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외과중환자실 내에서 MRSA 감염관리 효과
Effect of the Management of Infection for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t an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1 no.2, 2009년, pp.114 - 119  

김윤경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이지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홍해숙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effectiveness of an infection control program is important to hospital quality improvement and decreases of mortality rate and prevalence.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the most common pathogen causing nosocomial infection.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경외과중환자실내에서 MRSA 감염관리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중환자실에서의 MRSA 감염을 줄이기 위하여 적극적인 감염관리를 통한 MRSA 집락화의 감소효과를 평가함으로써 효과적인 감염간호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신경외과 중환자실에서 분리된 총 85명의 환자 중 77건의 미생물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균종별로 Staphylococcus aureus가 52.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외과중환자실에서의 MRSA 감염을 줄이기 위하여 적극적인 감염관리를 통한 MRSA 집락화의 감소효과를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감염간호의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며, 그 구체적인 연구 목적인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중환자실에서의 MRSA 감염을 줄이기 위하여 적극적인 감염관리를 통한 MRSA 집락화의 감소효과를 평가함으로써 효과적인 감염간호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RSA감염의 치료제는? 최근에는 MRSA 감염의 치료제인 vancomycin에 대한 중등도 내성을 보이는 황색포도상알균이 보고되고 있어 MRSA에 대한 효과적인 감염관리는 병원감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급한 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Hiramatsu et al., 1997; Lee et al.
MRSA의 특징은? 주요 전파 경로는 의료진의 손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사람과 사람의 직접 접촉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Boyce, 1996; Oh et al., 2001), 흔히 MRSA는 건강한 사람에서는 단순히 보균자 상태로 서식하지만 생체방어기전이 저하된 환자에게 발생 빈도가 높고, 장염, 영양 및 일반상태 불량환자, 노인 등에서의 폐렴, 면역부전, 패혈증 등 다장기 부전을 유발한다(Ha, Kim, & Kim, 2003). 주로 장기입원 환자가 많은 중환자실에서 발생되고 감염이 되면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나타내므로 그 심각성이 클 뿐만 아니라, 집단 감염이 한 번 발행한 후에는 근절하기가 어려운 균이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가 매우 어렵다(Woo et al.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주요 전파 경로는? 주요 전파 경로는 의료진의 손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사람과 사람의 직접 접촉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Boyce, 1996; Oh et al., 2001), 흔히 MRSA는 건강한 사람에서는 단순히 보균자 상태로 서식하지만 생체방어기전이 저하된 환자에게 발생 빈도가 높고, 장염, 영양 및 일반상태 불량환자, 노인 등에서의 폐렴, 면역부전, 패혈증 등 다장기 부전을 유발한다(Ha, Kim, & Kim,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ye, J. M. (1996). Preventing Staphylococcal infections by eradicating nasal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7, 775-779. 

  2. Cookso, B. (1997). Is it time to stop searching for MRSA? Screening is still important. J Brit Med, 314, 664. 

  3. Geldner, G., Ruoff, H., Hoffmann, H. J., Kieffer, P., Georgieff, M., & Wiedeck, H. (1999). Cost analysis concerning MRSA-infection in ICU. Anesthesiol Intensivemed Notfallmed Schmerzther, 34, 409-413. 

  4. Ha, D. J., Kim, Y. C., & Kim, Y. J. (2003). Management of infection for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t an orthopaedic surgery department. J Korean Orthop Assoc, 38, 34-38. 

  5. Jawetz, E., Brooks, G. F., Melnick, J. L., Butel, J. S., Adelberg, E. A., & Orsteon, L. N. (1991). Medical microbiology. (19th ed.). Appleton Lange: East Norwalk. 

  6. Jevons, M. P. (1961). Celbenin-Resistant Staphylococci. Br Med J, 1, 124-125. 

  7. Jin, H. Y., Kwak, Y. S., & Lee, W. G. (1999). Effective control of MRSA nosocomial infection in intensive care unit. Korean J Noscomial Infect control, 4, 7-16. 

  8. Kim, K. M., Yoo, J. H., Choi, J. H., Park, E. S., Kim, K. S., Kim, K. S., et al. (2006). The nationwide surveillance results of nosocomial infections along with antimicrbial resistance in intensive care units of sixteen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11, 79-86. 

  9. Kim, W. J. (1999).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and antibiotic treatment in the critical care uint. Korean J Critical Care Medicine, 14, 14-21. 

  10. Korn, G. P., Martino, M. D., Mimica, I. M., Mimica, L. J., Chiavone, P. A., & Musolino, L. R. (2001). High frequency of colonization and absence of identifiable risk factors for Methicillin-Resistna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 intensive care units in Brazil. Braz J Infect Dis, 5, 47-49. 

  11. Kwon, Y. I., Kim, T. W., Kim, H. Y., Chang, Y. H., Kwak, H. S., Woo, G. J., et al. (2007). Monitoring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rom medical environment in Korea. Korean J Mecrobiol Biotechnol, 35, 158-162. 

  12. Lee, J. K., Sohn, E. S., Yoo, Y. S., Yoo, J. I., Lee, E. H., Lee, K. R., et al. (2006). Antimicrobial resistance among clinical isolates of Pseudomonas aeruginosa from non-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2002-2004. Infect Chemother, 38, 1-10. 

  13. Lee, J. S., Park, O., Woo, H. J., Jung, H. J., Kim, W. J., Kim, M. J., et al. (2001). A longitudinal molecular epidemiologic study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fection, 33, 32-40. 

  14. Lee, K., Kim, Y. A., Park, Y. J., Lee, H. S., Kim, M. Y., Kim, E. C., et al. (2004). Increasing prevalence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nd cefoxitin, imipenem and fluoroquinolone-Resistant gram negative bacilli. Yonsei Med J, 45, 598-608. 

  15. Moon, J. Y., Lee, E. J., & Kim, Y. B. (2004). Rapid det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by Multiplex PCR. J Bacteriology and Virology, 34, 91-100. 

  16. O'Connell, N. H., & Humphreys, H. (2000). Intensive care unit desig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acquisition of infection. J Hosp Infect, 45, 255-262. 

  17. Oh, H. S., Lee, S. E., Kim, E. C., Lee, H. J., Oh, M. D., & Choe, K. W. (2001). Health care workers' nasal carriage and outbreak control of epidemic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Hosp Infect, 33, 194-201. 

  18. Yoo, J. H. (2006). Can we overom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in hospital?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11, 1-14. 

  19. Yoon, H. S. (2001).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linically isolated Staphylococcus aureus.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0. Woo, H. Y., Lee, N. Y., Maeng, S. H., Han, S. H., Ihn, K. S., Kim, S. W., et al. (2000).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y and analysis of genomic diversity of mec regulator genes in mecA positiv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J Korean Soc Chemother, 18, 335-3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