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해양세균 Pseudoa/teromonas psicida TA20의 색소 추출물의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생리활성
The Physicochemical Stabili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igment Extract from Marine Bacterium Pseudoalteromonas psicida TA20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8 = no.112, 2009년, pp.1132 - 1138  

박진숙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  정동우 (한남대학교 생명공학과) ,  강명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세균 Pseudoalteromonas psicida TA20의 ethanol 색소 추출물에 대한 안정성과 기능성을 검토한 결과, 본 해양세균 색소는 pH 4.0에서 pH 8.0의 조건과 $40^{\circ}C$ 이하에서 매우 안정하였으며, $25^{\circ}C$ 14일간 90% 이상의 잔존율을 나타내어 빛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이온의 경우 $Al^{3+}$$Cu^{2+}$를 제외한 실험된 모든 금속이온에 대하여 매우 안정하였으며 특히, 다른 색소추출물들에 비해 $Fe^{2+}$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세균 색소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 실험 결과, free radical 소거 활성 (3495 ${\mu}g/ml$)이 나타났으며, 색소농도 10 ${\mu}g/ml$일 때 44%의 인체세포 DNA 손상 회복능이 있음을 보여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요 식품유해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해양세균 색소는 항산화능과 항균활성을 갖는 식품 색소로의 적용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stabili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ed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Pseudoalteromonas psicida TA20. This bacterial pigment was very stable at a pH range of between 4.0 and 8.0 at a temperature below $40^{\circ}C$. In the presence 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천연 색소 추출물은 열, pH, 자외선, 금속이온 등에 내성이 약하고 식품의 가공저장 중에 쉽게 탈색되는 결점이 있다[2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색소 생성능이 우수한 해양세 균으로 보고된[9] Pseudoalteraimas psidda TA20 균주로 부터 색소를 추출하여 pH, 온도, 빛 그리고 금속이온에 대한 색소의 안정성을 검토하고,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DNA 손상 회복 능의 평가를 통하여 색소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고 나아가 식품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여 식품 색소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D. K., T. W. Han, H. Y. Shin, I. N. Jin, and S. Y. Ghim. 2003. Divers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191-196 

  2. Bae, S. J., K. H. Kim, B. W. Kim, and Y. H. Kim. 199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zotobacter vinelandii strain A80 producing water-soluble blue pigment.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43-46 

  3. Choi, B. D. and Y. K. Jeong. 1997. The Stability of carotenoids extracted from halophilic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405-1407 

  4. Costa, I., H. L. Martelli, I. M. da Silva, and D. Pomeroy. 1978. Production of β-carotene by a Rhodotorula strain. Biotechnol. Lett. 9, 373-375 

  5. Imada, K., M. Oshima, T. Yoshida, S. Yasuda, and S. Yoshino. 1983. Evaluation of neopurpuratin, a purplish-red substance produced by microorganism, as food color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0, 270 

  6. Jeon, E. J., Y. K. Park, J. S. Kim, and M. H. Kang. 2004. Comparison of the 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s and fruits or vegetable juices on DNA damage in human lymphocyte cells using the comet assay. J. Korean Nutri. 37, 

  7. Jeon, T. W., Y. S. Cho, S. H. Lee, S. M. Cho, H. M. Cho, K. S. Chang, and H. J. Park. 2005.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gments extracted from Korean purple-fleshed potato.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47-254 

  8. Jeong, Y. G., B. D. Choi, S. J. Kang, S. H. Jeong, Y. K. Lee, H. Y. Kim, and M. J. Jung. 2001. Characteristic of carotenoid component from halophilic bacteria, Haloarcular sp. EH-1. Th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J. Mol. Biol., 15, 673-675 

  9. Jong, D. W. and J. S. Park. 2008. Characterization of pigment-producing Pseudoalteromonas spp. from marine habitats and their optimal conditions for pigment production. J. Life Sci. 18, 1752-1757 

  10. Kim, E. Y. and M. R. Rhyu. 200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onascus koji extracts. Korean J. Sci. Technol. 40, 76-81 

  11. Kim, H. J., H. J. Park, S. K. Bae, J. D. Kim, I. S. Kong, and J. Y. Kong. 1996. Characterization of red-pigment produced by marine bacterium Vibrio sp. J. Korean Soc. Food Nutr. 25, 294-300 

  12. Kim, J. D., D. S. Kang, M. Y. Kim, S. B. Roh, M. R. Choi, S. H. Song, S. H. Baek, H. J. Seo, D. H. Kim, and J. Y. Kong. 2001. Production of carotenoid from halophilic Erythrobacter sp. and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43-151 

  13. Kim, M. H., T. K. Lee, and H. C. Yang. 1992. Red pigment production from Monascus anka abid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451-455 

  14. Kim, Y. H. and S. S. Lee. 1994. A Study on Pigments from Rhodopila globiformis by Acetone Extraction : Stability of Red Pigments. J. Korean Soc. Food Nutr. 23, 25-29 

  15. Kim, Y. H. and S. S. Lee. 1994. A Study of geenish pigments from Rhodopseudomonas viridis by aeton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food clorant.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93-97 

  16. Kim, Y. H. and S. S. Lee. 1993. Yellow Pigment from Rhodospirillum rubrum by acetone extraction. J. Korean Soc. Food Nutr. 6, 322-328 

  17. Lee, E. J. and H. D. Jang. 2004.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five edible mushrooms on oxidative DNA damage. Food Sci. Biotechnol. 13, 443-449 

  18. Lee, H. J. and M. Y. Park. 2002.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yellow-pigment produced by Monascus anka Y7.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38-342 

  19. Lee, S. M., H. S. Kim, and T. S. Yu. 2003. The optimal condition for production of red pigment by Monascus anka on solid cul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55-160 

  20. Lim, S. I. and E. J. Kwak. 2004. Stability of the pigments from Monascus purpureus CBS 281.34.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11-715 

  21. Nam, H. S. and J. S. Rhee. 1991. Effect of carbon source and carbon to nitrogen ratio on carotenogenesis of Rhodotorula glutinis. J. Microbiol. Biotechnol. 1, 75-78 

  22. Margarita, T., P. T. Doulias, A. Barbouti, U. Brunk, and D. Galaris. 2005. Role of compartmentalized redox-active iron in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and apoptosis. Biochem. J. 387, 703-710 

  23. Park, S. J. and D. H. Oh. 2003.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c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Sci. Technol. 35, 121-124 

  24. Park, S. J., B. K. Park, H. Y. Lee, J. H. Lee, J. D. Kim, and D. H. Oh. 2002.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Korean J. Food Preserv. 9, 338-344 

  25. Park, Y. K., E. J. Jeon, and M. H. Kang. 2003. Protective effect of flavonoids on lymphocyte DNA damage using comet assay. Korean J. Nutr. 36, 125-132 

  26. Ryu, B. H. and M. J. Kim. 2000. Production of red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utilizing colloidal chitin. Kor. J. Microbiol. Biotechnol. 28, 264-269 

  27. Scheuer, P. J. 1978. Marine natural products (5th ed.). Academic Press Incorporated. New York, USA 

  28. Watanabe, I. 1989. Current topics in marine biotechnology, pp. 11, Fungi, Tech Press. Tokyo, Japan 

  29. Yang, M.-O. and E.-J. Cho. 2006. Stability for rose petals igment as a food materia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468-47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