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어머니의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Variables Affecting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 Focus on Maternal Employment Statu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2, 2009년, pp.57 - 69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Peer Competence Scale(Park & Rhee, 2001),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Chun, 1993), Emotional Intelligence Quotient Scale(Kim & Kim, 1998), Maternal Parenting Scale(Park & Lee, 1990) Parental Involvement Checklist(Cohen, 1989), and Student-Teacher Rel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기의 주요 발달과제 중 하나는 또래관계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보고 보육시설에 다니는 만 5세 아동을 대상으로 또래유능성에 관련되는 아동, 부모, 교사 요인을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실제로 많은 아동들이 또래관계의 문제로 심각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또래관계의 부정적 순환주기를 스스로의 힘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유아들의 발달적 특성과 학령기에 접어들면 안정화되는 또래관계의 특성을 감안할 때(Ladd & Mize, 1990) 또래유능성에 기여하는 변인을 규명하는 체계적인 연구가 시급하다고 보여지며, 이를 통해 또래유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또래유능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와 같은 이유에서 아동들이 적절하고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또래와의 사회적 관계에서 성공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는 또래유능성은 또래를 주도적으로 이끌며 자신의 주장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주도성, 또래에게 민감하고 긍정적인 방식으로 반응하는 친사회성, 여러 아동과 잘 어울리고 또래로부터 잘 수용되는 사교성으로 구분된다(박주희, 2001). 이러한 또래유능성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래유능성을 설명하는 또 다른 변인으로 무엇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가? 근래들어, 또래유능성을 설명하는 또 다른 변인으로 내적 감정 상태 및 정서와 관련된 생리학적 발생, 강도, 지속기간을 조정하는 과정인 정서조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Katz & McClellan, 1997).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자신의 정서를 잘 조절하지 못하는 아동이 친사회적으로 행동하지 못하고 공격적인 행동과 위축된 행동이 빈번히 나타났으며, 성인으로부터 사회적으로 유능하지 못하다고 평가받으며 또래 집단에도 잘 수용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Eisenberg, & Fabes, 1992).
아동들이 적절하고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는 이유는? 인간은 출생과 동시에 수많은 관계 속에서 성장해간다. 최초의 사회적 관계는 가족 내에서 주 양육자와 시작되지만 점차 형제, 또래 및 다른 성인과의 관계로 확대된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자신이 속한 사회의 가치와 규범 및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 나가고 사회적 지원 및 자신을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또래와 효율적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종단적 연구(Bagwell, Newcomb, & Bukowski, 1998)에서 초기 또래관계가 이후 성인기의 사회적 적응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와 Crick(1996)의 유아기 때 또래와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실패한 유아들은 성장 이후에 비행이나 범죄적 행위 등과 같은 심각한 부적응 문제들을 경험하게 될 수 있다는 결과들은 또래유능성이 유아의 지능과 같은 인지적 능력 못지않게 성공적인 적응이나 성취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임을 보여주는 것이다(Parker & Asher,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고성혜(1994).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 21-37. 

  2. 구선라(1999).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 행동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김경미(2003). 과보호적 양육행동에 관련된 어머니와 아동의 특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경희 . 김경희(1998).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1(2), 31-48. 

  5. 김미경 . 김연화 . 한세영(2008). 어머니와 유아의 분리불안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7), 71-84. 

  6. 김수옥(2002). 유아의 기질과 사회인지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옥희(2007).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반응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 김희진(1998). 어머니의 인지, 어머니의 지도/감독행동, 그리고 유아의 또래간 유능성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1), 45-53. 

  9. 문혁준(2000). 또래수용도와 부모 양육태도 : 인기아와 고립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7), 39-52. 

  10. 박성연 . 이숙(1990).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41-156. 

  11. 박주희(2001).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 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2. 박주희 . 이은해(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13. 방경숙(2004). 취업모와 미취업모의 양육태도, 양육부담감 및 학령전기 자녀의 기질과 건강관련 변인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10(2), 217-224. 

  14. 손승희(2002).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능력과 또래유능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송 정(1999).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개입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6. 신경숙(2002). 유아의 기질에 따른 사회적 기술과 교사-유아 관계.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여연승(2003).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8. 위영희(2004). 유아의 정서능력과 또래유능성. 교육발전, 23(1), 137-158. 

  19. 이영 . 나유미(1999). 유아의 애착 및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 또래 상호작용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0(3), 19-32. 

  20. 이은화 . 배소연 . 조부경(1995). 유아교사론. 양서원. 

  21. 이진숙(2001). 유아의 애착표상과 교사-유아 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2. 임연진(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3-124. 

  23. 전경아(2003).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4. 조복희(1995). 아동발달의 이해. 교육과학사. 

  25. 조수연(1999).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6. 조혜진(2004). 유아의 사회 . 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 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7. 통계청(2008). 통계연보. 

  28. 천희영(1993).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14(2), 17-34. 

  29. 최영희(2004).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홍계옥(2001). 어머니의 자기-지각, 양육행동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22(2), 181-194. 

  31. Bagwell, C. L., Newcomb, A. F., & Bukowski, W. M.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 140-153. 

  32. Bhavnagri, N., & Parke, R. D. (1991). Parents as direct facilitators of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 Effect of age of child and sex of parents. Journal of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hips, 8, 541-549. 

  33. Campos, J. J., Goldsmith, H. H., Barrel, K. C., Lamb, M. E., & Stenbery, C. (1983). Socioemotional development. NY : Wiley. 

  34. Crick, N. R. (1996). The role of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hildren's future soci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 2317-2327. 

  35. Crouter, A. C. (1984). Participative work as an influence on human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5, 71-90. 

  36. Dekovic, M., & Janssens, J. M. A. M. (1992), Parents' child-rearing style and child's sociometric status. Developmental Psychology, 28, 925-932. 

  37. Eisenberg, N., & Fabes, R. A. (1992). Emotion 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M. S. Clark(ed.),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Vol.14). Newbury Park, CA : Sage. 

  38. Gold, M. (1978). Maternal confidence during toddler-hood : Comparing pattern and fullterm group.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2, 1-9. 

  39.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Y : Bantam Books. 

  40. Greenberger, E., Goldberg, W. A., Hamill, S., O'Neil, R., & Payne, C. K. (1989). Contribution of supportive work environment to parent's wellbeing and orientation to work.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7, 755-783. 

  41. Hartup, W. W. (1983). Peer relations. In E. M. Hetheringto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Vol.4). NY : Wiley. 

  42. Howes, C. (1997). Teacher sensitivity, children's attachment and play with peer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8(1), 41-50. 

  43. Howes, C., Matheson, C. C., & Hamilton, C. E. (1994).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 Child Development, 65, 264-273. 

  44. Howes, C., Phillips, D. A., & Whitebook, M. (1992). Thresholds of quality : Implications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center-based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63, 449-460. 

  45. Hurlock, E. B. (1978). Child development. NY : McGraw-Hall. 

  46. Katz, L. G., & McClellan, D. E. (1997).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leacher's role. Vol. 8. NAEYC Research into Practice Series. 

  47. Kupersmidt, J. B., & Dodge, K. A. (2004). Children's peer relations : From development to interven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48. Ladd, G. W., & Hart, C. H. (1992). Creating informal play opportunities : Are parents' and preschoolers' initiations related to children's competence with peers? Developmental Psychology, 28, 1179-1187. 

  49. Ladd, G. W., Profile., S. M., & Hart, C. H. (1992). Parents' management of children's peer relations : Facilitating and supervising children's activities in .he peer culture. In R. D. Parke & G. W. Ladd(eds.), Family-peer relationships : Modes of linkage(pp.215-253).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0. Laird, R. D., Pettit, G. S., Mize, J., & Lindsey, E. (1994). Mother-Child conversations about. peers : Contributions to competence. Family Relations, 43, 425-432. 

  51. Mackinnon-Lewis, C., Rabiner, D., & Starnes, R. (1999). Predicting boys' social acceptance and aggression : The role of mother-child interactions and boys' beliefs about peers. Developmental Psychology. 35, 632-639. 

  52. Parker, J. G., & Asher, S. R. (1993).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r childhood : Link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 611-621. 

  53. Parker-Cohen, N. Y., & Bell, R. Q.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to pe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179-192. 

  54. Pianta, R. C. (1991).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paper. University of Virginia, Charlottesville, VA. 

  55. Pianta (1994).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kindergarten leach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2(1), 15-31. 

  56. Pianta, R. C., & Steinberg, M. (1992).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adjustment to school.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7, 61-80. 

  57. Putallaz, M., & Heflin, A. H. (1990). Parent-child interaction.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pp.189-216). N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Rubin, K. H. (1995). Parents' thoughts about children's socially adaptive and maladaptive behaviors : Stability, change,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I. E. Sigel, A. V. McGillicuddy-DeLisi, & J. J. Goodnow(eds.), Parental belief systems :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pp.47-69).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9. Thomas, A., & Chess, S. (199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Brunner/Mazel. 

  60. Walker, M., Berthelsen, D., & Irving, K. (2001), Temperament and peer acceptance in early childhood : Sex and social status differences, Child Study Journal, 31(3), 177-1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