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교사의 애착 및 영아의 몸짓(gesture)과 영아 언어발달 간의 관계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Attachment or Infant Gesture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원문보기

韓國保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17 no.4, 2017년, pp.121 - 143  

신애선 (호원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 애착 및 영아의 몸짓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가정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 63곳에 재원 중인 18~24개월 영아와 그 담임교사 84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 애착은 영아의 언어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교사 애착 유형별로는 긍정적정서, 접촉추구, 자기희생적온정, 근접추구, 결속, 기대감 모두 수용언어,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보호는 수용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냉담만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 몸짓의 하위요인 중 지시적몸짓은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관습적몸짓과 표상적몸짓은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애착과 영아 몸짓이 영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체언어에 대해서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영아 언어 유형별로는 수용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표현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결속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 언어발달에는 영아의 몸짓보다 영아교사의 애착이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교사와 영아의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통해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attachment or infant gesture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infants aged between 18 and 24 months and their 84 teachers of 63 home day care centers and infant day care centers in J city, J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아가 어머니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과 동시에 어머니가 영아에 대해 갖는 결속(bond)을 ‘어머니 애착’으로 본다는(Denham & Moser, 1994) 이론을 토대로, 애착은 생애 초에 형성된 주 양육자와 영아 간의 애착이 내적 표상의 형태로 내재화되어(West Sheldon, & Reiffer, 1987), 영아기 주 양육자와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이지만, 영아보육에 애착이론을 적용한 부모- 자녀 관계와 교사-영아 관계의 연구들에서 많은 유사점이 보고되고 있는 바(이경례, 문혁준, 2016;Howes & Hamilton, 1992), 영아교사의 애착이 교사-영아 간 애착관계의 질로 이어져 언어발달 발달을 포함한 영아 발달(Kesner, 2000)을 돕는다는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영아교사의 애착’으로 보고자 한다. 이에 영아교사의 애착은 영아 언어발달의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짐작해 볼 수 있기에 영아교사의 애착과 언어발달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와 그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영아교사 애착 및 영아 몸짓과 영아 언어발달의 관련성을 밝히고, 영아 언어발달에 대해 영아의 몸짓과 영아교사 애착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 언어발달 발달을 위한 영아의 외적 요인과 영아교사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탐색과 영향력을 밝혀 영아교사와 영아의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통해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영아가 어머니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과 동시에 어머니가 영아에 대해 갖는 결속(bond)을 ‘어머니 애착’으로 본다는(Denham & Moser, 1994) 이론을 토대로, 애착은 생애 초에 형성된 주 양육자와 영아 간의 애착이 내적 표상의 형태로 내재화되어(West Sheldon, & Reiffer, 1987), 영아기 주 양육자와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점이지만, 영아보육에 애착이론을 적용한 부모- 자녀 관계와 교사-영아 관계의 연구들에서 많은 유사점이 보고되고 있는 바(이경례, 문혁준, 2016;Howes & Hamilton, 1992), 영아교사의 애착이 교사-영아 간 애착관계의 질로 이어져 언어발달 발달을 포함한 영아 발달(Kesner, 2000)을 돕는다는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영아교사의 애착’으로 보고자 한다. 이에 영아교사의 애착은 영아 언어발달의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짐작해 볼 수 있기에 영아교사의 애착과 언어발달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언어발달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개인적 특성인 영아의 몸짓과 환경적 특성인 영아교사의 애착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언어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 언어는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그 말에 쓰인 낱말이나 문장을 맞추어 해석하는 수용언어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을 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낱말이나 구문으로 만들어 내는 표현언어로 구분된다(김영태,2000). 영아기 영아의 언어는 주위 사람들과 관계 맺음을 위한 정서적 의사소통의 핵심으로 생존과 성장에 영향을 주고, 인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Vygotsky, 1986).
언어는 영아기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 언어는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그 말에 쓰인 낱말이나 문장을 맞추어 해석하는 수용언어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을 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낱말이나 구문으로 만들어 내는 표현언어로 구분된다(김영태,2000). 영아기 영아의 언어는 주위 사람들과 관계 맺음을 위한 정서적 의사소통의 핵심으로 생존과 성장에 영향을 주고, 인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Vygotsky, 1986). 대부분의 영아들은 생후 12개월경 첫 단어를 산출하여, 18~24개월 사이에는 급격히 단어를 습득하는 ‘어휘 폭발기(vocabulary burst)'가나타나며(Owens, 2013), 2~3세에는 하루 3~5개 정도의 단어를 연결할 정도로 발달된다(Weisleder &Fernald, 2013).
영아의 언어는 어떻게 발달하는가? 영아기 영아의 언어는 주위 사람들과 관계 맺음을 위한 정서적 의사소통의 핵심으로 생존과 성장에 영향을 주고, 인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Vygotsky, 1986). 대부분의 영아들은 생후 12개월경 첫 단어를 산출하여, 18~24개월 사이에는 급격히 단어를 습득하는 ‘어휘 폭발기(vocabulary burst)'가나타나며(Owens, 2013), 2~3세에는 하루 3~5개 정도의 단어를 연결할 정도로 발달된다(Weisleder &Fernald, 2013). 그러므로 영아기 영아의 언어와 발달 그리고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언어발달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김기철, 신애선 (2016). 영아교사의 전문성, 민감성, 행복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보육학회, 16(2), 57-82. 

  2. 김기철, 이선채 (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민감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2), 201-226. 

  3. 김명순, 이유진 (2007). 어머니의 상호적 반응성과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 간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3), 97-107. 

  4. 김선영, 김희진 (2014). 영아의 기질, 어머니-자녀 간 애착,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 애착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4(5), 31-54. 

  5. 김영실, 정영실 (2014). 영아의 가정문해환경 및 부모효능감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43-264. 

  6. 김영실, 신애선, 김선미, 곽경화 (2014). 영유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1), 73-90. 

  7. 김의향 (2006). 7-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 몸짓과 어휘습득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 현 (2010).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 상호작용과 영아 언어능력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2), 67-93. 

  9. 남효정, 장경은 (2015). 어머니 애착수준 및 언어통제유형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 Korean J. of Child Studies, 36(4), 143-161. 

  10. 박경희 (2016). 교사-영아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멘토링 적용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세진 (2009). 영아의 몸짓 사용 종류와 어휘 습득간의 관계: '8-24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보건복지부 (2014).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침서. 보건복지부. 

  13. 배소영 (2003). 영유아기 의미평가도구 MCDI-K 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관한 연구. 언어 청각장애연구, 8(2), 1-14. 

  14. 배유림 (2016). 10-18개월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시도에 대한 어머니 반응과 영아 어휘력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사지나 (2015). 몸짓언어 사용에 따른 만 1세 영아의 의사소통.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송하나 (2016). 어머니의 발화 촉진 행동이 영아의 의사표현몸짓, 의성어, 어휘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29(3), 1-16. 

  17. 송현정, 조민규, 김춘경 (2014). 주 양육자에 따른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착이 유아의 ADHD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2), 133-150. 

  18. 신애선 (2014). 10-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 및 어휘력 간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신애선, 김영실 (2013). 6-25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의 발달 및 기질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519-539. 

  20. 신애선, 김영실 (2016). 10-18개월 영아 어휘력 발달의 종단연구: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회, 36(1), 273-275. 

  21. 신애선, 김경후, 유지은 (2015). 영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의 사회.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3), 173-191. 

  22. 안지혜 (2014). 영아 초기 적응과정에서 영아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적응기간의 의미. 한국보육학회지, 14(3), 81-105. 

  23. 이경례, 문혁준 (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00, 1-23. 

  24. 이윤선 (2012).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 및 영아 어휘력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지영 (2015). 13-18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놀이의 관계에서 어머니 반응성의 역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채현 (2013). 가정환경자극 및 가정문해활동과 만 2세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현주 (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28. 장유경, 이근영 (2006). 영아의 기질과 초기 어휘 습득의 관계. 아동학회지, 27(6), 263-276. 

  29. 장유경, 최윤영, 김소연 (2005). 한국 영아의 초기 의사소통: 몸짓의 발달. 아동학회지, 26(1), 155-167. 

  30. 조미숙, 전홍주 (2016). 만 1세 영아반 교사의 정서적 노동에 대한 경험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6(4), 23-50. 

  31. 주영은 (2007). 애착증진을 위한 영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7(3), 35-52. 

  32.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33. 허계형 (2006). 영유아의 장애 조기발견을 위한 발달선별도구 K-ASQ(Korean-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의 적용. 총신대논총, 26, 478-500. 

  34. Acredolo, L. P., Adams, A., & Goodwyn, S. W. (1983). The role of self-produced movement and visual tracking in infant spatial orient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38(2), 312-327. 

  35. Ainsworth, M. S. (1979). Infant-mother attachment. American Psychologist, 34(10), 932-946. 

  36. Arend, R., Gove, F. L., & Sroufe, L. A. (1979). Continuity of individual adaptation from infancy to kindergarten: a predictive study of ego-resiliency and curiosity in preschoolers. Child Development, 50(4), 950-959. 

  37. Bates, J. E., Thal, D., Whitesell, K., Fenson, L., & Oakes, L. (1989). Integrating language and gesture in infancy. Developmental Psychology, 25(6), 1004-1019. 

  38. Brooks, R., & Meltzoff, A. N. (2015). Connecting the dots from infancy to childhood: A longitudinal study connecting gaze following, language, and explicit theory of mind.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3(2), 67-78. 

  39. Bifulco, A., Kwon, J., Jacobs, C., Moran, P. M., Bunn, A., & Beer, N. (2006). Adult attachment style as mediator between childhood neglect/abuse and adult depression and anxiety.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1(10), 796-805. 

  40. Bowlby, J. (1988). The role of attachment in personality development.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119-136. 

  41. Capone, N. C., & McGregor, K. K. (2004). Gesture development: A review for clinical and research practic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7(1), 173-186. 

  42. Capirci, O., Iverson, J., Pizzuto, E., & Volterra, V. (1996). Gestures and words during the transition to two-word speech. Journal of Child Language, 23(3), 645-673. 

  43. Chapman, J. W. (2000). Climate effects on the geography of nonindigenous peracaridan crustacean introductions in estuaries. Marine Bioinvasions. MIT Sea Grant College Program. Cambridge MA, 66-80. 

  44. Cullinan, B. E. (1987). Children's literature in the reading program.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800 Barksdale Rd., PO Box 8139, Newark, DE 19714-8139 (Book No. 782, $12.00 member, $18.00 nonmember).. 

  45. Clarke-Stewart, K. A. (1987). Predicting child development from child care forms and features: The Chicago study. In D. A. Phillips (Ed.), Quality in child care: What does research tell us? Research Monographs of the National Assoct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pp. 22-42). Washington, D.C: NAEYC. 

  46. Denham, S. A., & Moser, M. H. (1994). Mothers' attachment to infants: relations with infant temperament, stress, and responsive maternal behavior.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98(1), 1-6. 

  47. Fenson, L., Dale, P. S., Reznick, J. S., Bates, E., Thal, D. J., & Pethick, S. J. (1994). Variability in early communicative development.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5), 1-173. 

  48. Fernald, A., Marchman, V. A., & Weisleder, A. (2013). SES differences in language processing skill and vocabulary are evident at 18 months. Developmental Science, 16(2), 234-248. 

  49. Fox, S. E., Levitt, P., & Nelson III, C. A. (2010). How the timing and quality of early experiences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brain architecture. Child Development, 81(1), 28-40. 

  50. Fuller, T. K. (1991). Effect of snow depth on wolf activity and prey selection in north central Minnesota. Canadian Journal of Zoology, 69(2), 283-287. 

  51. Goldin-Meadow, S. (2000). Beyond words: The importance of gesture to researchers and learners. Child Development, 71(1), 231-239. 

  52. Greenstein, J. M., Greenstein, B. B., McConville, K., & Stellini, L. (1975). Mother-infant communication and language acquisition in deaf infants. New York: Lexington School for the Deaf, 8. 

  53. Halberstadt, G. (1991). Die Angestellten und ihre Gewerkschaft: Stationen einer bewegten Geschichte. Haufe. 

  54. Hay, D. F., Nash, A., & Pedersen, J. (1983). Interaction between six-month-old peers. Child Development, 27(1), 557-562. 

  55. Hinde, R. A. (1979). Towards understanding relationships (Vol. 18). Academic Press. 

  56. Howes, C., & Hamilton, C. E. (1992).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child care teachers: Stability and concordance with parental attachments. Child Development, 63(4), 867-878.] 

  57. lverson, J. M., Capirci, O., Longobardi, E., & Caselli, M. C. (1999). Gesturing in mother-child interactions. Cognitive Development, 14(1), 57-75. 

  58. Kesner, J. E. (2000). Teacher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child-teacher relationship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8(2), 133-149. 

  59. Kang, M. H., & Lee, H. S. (1997). Stydy on the practice of lierature education in the educare center.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0(4), 78-96. 

  60. Kirk, E., Howlett, N., Pine, K. J., & Fletcher, B. C. (2013). To Sign or Not to Sign? The Impact of Encouraging Infants to Gesture on Infant Language and Maternal Mind Mindedness. Child Development, 84(2), 574-590. 

  61. Klaus, M. H., & Kennell, J. H. (1976). Maternal-infant bonding: The impact of early separation or loss on family development. 

  62. Marvin-Sikkema, F. D., Richardson, A. J., Stewart, C. S., Gottschal, J. C., & Prins, R. A. (1990). Influence of hydrogen-consuming bacteria on cellulose degradation by anaerobic fungi.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56(12), 3793-3797. 

  63. McNeill, D. (1998). Speech and gesture integration.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98(79), 11-27. 

  64. Mercer, R. T., Ferketich, S. L., & Dejoseph, J. F. (1993). Predictors of partner relationships during pregnancy and infanc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6(1), 45-56. 

  65. Muller, P. (1994). Glossary of terms used in physical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1994). Pure and Applied Chemistry, 66(5), 1077-1184. 

  66. Myung, H. O. (2001).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cy environment of family and the reading ab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Education University. 

  67. Nelson, P. B., Adamson, L. B., & Bakeman, R. (2008). Toddlers' joint engagement experience facilitates preschoolers' acquisition of theory of mind. Developmental Science, 11(6), 847-852. 

  68. Oppenheim, D., Sagi, A., & Lamb, M. E. (1988). Infant-adult attachments on the kibbutz and their relation to socioemotional development 4 years later. Developmental Psychology, 24(3), 427-433. 

  69. Pressman, L., Pipp-Siegel, S., Yoshinaga-Itano, C., & Deas, A. (1999). Maternal sensitivity predicts language gain in preschool children who are deaf and hard of hearing.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4(4), 294-304. 

  70. Reinertsen, J. L. (2000). Let's talk about error. Th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72(6), 356-357. 

  71. Owens, R. E. (2013). 언어발달(이승복, 이화란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1998년에 출판). 

  72. Posada, D., & Crandall, K. A. (2002). The effect of recombination on the accuracy of phylogeny estimation. 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54(3), 396-402. 

  73. Snow, R. E. (1977). Individual differences and instructional theory. Educational Researcher, 6(10), 11-15. 

  74. Sroufe, L. A., & Fleeson, J. (1986). Attachment and the construction of relationships.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51(7), 72-86. 

  75. Thal, D., Tobias, S., & Morrison, D. (1991). Language and Gesture in Late Talkers A 1-Year Follow-up.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4(3), 604-612. 

  76. Valloton, C. (2012). Infant signs as intervention? Promoting symbolic gestures for preverbal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support responsive parent-child relationship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3), 401-415. 

  77. Van Ijzendoorn, M. H., Vereijken, C. M., Bakermans-Kranenburg, M. J., & Marianne Riksen-Walraven, J. (2004). Assessing attachment security with the attachment Q sort: Meta-analytic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observer AQS. Child Development, 75(4), 1188-1213. 

  78. Vygotsky, L. S. (1986). Thought and language-Revised edition. 

  79. Wetherby, A. M., & Prizant, B. M. (2003).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symbolic behavior scales(Manual). Chicago, IL: The Riverside Publisher. 

  80. West, M., Sheldon, A., & Reiffer, L. (1987). An approach to the delineation of adult attachment: Scale development and reliability.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75(12), 738-741. 

  81. Wolff, M. S., & Ijzendoorn, M. H. (1997). Sensitivity and attachment: A meta-analysis on parental antecedents of infant attachment. Child Development, 68(4), 571-5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