫診斷學,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8. 

  4. 맹웅재 외, 강좌 중국의학사, 대성의학사, 2006. 

  5. 朴炅, 診斷學權輿, 대성의학사, 2000. 

  6. 신동원, 김남일, 여인석,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들녘, 2005. 

  7. 안상우, 고의서산책 238, 圖註王叔和脈訣, 민족의학신문, 2005;505. 

  8. 이봉교 편저, 한방진단학, 성보사, 1986. 

  9. 이천, 편주의학입문 권1, 대성문화사, 1983. 

  10. 李?, 編註醫學入門 卷1, 대성문화사, 1983. 

  11. 張世賢, 圖注難經脈訣, 一中社, 서울, 1976. 

  12. 최수한, 조선의적통고, 중국중의약출판사, 1996. 

  13. 洪元植 校合編纂, 精校 黃帝內經素問, 동양의학연구원 출판부, 1981. 

  14. 황용상, 중국침구학술사대강, 법인문화사 

  15. 許浚, 東醫寶鑑, 南山堂, 1994. 

  16. 김춘배, 중국 고대에서 당대까지 진단학사에 관한 연구, 대전대 박사학위논문, 2003. 

  17. 라경찬, 박현국, 황제내경의 맥 이론과 진맥법의 변화에 관한 연구, 동국대 한의대 연구소 논문집, 1993;2(1). 

  18. 이흥구, 윤창열, 명대의 진단학 발전사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3;12(1). 

  19. 허금범, 윤종화, 김갑성, 고대 경맥진단법 중 三部九候診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제19권 제3호,2002. 

  20. 허종, 허준의 纂圖方論脈訣集成의 편찬의의와 조선중기 맥학의 성취,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2006. 

  21. 漢語大詞典 編纂委員會, 漢語大詞典 제3권, 漢語大詞典出版社, 1993. 

  22. 중문대사전편찬위원회, 중문대사전, 중국문화대학출판부, 1985. 

  2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漢韓大辭典,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0. 

  24.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상권, 두산동아, 1999. 

  25. 續修四庫全書, 編纂委員會 編? 上海古籍出版社? 2002. 

  26. 유교넷 

  27.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28.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 

  29.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지식정보자원 웹서비스 

  30. 海南醫學院 홈페이지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