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서해산 웅어, Coilia nasus 암컷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Korean Anchovy Coilia nasus on the We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Development & reproduction = 발생과 생식, v.13 no.2, 2009년, pp.123 - 132  

전제천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강희웅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이봉우 (충청남도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웅어 Coilia nasus의 생식소중량지수(GSI), 비만도지수, 난소 발달, 군성숙도, 포란수를 2007년 1월부터 2007년 12월 까지 조직학적 관찰 및 형태 측정 분석에 의해 조사하였다. GSI와 비만도지수는 2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난소가 성숙해지는 6월에 최대에 이르며, 그 후 산란이 일어나는 7월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GSI와 비만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난소의 성숙 및 산란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암컷의 난소 발달 단계는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초기성장기($2{\sim}$3월), 후기 성장기($3{\sim}$4월), 성숙기($5{\sim}$6월), 완숙 및 산란기($6{\sim}$7월), 회복 및 휴지기($12{\sim}$1월). 본 종의 성숙과 산란은 고수온-장일장인 $6{\sim}$7월 사이에 일어난다. 군성숙도 조사에서 50% 이상 산란에 참여하는 암컷 개체는 전장 $24.1{\sim}27.0$cm 이었으며, 30.1 cm 이상에서 전 개체가 산란에 참여하였다. 절대포란수에 있어서 총포란수와 송숙란수는 전장 및 체중이 커질수록 증가하였다. 상대포란수에 있어서 총포란수와 성숙란수는 전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이들 난수는 최대 체중(126.0${\sim}$150.0 g)에 도달하면 상대포란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nadosomatic index (GSI), fatness, ovarian development, first sexual maturity, and fecundity of the Korean anchovy Coilia nasus were investigat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morphometric analysis from January to December, 2007. The GSI and fatness began to increase in February, and reached...

주제어

참고문헌 (26)

  1. Bagenal TB, Braum E (1987) Eggs early life history. In. E. Ricker (editor). Methods for Assesment of Fish Production in Fresh Water. (Int Bio programme) Hand b. 3. pp 165-210. 

  2. Choi KC (1994). One Hundred Species of Korean Freshwater Fishes. Hyunam Co., pp 356-359. 

  3. Chung EY, An CM, Lee TY (1991) Sexual maturation of the bluespotted mudhopper, Boleophfhalmus pectinirostris (Linnaeus). J Kor Fish Soc 24:167-176 (in Korean). 

  4. Chung EY, Kim SY (1994) On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greenling, Hexagrammos agrammus. Korean J Ichthyol 6:222-236 (in Korean). 

  5. Chung EY, Bae JS, Kang HW, Lee HB, Lee KY (2008) Reproductive ecology of the silver pomfret Pampus argenteus on the West coast of Korea. Dev Repro 12:169-181 (in Korean). 

  6.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Korea, PP 118-120. 

  7. F edorov KY (1971) The state of the gonads of the Barents Sea Greenland halibut, Reinharditus hippoglossoides (Walb.) in connection with failure. J Ichtyol (Translated from the russian) 11:673-682. 

  8. Hayashi I (1972) On the white pomfret of the East China Sea-II. Relation between the oceanographical condition and distribution of the white pomfret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East China Sea Mem Fac Fish. Kogoshima Univ 25:181-191. 

  9. Honma Y (1961) Studies on the endocrine glands of the salmonid fish, ayu Plecoglossus alfivelus Temminck et Schlegeli. Jap Soc Sci Fish 27:873-880. 

  10. Kang HW (2002) Reproductive ecology and larval growth of the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Ph. D. Thesis Kunsan National Univ pp 1-134 (in Korean). 

  11. Kang HW, Chung EY, Kim JH (2004) Sexual maturation and spawning charateristics in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of the west coast in Korea. J Aquaculture 17:30-38 (in Korean). 

  12. Kim HB, Lee TY (1984) Reproductive biology of a shad, Konosirus punctatus (Temminck et Schlegel). Bull Kor Fish Soc 17:206-218 (in Korean). 

  13. Kim IS, Kang EJ (1993) Colored Fishes of Korea. Academic Pub Co., Seoul, pp 135-136. 

  14.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Freshwater Fishes 37:148-149. 

  15. Lee BW, Chung EY, Lee JY (2003) Histological study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Coilia nasus. J Aquaculture 16:179-186 (in Korean). 

  16. Lee TY, Hanyu I (1984) Reproductive cycle of small filefish Rudarius ercodes. Bull Korean Fishes Soc 17:423-435. 

  17. Matsui S, Tomishige SI, Tsukahara H (1986) Ecological studies on the Engraulid fish, Coilia nasus Temminck et Schlegel. I. Preliminary report on the ecology of the ascending population. Sci Bull Fac Agr Kyushu Univ 40:221-228. 

  18. Takita T (1967) The spawning and the early life history of the Engraulid fish, Coilia sp. distributed in Ariake Sound. Japan J Ichthyol 23:107-122. 

  19. Takita T, Masutani H (1979) Spawning area of Engraulid fish, Coilia nasus. Japan J Ichthyol 46:219-230. 

  20. Volodin VM, Mehnin FI, Kuzmina VV (1974) An experimental study of egg resorption in the bream, Abramis brama. J Ichthyol (Translated from the Russian) 14:219-230. 

  21. Yoshimoto M, Kitajima H, Kawamura Y (1993) Ecological study of Engraulid fish, Coilia nasus in the Ariake Sear. Estimation of anadromous migration by using information of catch. Bull Saga Prefect Ariake Fish Res Dev Cent 15:1-10. 

  22. 石田方一, 佐?木武男, 有田範子(1961) ニシンの卵?卵に關 する組織的?究(豫報) 所謂 "死に子"について. 水産廳 北海道區 水産?究所 ?究報告 23:171-176. 

  23. 이봉우 (2003) 한국 서해산 응어, Coilia nasus의 성성숙과 산란. 群山大學校 産業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p 1-50. 

  24. 안철민 (1994) 각시붕어, Rhodeus uyekii (Piscesi Cyprinidae)의 生殖週期 및 그 特徵에 관한 硏究. 益山水産大學校 大學院 搏士學位論文. pp 1-81. 

  25. 윤창호 (1996) 韓國? 멸치科와 청어科 漁類의 分類 및 形熊, 全北大學校 大學院 博土學位論文. pp 17-26 

  26. 최기호 (2007) 한국산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의 번식생태 및 유전학적 분석. 群山大學校 大學院 搏士學位論文. pp 1-1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