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 추출물로부터 Helicobacter pylori 억제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Inhibitory Compounds on Helicobacter pylori from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10 = no.126, 2010년, pp.1511 - 1518  

박기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진성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분성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봉전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  천성숙 (엔아이피 바이오텍) ,  김정환 (엔아이피 바이오텍) ,  조영제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실에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최적 조건을 알아보고자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phenol성 물질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7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24시간 교반 추출하였을 때 phenol성 물질의 용출량이 13.8 mg/g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는 영실추출물을 150 ${\mu}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생육 저해환이 12 mm, 200 ${\mu}g$/ml 일 때 14 mm의 생육저해환이 나타나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H. pylori에 대한 저해물질을 정제하기 위하여 영실을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Sephadex LH-20 column과 $C_{18}$ cartridge column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순수 정제하고 구조를 동정한 결과 prot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및 quercetin으로 동정하였으며, 단일물질에 의한 H. pylori에 대한 저해효과 보다 혼합물질에 의한 synergy 효과에 의해 저해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70% ethanol extracts from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 against Helicobacter pylori was examin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Rosa multiflora Thunberg fruit extracts against H. pylori was determined to clear a zone of 14 mm with 70% ethanol extracts. Purification of in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방자원 중에서 항균력이 우수한 영실을 이용하여 위염과 위궤양의 원인인자로 작용하는 H. pylori의 억제물질을 분리, 정제 및 구조 동정하고 정제 compound에 의한 H. pylori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H. pylori에 대한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고, 이들 천연물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을 산업화 하기위한 소재 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위, 십이지장궤양 원인균인 H. pylori로서 표준균주인 ATCC 43504를 사용하였다. H.
천연 식물자원 중에는 항균활성을 가지는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한방 자원은 무엇인가? 이러한 생리활성물질을 천연 식물자원에서 획득하여 산업에 이용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3,6,7,12,18], 최근 한방 자원에서 이러한 생리활성 물질을 얻으려는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1,4,5,11,20,24]. 이러한 한방 자원들 중에서 영실은 장미과 낙엽관목인 찔레나무의 열매로 한방에서는 관상 동맥을 확장시키고 체내에서 지방과 단백질 대사를 개선시켜주며 죽상동맥경화의 형성을 억제시키고, 설사, 창독, 변비, 콩팥염의 치료에 쓰인다[13]. 알려진 성분으로는 flavonoids의 계열인 quercetin 배당체(multinoside A, multinoside B, quercitrin, etc.
한방에서 영실의 용도는? 이러한 생리활성물질을 천연 식물자원에서 획득하여 산업에 이용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3,6,7,12,18], 최근 한방 자원에서 이러한 생리활성 물질을 얻으려는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다[1,4,5,11,20,24]. 이러한 한방 자원들 중에서 영실은 장미과 낙엽관목인 찔레나무의 열매로 한방에서는 관상 동맥을 확장시키고 체내에서 지방과 단백질 대사를 개선시켜주며 죽상동맥경화의 형성을 억제시키고, 설사, 창독, 변비, 콩팥염의 치료에 쓰인다[13]. 알려진 성분으로는 flavonoids의 계열인 quercetin 배당체(multinoside A, multinoside B, quercitrin, et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zuma, K., M. Nakayama, M. Koshika, K. Lppoushi, Y. Yamaguchi, K. Kohata, Y. Yamauchi, H. Ito, and H. Higashio.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2. Barnes, H. M., J. R. Reldman, and W. V. White. 1950. Isochlorogenic acid. Isolation from coffee and structure studies. J. Am. Chem. Soc. 72, 4178-4183. 

  3. Bunney, S. 1992.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erbs. Chancellor Press. London, England. 

  4. Cho, Y. J., I. S. Ju, O. J. Kwon, S. S. Chun, B. J. An, and J. H. Kim. 2008.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49-54. 

  5. Cho, Y. S., S. S. Chun, H. J. Kwon, S. J. Yoon, and K. H. Lee. 2005.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between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okbunja (Rubus coreanum 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90-796. 

  6. Choi, H. R. and E. H. Choi. 2003. Screening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herb. J. Natural Science 15, 123-131. 

  7. Chun, S. S., D. A. Vattem, Y. T. Lin, and K. Shetty. 2005. Phenolic antioxidants from clonal oregano (Origanum vulgare)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Process Biochemistry 40, 809-816. 

  8. Clark, A. M. and F. S. Tl-Feraly. 1981.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 constituents of Magnolia grandiflora L. J. Pharm. Sci. 70, 951-952. 

  9. Folin, O. and W. Denis.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et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0. Goodwin, C. S., J. A. Armstrong, T. Chilvers, M. Peters, D. Collins, L. Sly, W. MacConnell, and W. E. S. Harper. 1989. Transfer of Campylobacter pylori and Campylobacter mustelae to Helicobacter gen. nov. as Helicobacter pylori comb. nov. and Helicobacter mustelue comb. nov. respectively. Int. J. Syst. Bacteriol. 39, 397-402. 

  11. Ham, S. S., J. K. Hong, and J. H. Lee. 1997.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edible Korean wild herbs. J. Food Sci. Nutr. 2. 155-161. 

  12. Huang, M. T., C. T. Ho, and C. Y. Lee.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pp. 2-7, Maple Press, New York. 

  13. Hubue, G., V. Wray, and A. Nahrstedt. 1999. Flavonol Oligosaccharides from the Seeds of Aesculus Hippocastanum. Planta Med. 65, 638-640. 

  14. Institute of Natural Produc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Treatise on asian herbal medicines, Daewon, Seoul, Korea. 

  15. Irwin, B. Y. and A. Pearl. 1946. Reactions of vaillin and its derived compounds. Ⅳ, The Caustic fusion of vaillin. J. Am. Chem. Soc. 68, 2180-2184. 

  16. Jones, D. M. and A. Curry. 1990. The genesis of coccal forms of Helicobacter pylori, pp. 29, in Helicobacter pylori gastritis and peptic ulcer. In Malfertheiner, P. and H. Ditschumeit. (eds.), Springer-Verlh, Berlin. 

  17. Masakazu, A. 1962. Components of the flower petals of Rosa multiflora and Rubus hirsutus. Yakugaku Zasshi 82, 771-773. 

  18. Moon T. C., J. O. Park, K. W. Chung, K. H. Son, H. P. Kim, S. S. Kang, and H. W. Chang. 1999.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flavonoid components of Lonicera japonica. Yakhak Hoeji 43, 117-123. 

  19. Park, C. K., H. J. Choi, H. S. Youn, W. K. Lee, M. J. Cho, K. H. Kang, S. C. Baik, and K. H. Rhee. 1994. Chemotherapy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J. Korean Soc. Microbiol. 80, 667-672. 

  20. Park, J. C., J. M. Hur, and J. G. Park. 2002. Biological activities of Umbelliferae family plants and their bioactive flavonoi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7, 30-34. 

  21. Park, J. H. 2002. Encyclopedia of Chinese crude drugs. pp. 557. 

  22. Rauws, E. A., W. Langenberg, J. Houthoff, and D. Moore-jones. 1990. Is doxycycline more effective than tetracycline HCI in triple therapy of Helicobacter pylori. Gastroenterol. 98, 24-27. 

  23. Rhee, K. H., H. S. Youn, S. C. Baik, W. K. Lee, M. J. Cho, H. J. Choi, K. Y. Maeng, and K. W. Ko. 1990.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 J. Korean Soc. Microbiol. 25, 475-490. 

  24. Ryoo, J. W. and B. C. Cha. 1998.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some herb plan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28-32. 

  25. Steer, H. W. 1975. Ultraststructure of cell migration through the gastric epithelium and its relationship to bacteria. J. Clin. Path. 28, 639-646. 

  26. Suerbaum, S. and P. Michetri. 2002.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N. Engl. J. Med. 347, 1175-118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