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후 수면-각성장애
Sleep-Wake Disturbance in Post-stroke Patients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1 no.1, 2009년, pp.23 - 31  

서민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sleep-wake disturbance (SWD) in Korean post-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the first to address post-stroke SWD in Korea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Method: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SW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수면-각성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 후 뇌졸중 환자의 수면의 질, 수면-각성 장애의 발생 유형, 빈도 및 양상, 수면-각성 장애의 유형별 관련요인을 조사하여 수면-각성 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의 치료 및 회복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수면-각성 양상을 측정하고, 측정된 양상별 특성에 근거하여 수면 각성 장애의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수면 각성 장애 유무별로 환자의 일반적 특성, 임상적 특성 분포를 비교하고자 하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급성기 환자의 수면-각성 양상을 조사하고 수면-각성 장애 빈도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각성 주기의 변화는 뇌졸중 환자에게 어느 정도 발생하는가? , 2003). 수면-각성 주기의 변화는 뇌졸중 환자에게서는 40-60% (Leppavuori et al., 2000) 정도가 발생하는것으로보고되어, 일반인의발생빈도(10-40%, Hohagen et al.
우리나라에서 단일 질환으로 뇌졸중의 사망률 순위는?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단일 질환으로 남녀 모두 사망률 제1위를차지한다. 또한생존한다고하여도여러유형의신체 장애와 통증이 나타나며, 우울 등 감정 장애를 경험하는 것으로보고되었다(Kim & Choi-Kwon, 2000).
뇌졸중후수면-각성장애의 원인은 무엇으로 추정하는가? 뇌졸중후수면-각성장애는여러가지원인에의해발생할 수 있다. Hermann, Siccoli, Brugger와 Wachter (2008)는 뇌졸중 후 발생하는 수면-각성 장애가 뇌졸중의 발생 부위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그 외에도 뇌졸중 후 수면 각성 장애는 나이, 뇌졸중 후 장애 정도, 불안 장애 유무 및 항 정신성 약물복용여부(Leppavuori et al., 2002), 우울및동거인유무(Palomaki et al., 2003)와관련이있는것으로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nco, M., Espinosa, M., Arpa, J., Barreiro, P., & Rodriguez-Albarino, A. (1999). Hypersomnia and thalamic and brain stem stroke: A study of seven patients. Neurologia, 14, 307-314. 

  2. Bassetti, C. L. (2005). Sleep and stroke. Semin Neurol, 25, 19-32. 

  3. Bassetti, C. L., & Aldrich, M. S. (2001). Sleep electroencephalogram changes in acute hemispheric stroke. Sleep Medicine, 2, 185-164. 

  4. Breslau, N., Roth, T., Rosenthal, L., & Andreski, P. (1996). Sleep disturbance and psychiatric disorders: A longitudinal epidemiological study of young adults. Biol Psychiatry, 39, 411-418. 

  5. Catsman-Berrevoets, C. E., & Harskamp, F. (1988). Compulsive presleep behaviour and apathy due to bilateral thalamic stroke. Neurology, 38, 647-649. 

  6. Choi-Kwon, S., Han, S. W., Kwon, S. U., & Kim, J. S. (2005). Poststroke fatigu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Cerebrovasc Dis, 19, 84-90. 

  7. Hamilton, M. (1960).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 23, 56-62. 

  8. Hermann, D. M., Siccoli, M., Brugger, P., & Wachter, K. (2008). Evolution of neurological, neuropsychological and sleep-wake disturbances after paramedian thalamic stroke. Stroke, 39, 62-68. 

  9. Hohagen, F., Rink, K., Scharamm, E., Riemann, D., Weyerer, S., & Berger, M. (1993). Prevalence and treatment of insomnia in general practice. A longitudinal study.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42, 329-336. 

  10. Hong, J., Ahn, J., Yun, Y., Park, J., Lee, S., Hahm, B., Kim, J., Han, O., & Cho, M. (2000). Sleep habits and insomnia-associated factors in the urban elderly: Demographic, health and psychobehavioral correlat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9, 1111-1121. 

  11. Kim, H. (2007). Neuroanatomy of Sleep-wake regulation and its application to pharmacotherapy. Korean J Psychopharmacol, 18, 133-142. 

  12. Kim, J., & Choi-Kwon, S. (2000). Poststroke depression and emotional incontinence: Correlation with lesion location. Neurology, 54, 1805-1810. 

  13. Kim, M., Cho, S., Lee, S., Jung, S., & Park, K. (1999). Elderly sleep pattern and disturbing factors before and after hospitalization. J Korean Acad Nurs, 29, 61-71. 

  14. Kim, O. S., Kim, A. J., Kim, S. W., Baik, S. H., & Yang, K. M. (2003). Fatigue, depression and sleeping in young adult and middle-aged. J Korean Acad Nurs, 33, 618-624. 

  15. Kim, S., Oh, J., Song, M., & Park Y. (1997). Comparison of sleep and related variables between young and old adults. J Korean Acad Nurs, 27, 820-830. 

  16. Laplane, D., Baulac, M., Widlo_cher, D., & Dubois, B. (1984). Pure psychic akinesia with bilateral lesions of basal ganglia. J Neurol Neurosurg Psychiat, 47, 377-385. 

  17. Lee, S., Ahn, S., & Kim, M. (2005). A study on women's fatigue and sleeping disturbance. Korean J Women Health Nurs, 11, 163-168. 

  18. Leppavuouri, A., Pohjasvaara, T., Kaste, M., & Erkinjuntti, T. (2002). Insomnia in ischemic stroke patients. Cerebrovasc Dis, 14, 90-97. 

  19. Lyden, P., Brott, T., Tilley, B., Welch, K., & Maascha, E. (1994). Improved reliability of the NIH stroke scale using video training. Stroke, 25, 2220-2226. 

  20. Nielsen, A., & Williams, T. (1980). Depression in ambulatory medical patients. Arch Gen Psychiatry, 37, 999-1004. 

  21. Paik, Y., & Song, M. (2000). Sleep disturbing factors and the relative significance in sleep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J Korean Gerontological Nurs, 2, 35-47. 

  22. Palomaki, H., Berg, A., Meririnne, E., Kaste, M., Lonnqvist, R., Lehtihalmes, M., & Lonnqvist, J. (2003). Complaints of poststroke insomnia and its treatment with mianserin. Cerebrovasc Dis, 15, 56-62. 

  23. Roberts, R. E., Shema, S. J., Kaplan, G. A., & Strawbridge, W. J. (2000). Sleep complaints and depression in an aging cohort: A prospective perspective. Am J Psychiatry, 157, 81-8. 

  24. Rye, D., & Jankovic, J. (2002). Emerging view of dopamine in modulating sleep/wake state from unlikely source: PD. Neurology, 58, 341-346. 

  25. Shin, W., Sung, K., Lee, J., Jang, D., & Jung, K. (1999). Nocturnal dip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occurring during sleep: Prospective assessment by using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J Korean Neurol Assoc, 17, 333-339. 

  26. Sohn, S. (2002).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Acad Adult Nurs, 14, 378-389. 

  27. Sterr, A., Herron, K., Dijk, D., & Ellis, J. (2008). Time to wake-up: Sleep problems and daytime sleepiness in ling-term stroke survivors. Brain Inj, 22, 575-579. 

  28. Terzoudi, A., Vorvolakos, T., Heliopoulos, I., Livaditis, M., Vadikolias, K., & Piperidou, H. (2009). Sleep architecture in stroke and relation to outcome. Eur Neurol, 61, 16-22. 

  29. Thase, M. E. (1998). Depression, sleep, and antidepressants. J Clin Psychiatry, 59(4), 55-65. 

  30. Vock, J., Achermann, P., Bischof, M., Milanova, M., Muller, C., Nirkko, A., Roth, C., & Bassetti, C. (2002). Evolution of sleep and sleep EEG after hemispheric stroke. J Sleep Res, 11, 331-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