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산사 공중 사리탑 복장직물의 조형특성 및 시기감정
Characteristics of Textiles Found in the Pagoda at Naksan Temple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9 no.6, 2009년, pp.29 - 40  

조효숙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April 28th of 2006, a set of Buddha's reliquary was excavated from the pagoda in n Nacsan Temple. According to the record, the relics were put in the pagoda in the 18th year of King SookJong in the Chosun Dynasty (1692). The present paper examines ten pieces of wrapping clothes covering reliqua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대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실의 종류와 직물의 조직을 조사하여 당시에 사용되었던 직물의 명칭과 조직을 규명하고자 한다.
  • 그렇기 때문에 직물에 나타난 무늬들은 당시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이 이입되고 정착되어 온 산 증거라 할 수 있으며 무늬 하나하나에서 당시의 생각과 염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본 단원에서는 숙종 18년 (1692)에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면서 납입한 것으로 추측되는 사리 장엄구에 사용한 직물 무늬의 조형 특성을 정리하고, 다른 출토복식의 직물무늬와 비교하여 무늬의 시기 감정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첫째, 보자기의 상태 및 보자기에 시문 된 무늬의 조형적 특징을 정리하고 근접한 시기의 다른 직물유물들과 비교한 후 이를 통하여 직물의 시대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실의 종류와 직물의 조직을 조사하여 당시에 사용되었던 직물의 명칭과 조직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영숙 (1997). 조선전기 불복장직물의 이해-흑석사 아미타불 복장직물-. 도서출판미술문화 

  2. 법보종찰 해인사 (2008). 대적광전 법보전 비로지나불 복장유물 조사보고서, pp. 64-79 

  3. 조효숙 (2008). 조선시대 직물의 시기감정을 위한 꽃무늬 조형특성 연구. 服飾, 58(5), p. 91 

  4. 조효숙 (2007). 김확합장요 출토직물연구.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p. 140 

  5. 조효숙 (2008). 앞의 책, p. 98 

  6.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2) 복식 . 자수편. pp. 106-107 

  7. 조효숙 (2007). 앞의 책, p. 141 

  8. 眞宗孝順后嘉禮都藍儀軌. 譯語類解 

  9. 충북대박물관 (2006). 한성판윤 김원택 묘역 출토본식. 충북대박물관, pp. 48-49 

  10. 北村哲郞 (1988). 日本の 織物. 原流社. pp. 58-59 

  11. 조효숙 (2006). 한국의 무늬-직물편-. 문화재연구소편, p. 472 

  12. 박윤미 (2008). 해인사 비로지나불 복장직물의 특징, 해인사 대적광전 . 법보전 비로자나불 복장유물조사보고서. 법보종찰해인사 . 문화재청, pp. 64-79 

  13. 박윤미 (2007). 내소사 복장직물의 용도규명 및 특성. 2007 상설전. 불교중앙박물관, pp. 104-109 

  14. 문화재청 (2006). 앞의 책, pp. 125-126 

  15. 조효숙 (2002). 의원군 일가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박물관. pp. 181-182 

  16. 이은주외 2인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 71의 무관 옷 이야기. 민속원, 178-217 

  17. 박윤미 (2008). 조선시대 문직물의 시대별 제직특성. 服飾, 58(5), p. 154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