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원치료 중인 뇌병변 장애노인의 생활스트레스, 가족지원, 우울간의 관계성 검증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Daily Hassles, and Family Support among Elderly Cerebral Vascular Accident Outpatient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7 no.7 = no.253, 2009년, pp.33 - 43  

문수경 (대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pression has a direct relationship with lower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ith cerebral vascular accidents(CVA). Daily hassles worsen depression for elderly with CVA disability and thus an effective intervention is necessary. This research examined the direct influence of daily hassles on depre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장애의 발생 시기가 짧고 아직 통원치료 중인 뇌병변 장애노인은 일차적 지지체계인 가족의 지원이 절대적이고, 적절하지 않은 물리적인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아직 성공적으로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뇌병변장애 노인보다 통원치료 중인 장애노인이 겪는 일상적인 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두 변수 간 가족지원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뇌병변 장애노인의 우울증 개입 전략과 이와 관련된 가족을 위한 임상 및 정책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자료를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뇌병변 장애 노인의 비율도 함께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들의 삶의 질을 저하하는 정신적 문제인 우울증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요인들을 검증해 봄으로써 이들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개입전략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의 몇 가지 한계점을 지적하자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로 인하여 입원 후 퇴원하여 의료기관에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뇌병변 장애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직접효과와 이들 간의 가족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본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뇌병변 장애 노인의 우울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에 대한 실천 방법과 가족지원에 대한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뇌병변장애 노인보다 통원치료 중인 장애노인이 겪는 일상적인 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두 변수 간 가족지원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뇌병변 장애노인의 우울증 개입 전략과 이와 관련된 가족을 위한 임상 및 정책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자료를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강영실, 박옥희(1999). '노인의 스트레스 생활사건,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y Society, 13(1), 1-11 

  2. 고승덕, 손애리, 최윤신(2001).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 6(1), 3-15 

  3. 기백석(1996).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정신의학, 35(2), 298-307 

  4. 김두섭, 김남준(2000). 회귀분석: 기초와 응용. 서울: 나남 

  5. 김오남(2003). 농촌노인의 건강수준,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8(2), 5-22 

  6. 김재엽, 김동배, 최선희(1998). 노인부부의 스트레스와 갈등, 우울증, 그리고 권력. 한국노년학, 18(3), 103-122 

  7. 문수경(2007). 중풍노인의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가족지지와 선행대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 27(3), 563-578 

  8. 문수경, 정재은, 손의성(2008). 중풍장애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사회참여와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24, 223-248 

  9. 배병렬(2000). 구조방정식 모델: 이해와 활용. 서울: 대경 

  10. 배옥현, 홍상욱(1999). 거동불편 노인과 일반노인의 스트레스 영향 변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Resource Development, 18(1), 72-80 

  11. 선우덕, 정경희, 오영희, 조애저, 석재은(2001). 전국 노인장기요양보호 욕구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2. 신경림, 김정선(2005). 운동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노인의 운동에 대한 지식태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5(6), 1144-1152 

  13. 오병훈(2006), 노인자살문제와 예방. 임상노인의학회지, 7(1), 88-92 

  14. 윤수진, 이윤환, 손태용, 오현주, 한근식, 김경희(2002).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와 우울증의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2(3), 59-73 

  15. 이달엽(2003).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5(12), 131-153 

  16. 이영자, 김태현(1999).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한국노년학, 19(3), 79-93 

  17. 이평숙, 이영미, 임지영, 황라일, 박은영(2004).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4(3), 477-484 

  18. 이화진, 이명선(2006). 뇌졸중후 편마비를 가진 중년기 환자의 적응과정. 대한간호학회지, 36(5), 792-802 

  19. 정영미(2007).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7(1), 71-86 

  20.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외(1999).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8(1), 48-63 

  21. 탁영란, 김순애, 이봉숙(2003).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 및 도구적지지요구와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4), 449-456 

  22. 탁진국, 한덕웅(1993). 생활사건, 자기효능성 및 대처양식에 따른 부적효과의 인과적 모형검증. 한국심리학회 93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439-461 

  23. 허준수, 유수현(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3, 7-35 

  24.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19(1), 161-178 

  25. 홍세희, 유숙경(2004). 다변량 교차 잠재성장 모형을 이용한 내외통제성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17(2), 131-146 

  26. Astrom, M., Adolfsson, R., & Asplund, K.(1993). Major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A 3-year longitudinal study.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Medicine. University Hospital, Umea, Sweden 

  27. Auslander, G. K., Soffer, M., & Auslander, B. A.(2003). The supportive community : Help seeking and service use among elderly people in Jerusalem. Social Work Research, 27(4), 209-221 

  28. Baron, R. M.,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29. Bhogal, S. K., Teasell, R. W., Foley, N. C., & Speechley, M. R.(2003). Rehabilitation of aphasia: more is better. Top Stroke Rehabilitation, 10(2), 66-76 

  30. Blazer, D.(1998). Emotional problems in later life: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ofessional caregivers (2nd).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1. Bodenstein, E.(1997). The relationships between existential coping styles, hassles, and well-being in a noninstitutional elderly population. York University,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32. Bovbierg, V. E., McCann, B. S., Brief, D. J., Follette, W. E., Retzlaff, B. M., Dowdy, A. A., et al.(1995). Social support and long term adherence to lipid lowering diet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1, 451-460 

  33. Browne, M. W., & Cudeck, R.(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s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34. Brown, G. K., Wallston, K. A., & Nicassio, P. M.(2006).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rheumatoid arthritis: A one-year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14), 1164-1181 

  35. Clarke, P., Marshall, V., Black, S. E., & Colantonio, A.(2002), Well-being after stroke in Canadian seniors: findings from the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Stroke, 33, 1016-1021 

  36. Cummings, S. M., Neff, J. A., & Husaini, B. A.(2003). Functional impairment as a predictor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The role of race, religiosity, and social support. Health and Society Work, 28(1), 23-33 

  37. Desrosiers, J., Bourbonnais, D., Noreau, L., Rochette, A., Brabo, G., & Bourget, A.(2005). Participation after stroke compared to normal aging. Journal rehabilitation Medicine, 37, 353-357 

  38. Desrosiers, J., Noreau, L., Rochette, A., Bravo, G., & Boutin, C.(2002). Predictors of handicap situations following post-stroke rehabilita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4(15), 774-785 

  39. Fiksenbaum, K. M., Greenglass, E. R., & Eaton, J.(2006). Perceived social support, hassles and coping among elderl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5(1), 17-30 

  40. Glass, T. A., & Maddox, G. L.(1992).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ocial support: stroke recovery as psychosocial transition. Social Science Medicine, 34(11), 1249-1261 

  41. Glass, T. A., Matchar, D. B., Belyea, M., & Feussner, J. R.(1993). Impact of social support on outcome in first stroke. Stroke, 24, 64-70 

  42. Grant, J. S., Elliot, T. R., Giger, N., & Bartolucci, A. A.(2001).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among family caregivers of individual with a stroke. Rehabilitation Psycholgy, 46(1), 44-57 

  43. Hackett, M. L., Anderson, C. S., House, A., & Health, C.(2008). Intervention for preventing depression after stroke. The Cochrane Collaboration. John Wiley & Sons 

  44. Hampton, N. Z.(2001). Disability status, perceived health,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4, 69-71 

  45. Holm J. E., & Holroyd, K.(1992). The daily hassles scale(revised): Does it measure stress or symptoms?, Behavioral Assessment, 14, 465-482 

  46. Isaksson, G., Skar, L., & Lexell, J.(2005). Women's perception of changes in the social network after spinal cork injur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7(17), 1013-1021 

  47. Jarvik, L. F.(1976). Aging and depression: some unanswered questions. Journal of Gerontology, 31, 324-326 

  48. Kanner, A. D., Coyne, J. C., Schaefer, C., & Lazarus, R. S.(1981). Comparison of two modes of stress measurement: Daily hassles and uplifts versus major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1), 1-39 

  49. Kaplan, H. B.(1996). Psychosocial Stress.Academic Press, NY 

  50. Koenig, H. G., & Blazer, D. G.(1992). Epidemiology of geriatric affective disorders. Clinical Geriatric Medicine, 8(2), 235-251 

  51. Kraaij, V., Arensman, A., & Spinhoven, P.(2002). Negative life events and depression in elderly persons: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einces 57(B, 1), 87-95 

  52. Labi, M. L. C., Philips, T. F., & Gresham, G. E.(1980). Psychosocial disability in physically resorted long-term stroke surviv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1, 561-565 

  53. Landerman, R., George, L. K., Cambell, R. T., & Blazer, D. G.(1989). Alternative models of the stress buffering hypothesi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7(5), 625-642 

  54. Landreville, P., & Vezina, J.(1994). Differences in appraisal and coping between elderly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high and low in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Mental Health, 3, 79-87 

  55. Lazarus R. 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56. Miller, K. E.(2001). Can family support improve stroke recovery? American Family Physician, 81, 881-887 

  57. Palmer, J. B., & Glass, T. A.(2004). Crisis intervention with individuals and their families following stroke: A model for psychosocial service during inpatient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psychology, 49(4), 338-343 

  58. Rizzo, M. V.(2002). Social work support services for stroke patients: Interventions and outcom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59. Robinson, R. G., Starr, L. B., Lipsey, J. R., Rao, K., & Price, T. R.(1984).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of post-stroke mood disorders: Dynamic changes in associated variables over the first six months of follow-up. Stroke, 15, 510-517 

  60. Salzman, C., & Shader, R. I.(1979). Clinical evalua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A. Raskin & L. E. Jarvik(Eds.). Psychiatric symptoms and cognitive loss in the elderly. Washington, DC: Hemisphere Pub. Corp 

  61. Sobel, M. E.(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62. Travis, L. A., Lyness, J. M., Shields, G., King, D., & Cox, C.(2004).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older adult primary care patients.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2(3), 265-271 

  63. Vaux, S., Riedel, S., & Stewart, D.(1987). Modes of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behaviors(SSB) scal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5(2), 209-237 

  64. Wilcox, V. L., Kasl, S. V., & Berkman, L. K.(1994). Social Support and physical disability in older people after hospitalization: A prospective study. Health Psychology, 13(2), 170-179 

  65.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 Leirer, V. O.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 37-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