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아동의 현황 및 쟁점에 관한 연구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0 no.6, 2009년, pp.405 - 416  

김경희 (국립목포대학교 아동학과) ,  강현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안소영 (국립목포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most 18,000 children were protected in 285 residential facilities all over the country in 2008 in Korea. The recent trends of the residential care include downsizing, and emphasizing independent living programs for aging out youths. Since the 1990s when the active research on the children in res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출처> 신혜령ㆍ박은미ㆍ강현아(2008).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고서. 서울:보건복지가족부, p.
  • 또 다른 문제는 퇴소청소년이 시설에서 취득한 자격증이 퇴소 이후 실제 취업직종과는 별로 상관이 없는 것을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퇴소청소년의 자립증진을 위해서는 퇴소청소년들의 욕구와 소질에 맞춘 취업준비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시설과 기업체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 대규모시설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비교적 초기연구로서는 이태수ㆍ함철호ㆍ이용교의 연구(1997)를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무허가 소규모아동복지 시설을 양성화함으로써 대규모시설에서 부족한 가족공동체를 지향하는 시설로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이배근(2000)은 대규모 수용 위주의 시설형태에서 벗어나 그룹홈 모델을 개발하여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면서, 우리나라에서 활성화될만한 그룹홈 모델로서 가정해체 아동을 위한 단기주거형, 소년소녀가정 및 시설부적응 아동들을 위한 장기주거형, 피학대아동 및 가출아동, 비행아동들을 위한 단기치료형 그룹홈, 발달장애아동들을 위한 장기치료형 그룹홈 등 4가지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시설아동의 현황과 연구쟁점 및 실제적정책적 이슈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시설아동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보호 아동이란? 요보호 아동이란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 또는 보호자가 아동을 학대하는 경우 등 그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부적당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의 아동을 말한다(아동복지법 제 22조). 이러한 아동들에게는 국가의 특별한 보호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입양, 가정위탁, 시설보호 등 다양한 형태의 보호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보건복지가족부, 2009b)
아동복지시설에서 아동에게 제공하는 주된 서비스는? 현재 아동복지시설에서는 아동을 보호하고 지도하는 데 중점을 두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즉 건강과 인성, 성격, 또래관계(교우관계), 학업성적, 향후진로, 연고자 찾기 및 가정 복귀 등에 대한 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1997년 시설아동의 사회적응 강화계획의 일환으로 군부대 입소, 자연탐방 등 자립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보건복지가족부, 2009b).
요보호 아동을 위한 보호 서비스 중 시설보호란? 요보호 아동을 위한 보호 서비스 중 시설보호란 부모가 여러 가지 사정으로 그 역할을 수행할 능력이나 의사가 없는 경우, 일정한 시설에서 일시적 또는 장기적으로 집단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시설아동은 시설보호를 통해서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를 충족 받고 사회화 및 교육 등의 생활전반에 대한 지도를 받으며, 나아가 직업훈련을 겸하여 받음으로써 자활의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 곳에서 양육 받고 있는 아동이라고 할 수 있다(백숙경,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복정.이정덕(1999). 시설청소년의 가족상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3), 15-26. 

  2. 국립보건원(2002). 시설보호아동의 자립지원정책 개선방안 최종보고서. 서울 : 보건건복지부. 

  3. 김춘경.김기영(2004). 시설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놀이치료연구, 8(1), 19-35. 

  4. 김통원.김경륜.김성천.박은미.이상균(2005). 아동복지시설 발전방안 개발연구 최종보고서. 서울 : 보건복지부.한국아동복지연합회. 

  5. 김현용(1994). 요보호 아동을 위한 시설보호의 개선방안. 한국아동복지학, 2, 61-86. 

  6. 김현용(1998). 아통복지시설 부문의 개정방향. 한국아동복지학, 7, 95-125. 

  7. 김현용(2002). 보호시설아동과 아동복지법. 허남순.문선화.정영순.김현용.김미혜.이배근.조흥식.황성철.김재엽 공저(pp.151-188). 한국의 아동복지법. 서울 : 소화. 

  8. 김희연.김형모.김정숙(2007). 아동복지시설 기능다각화 모델 구축 연구. 경기 : 개발 연구원. 

  9. 노혜련.장정순(1998). 육아시설 아동의 생활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 65-92. 

  10. 문혁준(2006). 시설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 정서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10), 1-8. 

  11. 박은선(2004). 아동양육시설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생활 준비를 위한 일반주의 실천 접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4, 85-112. 

  12. 보건복지가족부(2009a). 아동복지시설현황 2009.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13. 보건복지가족부(2009b). 아동.청소년백서 2008.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14. 배태순(1996). 양질의 아동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내 아동복지 영육아시설 운영의 내실화 방안. 아동복지학, 4. 109-134. 

  15. 백숙경(2009). 북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보호아동의 정서지능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성미영.이순형.이강이(2001).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초기학교적응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9(1), 53-64. 

  17. 손의목(1995). 아동수용보호시설의 서비스 개선방안. 한국아동복지학, 3, 63-83. 

  18. 송순(1996). 사회적지원이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내적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 육아시설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 91-108. 

  19. 신혜령.김성경.안혜영(2003). 시설 퇴소아동 자립생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6, 167-193. 

  20. 신혜령.박은미.강현아(2008).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고서.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21. 양점도.변미희(2001). 아동복지시설의 양육환경이 아동.청소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3(2), 13-24. 

  22. 오정수.이혜원.정익중(2006). 세계의 아동복지서비스 : 미국, 일본, 영국을 중심으로. 서울 : 나눔의 집. 

  23. 원지영(2008). 아동복지시스템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 현황과 자립 지원 정책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5(7), 79-107. 

  24. 유안진.민하영.권기남(2001). 시설 아동의 자아정체감과 심리, 사회적 적용 :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3), 135-149. 

  25. 유안진.한유진.최나야(2001). 문장완성검사를 통한 시설 청소년의 자아 및 환경 지각. 한국아동복지학, 12, 42-76. 

  26. 이배근(1993). 아동복지시설의 현황과 문제점. 아동복지학, 1, 46-57. 

  27. 이배근(2000). 해체가정과 요보호아동들을 위한 Group Home 모형 개발. 한국아동복지학, 9, 289-312. 

  28. 이선화(1999). 시설아동을 위한 음악활동 중심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교육, 8(1), 131-142. 

  29. 이순형.이강이.성미영(2001). 시설아동의 가족관계망에 따른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39(4), 79-89. 

  30. 이영환(2001). 우리나라 아동복지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용교.이명묵.안경순.정경은.정민기(2006). 아동복지시설 인권평가지표 개발연구. 청소년복지연구, 8(2), 5-24. 

  32. 이용환(2003). 아동복지시설 퇴소아동의 취업실태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15개 아동양육시설 퇴소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5, 115-136. 

  33. 이선화(1999). 시설아동을 위한 음악활동 중심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교육, 8(1), 131-142. 

  34. 이태수.함철호.이용규(1997). 소규모 아동복지시설의 운영실태와 활성화방안. 한국아동복지학, 5, 169-206. 

  35. 이현주(1999). 아동시설의 프로그램 운영실태와 관련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8, 59-78 

  36. 이혜연.서정아.조흥식.정익중(2007).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실태와 적응과정 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7. 이혜은.최재성(2008). 아동양육시설 퇴소청소년의 경제적 안정성, 거주 안정성,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5(2), 209-233. 

  38. 원지영(2008). 아동복지시스템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 현황과 자립 지원 정책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5(7), 79-107. 

  39. 정무성(2007). 사회복지시설평가 2007. 서울 : 숭실대학교. 

  40. 정선욱(2002). 시설보호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14, 145-168. 

  41. 정영순(2000). 시설보호아동의 가족재결합 촉구방안. 한국아동복지학, 9, 247-262. 

  42. 참고사이트 http://www.fostercare.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