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Teacher Recognized Toddler-teacher Relationships Compared with Observed Toddler-teacher and Toddler-peer Interactions in Play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3, 2009년, pp.99 - 112  

정미조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희진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how infant-teacher relationships perceived by teachers related to observed toddler-teacher and toddler-peer interactions in play. Participants were 57 2-year-old toddlers and their 8 teachers. Toddler-teacher perceived relationships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 toddler-teach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2세를 대상으로 여러 명의 교사와의 사이에서 맺어지는 영아-교사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의 놀이 시 상호작용을 통해 실제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이 도구는 개별행동, 또래와의 상호작용, 교사와의 상호작용의 세 범주로 나누어 관찰하도록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놀이 시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살펴보고자 하여세 범주 중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 부분은 긍정적인 행동과 부정적인 행동으로 세분화하여 관찰하였다. 관찰은 오전, 오후 자유놀이 시간에 연구자가 영아가 보이는 행동을 10초 관찰, 10초 기록의 시간표집법으로 한 영아 당 총 90회(30분)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복수담임 학급의 두 명의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의 관련성과 영아의 놀이 시 나타나는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을 알아보고 두 명의 교사가 인식한 관계와 실제 나타나는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별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와 최초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영아와 최초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람은 부모이며 특히 그 중 주 양육자인 어머니이다. 영아-어머니 관계는 영아에게 다른 사람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을 때 필요한 안정감과 신뢰감의 기반을 제공한다(김경란, 2006).
영아-어머니 관계는 영아에게 무엇을 제공하는가? 영아와 최초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람은 부모이며 특히 그 중 주 양육자인 어머니이다. 영아-어머니 관계는 영아에게 다른 사람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을 때 필요한 안정감과 신뢰감의 기반을 제공한다(김경란, 2006). 때문에 영아기 사회적 관계와 관련한 초기의 연구들은 주로 주 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애착형성에 대해서 다루었다(Frankel & Bates, 1990; Pipp, Easterbrooks, & Harmon, 1992; Fagot, 1997).
영아-교사 관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여 설명하시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명의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는 서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쪽의 관계가 다른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영아의 기질이나 성격 등도 영향을 주어 두 명의 교사와 영아간의 관계가 서로 유사한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영아를 보육함에 있어 학급의 두 명의 교사는 영아의 기질이나 성격에 따라 갈등적인 관계를 맺지 않도록 일관성 있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보이며 자신이 맡은 학급의 모든 영아와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다. 둘째, 만 2세 영아도 또래 관계가 활발히 이루어지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부정적인 상호작용보다 많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영아기 발달상 사회적 기술이 부족해 또래 관계에서 갈등과 좌절을 겪기 쉽다. 그러므로 영아를 지도하는 교사는 영아가 또래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영아기의 사회성 발달의 특징과 효과적인 상호작용 방법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하겠다. 이를 위해 영아의 또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교사 교육이 이루어져 영아기의 또래관계를 지원해 줄 수 있어야 하겠다. 셋째, 교사가 갈등적인 관계에 있다고 인식한 영아는 실제로 교사, 또래와 부정적 상호작용을 많이 했다. 또한 교사가 영아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 할수록 실제 또래, 교사와 관계에서 모두 부정적인 상호작용은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인식한 영아와의 관계가 실제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교사는 영아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교사는 놀이 시 영아에게 격려, 칭찬, 제안과 같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보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교사 스스로의 노력과 상호작용 훈련과 같은 장학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곽주영(1996). 보육교사 행동의 질적 수준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선라(1999).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행동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란(2006). 놀이에 나타난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난실(2004). 만2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인아(2004). 교사-유아 애착안정성과 교사-유아 관계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지선(2000). 영유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손혜숙(2000). 복합애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성과 반사회성. 유아교육연구, 20(3), 85-97. 

  8. 신지연(2004). 2세 영아의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복합애착과 사회 . 정서적 행동.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여연승(2003).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육아정책개발센터(2005). 보육통계. 2008년 10월 3일 http://www.kicce.re.kr/에서 검색. 

  11. 이선영(2006).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과 영아의 사회 . 정서적 행동 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순형. 김정연(1997). 보육 시설 내 성별에 따른 영아와 교사 및 또래간으 사회적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18(1), 23-38. 

  13. 이현호(1997). 영아-교사 간 애착안정성에 따른 사회적 놀이 참여 행동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임은혜(2005). 영아의 기질에 따른 기관 적응 및 또래와의 비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장영희(1987). 영아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연구 : 어머니 및 또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전경아(2003).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미숙(2007).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이 영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남선(2002). 영아-교사 간 애착 안정성과 영아 상징 놀이에서의 자기-타인 관계성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상흔(2007).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서윤(2002). 영아와 어머니의 애착안정성에 따른 사회적 놀이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지현. 박혜원(2000). 보육환경(보육시설 및 교사)이 영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논문집(울산대학교), 2(1), 73-87. 

  22. Adler, T. F., & Furman, W. (1988). A model for children's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 dysfunction. In S. Duck(Series Ed.) Handbook of personal relationships : Theory, research and inventions (pp.211-229). New York, NY : John Wiley & Sons. 

  23. DeVries, R., & Zen, B. (1997). 유아를 위한 사회도덕성 교육(이은화. 이경우. 곽향림 공역). 서울 : 창지사(원서 1995 출판). 

  24. Dunn, J. (1993). Young children's close relationships : Beyond attachment. Newbury Park, CA : Sage. 

  25. Field, T. (1979). Differential behavior and cardiac response of three-month-old infant to a mirror and peer.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 179-184. 

  26. Frankel, K. A., & Bates, J. E. (1990). Mother-toddler problem-solving : Antecedents in attachment, home behavior, and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67(3), 810-819. 

  27. Fru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 (6), 1016-1024. 

  28. Howes, C, & Hamilton, C. E. (1993).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 Changes in teachers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15-32. 

  29. Howes, C, Hamilton, C. E., & Philipsen, L. C. (1998). Stability and continuity of child-caregiver and child-peer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9(2), 418-426. 

  30. Howes, C, Matheson, C. C, & Hamilton, C. E. (1994b).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Child Development, 65(1), 264-273. 

  31. Kail, R. V. (2008). 아동과 발달(권민균. 김정민. 최형성 공역). 서우 : 시그마 프레스(원서 2007 출판). 

  32. Miller, J. (1993). Learning from early relationship experience. In S. Duck (Series Ed.), Understanding relationship process : Vol.2. Learning about relationship(pp. 1-29). Newbury Park, DO : Sage. 

  33. Piaget, J. (1932). The moral judgment of the child. Glencoe, IL : Free Press. 

  34. Pipp, S., Easterbrooks, M. A., & Harmon, R. J. (1992).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knowledge of self and mother in one-year-old infant to three-year-old infant. Child Development, 63(3), 738-750. 

  35. Vandell, D, Hunderson, V., & Wilson, K. (1988). A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 with day care experience of varying quality. Child Development, 59 (5), 1286-12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