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화 처리기간에 따른 황기, 석결명, 술패랭이꽃 및 질경이 새싹채소의 항산화 효과 변화
Changes of Antioxidant Effects According to Greening Period of Astragalus membranaceus var. membranaceus, Senna occidentalis, Dianthus longicalyx, and Plantago asiatica Sprout Vegetabl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2 no.4, 2009년, pp.349 - 358  

이철희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원예과학과) ,  신소림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원예과학과) ,  김나래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원예과학과) ,  윤성은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원예과학과) ,  김수인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원예과학과) ,  백설희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원예과학과) ,  황주광 (충북대학교 응용생명환경학부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로운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개발하고,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재배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황기, 석결명, 술패랭이꽃, 질경이 새싹채소의 재배 중 녹화기간에 따른 항산화효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종에 따라 광합성이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황기 새싹채소는 총 폴리페놀 함량은 녹화 0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녹화 0일, ABTS radical 소거능은 녹화 1일, $Fe^{2+}$ chelating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석결명 새싹채소는 2일 녹화했을 때 항산화물질 함량이 높고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였으며, $Fe^{2+}$ chelating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1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술패랭이 새싹채소는 녹화 3일 째에 항산화물질 함량이 높고, $Fe^{2+}$ chelating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radical 소거능과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은 녹화시키지 않았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질경이 새싹채소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은 녹화 2일째에 가장 우수하였으며, $Fe^{2+}$ chelating 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물 종에 목표로 하는 항산화 효과에 따라 광합성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식물 종과 원하는 항산화 효과에 따라 재배 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tential use of 4 plant species, Astragalus membranaceus var. membranaceus, Senna occidentalis, Dianthus longicalyx and Plantago asiatica, as new sprout vegetables with high antioxidant function was examined in the present experiments. Seeds of above plants were allowed to germinate under li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약용 식물인 황기, 석결명, 술패랭이꽃, 질경이 새싹채소의 항산화활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광합성 정도가 항산화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재배하기 위한 적정 재배방법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암조건에서 재배한 각각의 새싹채소를 수확하기 전 0, 1, 2, 3일 동안 녹화시켜 광합성 정도에 따른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 물질 함량, radical 소거능, Fe2+ chelating 효과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등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싹채소 섭취 시 인체 흡수가 빠른 이유는 무엇인가? 새싹채소는 일반 채소 보다 크기가 작지만 발아에 의한 다양한 생리작용에 의하여 5~10배의 영양소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halil 등, 2007), 아미노산, 탄수화물, 미네랄, 비타민 및 폴리페놀 등 건강 기능성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높아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Feng, 1997). 또한 농약 없이 재배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청정채소이며, 세포벽이 얇아 함유된 영양소의 배출이 용이하여 인체 흡수가 빠른 장점이 있다(Khalil 등, 2007; El-Adawy, 2002).
새싹채소는 무엇인가? 새싹채소란 종자가 발아한지 10일 남짓의 어린 싹을 뜻한다. 종자는 적당한 수분과 온도 조건에 따라 발아하게 되는데, 이 때 미생물 및 기타 환경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게 된다(Badshah 등, 1991).
새싹채소의 영양적 특징은 무엇인가? 종자는 적당한 수분과 온도 조건에 따라 발아하게 되는데, 이 때 미생물 및 기타 환경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게 된다(Badshah 등, 1991). 새싹채소는 일반 채소 보다 크기가 작지만 발아에 의한 다양한 생리작용에 의하여 5~10배의 영양소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halil 등, 2007), 아미노산, 탄수화물, 미네랄, 비타민 및 폴리페놀 등 건강 기능성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높아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Feng, 1997). 또한 농약 없이 재배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청정채소이며, 세포벽이 얇아 함유된 영양소의 배출이 용이하여 인체 흡수가 빠른 장점이 있다(Khalil 등, 2007; El-Adawy,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D.K. 2003.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al Herbs. Gyohaksa, Seoul. (in Korean) 

  2. Badshah, A., A. Zeb, and A. Sattar. 1991. Effect of soaking, germination and autoclaving on selected nutrients of rapeseed. Pak. J. Sci. Indus. Res. 34:446-448 

  3. Barry, R.H. 1995.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in relation to mammalian cell proliferation. Free Rad. Biol. Med. 18:775-794 

  4. Beckman, K.B. and B.N. Ames. 1998.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atures. Physiol. Rev. 78:547-581 

  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8-1204 

  6. Bracco, F., M. Scarpa, A. Rigo, and L. Battistin. 1991. Determin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by the polarographic method of catalytic currents in the cerebrospinal fluid of aging brain and neurologic degenerative disease. Proc. Soc. Exp. Biol. Med. 196:36-41 

  7. Chang, I.M. 1998. Liver-protective activities of aucubin derived from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Res. Commun. Mol. Pathol. Pharmacol. 102:189-204 

  8. Davidson, M.H., K.C. Maki, J.C. Kong, L.D. Dugan, S.A. Torri, H.A. Hall, K.B. Drennan, S.M. Aderson, V.L. Fulgoni, L.G. Saldanha, and B.H. Olson. 1998. Longterm effects of consuming foods containing psyllium seed husk on serum lipids in subjects with hypercholesterolmia. Am. J. Clin. Nutr. 67:367-376 

  9. El-Adawy, T.A. 2002.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chickpeas (Cicer arietinum L.) undergo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and germination. Plant Food Hum. Nutr. 57:83-97 

  10. Feng, P. 1997. A summary of background information and food borne illness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sprouts.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11. Haraguchi, H., K. Hashimoto, and A. Yagi. 1992. Antioxidative substances in leaves of Polygonum hydropiper. J. Agric. Food Chem. 40:1349-1351 

  12. Huang, M.T., C.T. Ho, and C. Lee.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Am. Chem. Soc. Washington, D.C PP. 54-71 

  13. Iwalewa, E.O., O.M. Daniyan, and N.O. Omisore. 2006. Methanolic leaf extract of Senna occidentalis in the treatment of Malaria. J. Tropical Med. Plants 7:11-16 

  14. Kahkonen, M.P., A.I. Hopia, H.J. Vuorela, J.P. Rauha, K. Pihlaja, T.S. Kujala, and M. Heinonen.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7:3954-3962 

  15. Kaur, H., A.K. Gupta, N. Kaur, and J.S. Sandhu. 2009. Differential response of the antioxidant system in wild and cultivated genotypes of chickpea. Plant Growth Regul. 57:109-114 

  16. Khalil, A.W., A. Zeb, F. Mahmmod, S. Tariq, A.B. Khattak, and H. Shah. 2007. Comparison of sprout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si and kabuli type chickpea cultivars (Cicer arietinum L.). LWT 40:937-945 

  17. Kim, C.J., B.H. Kang, I.J. Ryoo, D.J. Park, H.S. Lee, Y.H. Kim, and I.D. Yoo. 1996. Screening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various weeds.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39:409-413. (in Korean) 

  18. Kuo, T.M., J.F. VanMiddlesworth, and W.J. Wolf. 1988. Content of raffinose and oligosaccharides and sucrose in various plants. J. Agric. Food Chem. 36:32-36 

  19. Lee, C.B. 199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in Korean) 

  20. Lee, E.H., and C.J. Kim. 2008. Nutritional change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 J. Food Cult. 23:121-129. (in Korean) 

  21. Lee, J.C., S.H. Han, S.S. Jang, K.J. Cho, and Y.Y. Kim. 2002. Effects of ozone uptake rate on photosynthesi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leaves of Betula species. Kor. J. Agric. For. Meteorol. 4:72-79. (in Korean) 

  22. Lee, J.J., J.O. Ha, and M.Y. Lee. 2007a. Antioxidaive activity of lotus root (Nelumbo nucifera G.) extracts. J. Life Sci. 17:1237-1243. (in Korean 

  23. Lee, J.J., Y.M. Lee, H.D. Shin, Y.S. Jeong, and M.Y. Lee. 2007b. Effects of vegetable sprout power mixture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 Soc. Food Sci. Nutr. 36:965-974. (in Korean) 

  24. Lee, M.Y. 2007.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production of sprout vegetables using sixty three species of resource plants. M.S. Thesis, Chungbuk Natl. Univ., Cheongju. (in Korean) 

  25. Lorenzi, H. 1991. Plantas daninhas do Brasil. Nova Odessa. S $\tilde{a}$ o Paulo. (in Portuguese) 

  26. NFRI. 1990.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ation (2).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Skuba 

  27. Odhav, B., S. Beekrum, U. Akula, and H. Baijnath. 2007. Preliminary assessment of nutritional value of traditional leafy vegetables in KwaZulu-Natal, South Africa. J. Food Comp. Anal. 20:430-435 

  28. Park, C.H. 1997. A Taxonomic and Systematic Study of genus Plantago in Korea. M.S. Thesis. Korea Univ., Seoul. (in Korean) 

  29. Park, K.J., J.H. Lim, J.H. Kim, J.W. Jeong, J.H. Jo, and S.W. Jeong. 2007. Reduction of microbial load on radish (Raphanus sativus L.) seeds by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hot water treatments. Kor. J. Food Preserv. 14:487-491. (in Korean) 

  30.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1231-1237 

  31. Rios, J.L. and P.G. Waterman. 1997. A review of the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Astragalus. Phytother. Res. 11:411-418 

  32. Velioglu, Y.S., G. Mazza, L. Cao, and B.D. Oomah.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4113-4117 

  33. Xie, Z.F., Z.C. Lou, and X.K. Huang. 2002. Classified Dictionar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eign Language Press, Beijing. (in Chinese-English) 

  34. Yang, D.C., Y.H. Kim, D.C. Yang, and Y.N. Hong. 1994. Effects of antioxidants on the photosynthesis and carbohydrates/saponin contents in Panax ginseng leaves. Kor. J. Ginseng Sci. 18:175-181. (in Korean) 

  35. Yen, G.C., P.D. Duhb, and H.L. Tsaia.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307-3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