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한론(傷寒論)"에 나타난 반표반리(半表半裏)의 개념에 관한 소고(小考)
A study on the meaning of 'Half outside and half inside(半表半裏)' in Sanhanlun(傷寒論) 원문보기

論文集 :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韓醫學編, v.18 no.2, 2009년, pp.21 - 29  

정일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윤창열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lf outside and half inside(半表半裏)' is the part which is located between outside and inside, and it is regarded as the nickname of ShaoYang(少陽) in Sanhanlun(傷寒論). About the meaning of 'Half outside and half inside', many medical scientists agreed that the 'outside' is 'TaiYang(太陽)', but they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그리고 小柴胡湯에 대한 분석을 통해 表와 裏의 개념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少陽病과 96條, 小柴胡湯에 대한 各家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이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傷寒論의 半表半裏에 대한 개념을 ‘表’와 ‘裏’ 의 의미를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는? 1. 半表半裏는 ‘半은 表에 있고 半은 裏에 있는 부위’ 혹은 ‘表와 裏 사이에 해당한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서, ‘表’가 ‘太陽’이라는 데는 各家의 의견이 일치하였으나 ‘裏’의 경우는, ‘陽明’이라는 입장과 ‘太陰’이라는 입장으로 나뉘었다. 2. 陽明과 太陰 중 어느쪽이 타당한 지 알기 위해 小柴胡湯을 구성하는 本草들의 歸經을 살펴본 결과, 足少陽膽經, 手太陰肺經, 足太陰脾經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裏’가 의미하는 바는 ‘太陰’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半表半裏에서 ‘表’는 ‘太陽’으로, 裏는 ‘太陰’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半表半裏란? 半表半裏는 ‘半은 表에 있고 半은 裏에 있는 부위’ 혹은 ‘表와 裏 사이에 해당한 부위1)’를 말하는 것으로서, 傷寒論의 六經 중 少陽의 전용 명칭처럼 불리우고 있다2). 半表半裏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成無已로서 그의 책 『注解傷寒論·辨少陽病脈證幷治篇第九』에서 “邪在少陽, 爲半表半裏”, “邪客少陽, 爲半在表半在裏” 라 한데서 유래한다3).
현재의 表와 裏의 개념은? 그런데 여기서의 ‘表’와 ‘裏’의 개념에 대해 成無已 자신조차도 확실하게 규정하여 쓰지 못하고 혼동하는 경향을 보인다4). 현재도 表와 裏의 개념에 대해 表는 太陽, 裏는 陽明으로 규정하는 경우도 있고, 表를 太陽, 裏를 太陰으로 규정하는 경우도 있어 ‘半表半裏’라는 용어의 명확한 개념이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