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진달래꽃(Rhododendron mucronulatum Flos.) 추출물로부터 Helicobacter pylori 억제 효과를 가지는 phenol성 물질의 정제 및 동정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enol Compounds with Inhibitory Activity on Helicobacter pylori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Flos.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8 = no.112, 2009년, pp.1125 - 1131  

주인식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달래꽃을 60% 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H. pylori에 대한 저해활성의 측정과 저해물질의 분리 및 동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H. pylori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phenol 화합물을 200${\mu}g/ml$ 이상 주입하였을 때부터 22 mm이상의 clear zone이 관찰되어 H. pylori균에 대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저해물질의 분리는 Sephadex LH-20 column을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 6개의 fraction으로 분리되었으며, H. pylori 저해활성을 나타낸 fraction D를 MCI-gel CHP-20 column을 이용하여 normal phase type인 ethanol 100%에서 0%로 농도를 감소시키며 용출한 결과 5개의 단일 물질 분획을 얻을 수 있었다. 그 중 세 가지의 물질에 대해 H. pylori저해활성이 나타나 FAB-MS, $^1H$$^{13}C$ NMR 및 IR spectrum을 사용하여 구조 동정한 결과 quercitrin (quercetin-3-O-rhamnopyranoside), myricitrin (myricetin-3-O-rhamnopyranoside) 및 quercetin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elicobacter pylori as a functional food source with water and 60% ethanol extracts from R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were examined. The total phenol content of 60% ethanol extracts (30.6${\pm}$0.14 mg/g) from R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식품소재로써의 응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는 진달래 꽃잎으로부터 H. 破困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동정하여 고부가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 B. J., C. E. Lee, J. H. Son, J. Y. Lee, G. H. Choi, and T. S. Park. 2005. Antioxidant, anticancer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 J. Kor. Soc. Appl. Biol. Chem. 48, 280-284 

  2. An, B. J., J. T. Lee, C. E. Lee, J. H. Son, J. Y. Lee, and T. S. Park.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cosmeceutical ingredient,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the application of rheology properties. J. Kor. Soc. Appl. Biol. Chem. 48, 273-279 

  3. Azuma, K., M. Nakayama, M. Koshika, K. Ippoushi, Y. Yamaguchi, K. Kohata, Y. Yamauchi, H. Ito, and H. Higashio.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4. Chung, T. Y. and S. E. Lee. 1991.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Jindalae flower (Korean azalea flower,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 J. Kor. Agric. Chem. Soc. 34, 344-352 

  5. Chung, T. Y., M. A. Kim, and J. Daniel.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acids isolated from Jindalae Flowers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aninow). Agric. Chem. Biotechnol. 39, 506-511 

  6. Folin, O. and W. Denis.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et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7. Goodwin, C. S. and B. W. Worsiey. 1993. Helicobacter pylori : Biological and clinical ratice. CPC press, Inc. USA 

  8. Ham, S. S., J. K. Hong, and J. H. Lee. 1997.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edible Korean wild herbs. J. Food Sci. Nutr. 2, 155-161 

  9. Huang, M. T., C. T. Ho, and C. Y. Lee.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In phenol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Ⅱ. Maple Press, New York. 99, 2-7 

  10. Hunt, R. H. 1996.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m. J. Med. 100, 42-50 

  11. Institute of Natural Produc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Treatise on asian herbal medicines, Daewon, Seoul, Korea 

  12. Kang, J. H. and M. S. Lee. 2005. In vitro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 by Enterococcus faecium GM-1. Can. J. Microbial. 51, 629-636 

  13. Kim, N. Y. 2006. The effect of antibiotic resistance on the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Kor. J. Gastroenterol. 47, 82-86 

  14. Lee, O. H., H. B. Lee, and J. Y. Son.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fractions. Kor. J. Soc. Food Cookery Sci. 20, 204-210 

  15. Lee, S. H., C. Y. Lim, K. H. Lee, S. J. Yeo, B. J. Kim, S. J. Kim, M. J. Cho, K. H. Rhee, and Y. H. Kook. 1999. Gene analysis of Helicobacter pylori. J. Kor. Soc. Microbial. 34, 401-408 

  16. Moon, T. C., J. O. Park, K. W. Chung, K. H. Son, H. P. Kim, S. S. Kang, and H. W. Chang. 1999.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flavonoid components of Lonicera japonica. Yakhak Hoeji 43, 117-123 

  17. Park, J. C., J. M. Hur, and J. G. Park. 2002. Biological activities of Umbelliferae family plants and their bioactive flavonoi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7, 30-34 

  18. Park, J. G., S. Y. Yun, S. Oh, J. G. Shin, and Y. J. Baek. 2003.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KY1909 isolated from Korean brest-fed infant. Kor. J. Food Sci. Technol. 35, 1244-1247 

  19. Shetty, K, O. F. Curtis, R. E. Levin, R. Witkowsky, and G. Ang. 1995. Prevention of vitrification associated with in vitro shoot culture of Oregano(Oreganum vulgare) by Pseudomonas spp., J. Plant Physiol. 147, 447-451 

  20. Suerbaum, S. and P. Michetri. 2002.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N. Engl. J. Med. 347, 1175-1186 

  21. Won, B. R., E. H. Song, G. H. Kang, M. W. Chang, and Y. H. Yoon. 2001. Inhibition effect of Lactobacillus heiviticus CU631 on urease and vacuolating toxin activity of Helicobacter pylori. J. Anim. Sci. Technol. 43, 931-940 

  22. Yang, J., K. J. Meyers, J. Heide, and R. H. Lui. 2004. Varietal differences i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onions. J. Agric. Food Chem. 52, 6787-6793 

  23. Yoon, S. J. 2006. The Antimicrobial activity on Helicobacter pylori of Herb extracts. pp. 35-37, Master thesis 

  24. Cho, Y. J., I. S. Ju, D. H. Yun, S. S. Chun, B. J. Ahn, J. H. Kim, and M. W. Kim. 2008.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 Sage (Salvia officinailis L.). J. Appl. Biol. 51, 296-3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