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200병상이상 의료기관의 다약제 내성균 감염관리 실태조사
Current Status of Infection Control of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in Hospitals with more than 200beds in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8 no.4, 2014년, pp.163 - 173  

오향순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solation precautions of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MDROs) in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200bed.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from 3rd, April 2013 to 30th, April 2013.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vancom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표본감시 대상인 6개 다제내성균종을 대상으로 국내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제내성균의 감염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국가보건관리 정책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설문지 내용은 두 파트로 구분되어 개발되었으며 A파트는 응답자와 응답병원의 감염관리를 위한 자원과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 B파트는 다제내성균의 감염관리 실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에 대한 의견 조사를 위한 9개의 구조화된 설문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일부 사전협조를 얻은 감염관리간호사들에게 사전조사를 하여 설문항의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4) 의료기관에서 의료의 질 향상 프로그램에 다제내성균 관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수행한다면 의료기관내에서의 다제내성균 관리가 꾸준하게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제내성균에 의한 의료 관련 감염이 매우 심각한 감염관리 대상인 이유는 무엇인가? 다제내성균(multidrug resistant organisms)에 의한 의료 관련 감염(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s)은 감수성이 있는 미생물(susceptible organisms)에 의한 경우보다 환자 질병의 중등도와 사망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1][2][3][4], 입원 기간과 의료비용을 증가시켜 경제적 부담을 야기하는[5][6] 매우 심각한 감염관리 대상이다.
항균제의 부적절한 사용이 불러오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역사적으로 항균제의 개발과 발전으로 많은 심각한 감염 문제가 해결되었으나, 항균제의 부적절한 사용은 오히려 미생물이 항균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고 빠른 속도로 발달하게 하여 일반 항균제로는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다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 증가를 초래하게 되었다[1][2]. 다제 내성균은 페니실린 이후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가지 종류의 항균제 중에서 한 가지 종류 이상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의료 관련 감염에서 가장 빈번하게 문제가 되고 있는 균주들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 포도알균(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반코마이신 내성장구균(vancomysin resistant Enterococcus: VRE), 다제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다제내성 녹농균(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RPA)등이다[3][4][5][6][7].
다제내성균에 의한 감염 증가의 원인은 무엇인가? 다제내성균에 의한 감염 증가의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로 항균제 사용상의 문제로 항균제 사용의 적절성에 대한 것이다. 둘째는 감염관리상의 원칙 문제로 다제 내성균의 대부분이 접촉으로 전파되는데 실제로 접촉격리 수행이 원칙대로 준수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8]. 이들 다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이 의료 환경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는 것은 첫째 현재 개발된 항균제 가운데 치료할 수 있는 약제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D. Siegel, E. Rhinehart, M. Jackson, L. Chiarello,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2007),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in Health Care Settings, 2006,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Vol.35(10 Suppl 2);S165-93. 

  2. L.J. Strausbaugh, J.D. Siegel, R.A. Weinstein(2006), Preventing Transmission of Multidrug-resistant Bacteria in Health Care Settings: A Tale of 2 Guideline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Vol.15(42);828-835. 

  3. C.A. DiazGranados, S.M. Zimmer, M. Klein, J.A. Jernigan(2005), Comparison of Mortality Associated with Vancomycin-resistant and Vancomycin-susceptible Enterococcal Bloodstream Infections: A Meta-Analysi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Vol.41(3);327-333. 

  4. C.D. Salgado, B.M. Farr(2003), Outcomes Associated with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 Meta-Analysi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Vol.24(9);690-698. 

  5. M.J. Neidell, B. Cohen, Y. Furuya, J. Hill, C.Y. Jeon, S. Glied, E.L. Larson(2012), Costs of Healthcare- and Community-associated Infections with Antimicrobial-resistant versus Antimicrobial-susceptible Organism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Vol.55(6);807-815. 

  6. C.E. Herr, T.H. Heckrodt, F.A. Hofmann, R. Schnettler, T.F. Eikmann(2003), Additional Costs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a Strategy for Reducing these Costs on a Surgical Ward,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Vol.24(9);673-678. 

  7. I.M. Gould, J. Reilly, D. Bunyan, A. Walker (2010), Costs of Healthcare-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It's Control, Clinical Microbiololy and Infectious Diseases, Vol.16(12);1721-1728. 

  8. http://www.cdc.gov/hicpac/2007IP/2007isolationPrecautions.html 

  9. M.F. Kluytmans-Vandenbergh, J.A. Kluytmans, A.Voss (2005), Dutch Guideline for Preventing Nosocomial Transmission of highly resistant Microorganisms(HRMO), Infection, Vol.33(5-6):309-13. 

  10. H.S. Oh, E.S. Park, S.Y. Jeong, H.G. Cheon, S.R. Kim, Y.S. Chang, E.K. Kim, N.H. Cho(2011), Activation of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 in Hospital via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Final report, Korea Associa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Vol.1;1-72 

  11. M.H. Jeon, W.B. Park, S.R. Kim, H.K. Chun, S.H. Han, J.H. Bang, E.S. Park, S.Y. Jeong, J.S. Eom, Y.K. Kim, H.B. Kim, K.Y. Lee, H.J. Choi, H.Y. Kim, K.M. Kim, J.H. Sung, Y.Uh, H.S. Chung, J.W. Kwon, J.H. Woo(2012),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nsive Care Unit Module Report: Data Summary from July 2010 through June 2011,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Vol.17(1);1-12 

  12.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3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38-MNU0037-MNU1380&cid12713 

  13. Y.J. Park, J.S. Jeong, E.S. Park, E.S. Shin, S.H. Kim, Y.S. Lee(2007), Survey on the Infection Control of Multidrug-Resistant Microorganisms in General Hospita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Vol.12(2);112-121 

  14. H.S. Oh, H.W. Chung, J.S. Kim, S.I. Cho(2006), National Survey of the Status of Infection Surveillance and Control Programs in Acute Care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in the Republic of Korea,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Vol.34(4);223-33. 

  15. T.K. Kim, H.S. Min, H.Y. Jung(2012),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with MRSA of Medium and Small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3);157-169 

  16. H.Y. Jung, Y.K. Jung(2013), Recognition and Performance Level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Nurses of Long-term Care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4);131-141 

  17. C. O'Boyle, M. Jackson, S.J. Henly(2002), Staffing Requirements for Infection Control Programs in US Health Care Facilities: Delphi project,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Vol.30(6);32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