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의 질 평가 우선순위 설정
Priority Areas for National Health Care Quality Evaluation in Korea 원문보기

보건행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19 no.3 = no.58, 2009년, pp.1 - 26  

신숙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박춘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김선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김남순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상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identify target areas and set priorities among those areas identified for national quality evaluation. Methods : Target areas were identified from: i) analysi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mortality and prevalence data ii) various group surveys, including represent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선순위 설정이란? 우선순위 설정은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매기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으며(임문혁, 2001), 기준을 정하는 것이 의사결정의 근간이 되는 과정이다. 서론에서 살펴 본 기존 문헌에서의 질 평가 영역 결정 기준은 사업 주체에 따라 상이한 용어와 분류를 적용하였다.
전개되어 온 평가 사업에 대한 논의의 공통점은? 그동안 전개되어 온 평가 사업에 대한 논의는 사업별로 다양하나 몇 가지 공통된 점은 다음과 같았다. 평가 내용과 관련해서 의료기관평가나 병원표준화심사는 진료의 질 보다는 진료 외적인 측면에 평가가 치우쳐 있으며, 심평원의 적정성 평가는 임상적 질 중에서 주로 과다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과소이용이나 오용(misuse)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는 지적이 있었다. 평가 과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평가가 중복되어 의료기관에 과중한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점과, 평가 결과 활용은 의료현장에서의 질 개선을 위한 지원과 연계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문옥륜 등, 2001; 김윤 등, 2005; 임정수 등, 2005; 이선희 등, 2006).
질 관리란? 질 관리(quality assurance)는 기본적으로 평가활동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관점이며, 질 평가는 한 체계 혹은 한 서비스의 실제적인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론적인 개념이다(Vuori, 1982). 지난 수 십 년 동안 외국의 보건의료 서비스 연구는 질의 여러 측면을 측정하는 계량적 도구 개발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 2005 

  2. 국립암센터, 암등록통계, 2006 

  3.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4 건강보험통계연보. 2005 

  4. 김윤, 이상일, 김철환, 강민아, 김은경, 권영대 등. 의료기관 평가제도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서울:서울대학교의과대학;2005.9. 보건복지부 연구비 지원 

  5. 대한통증학회. 신경차단치료지침. 2003 

  6. 문옥륜, 조병희, 권영대, 송윤미, 이기효, 권순만 등. 요양급여의 적정성 평가모형 및 체계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2001.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비 지원 

  7.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암성통증관리지침 권고안 마련 배포. 2006/4/17 

  8. 보건복지부. 암성통증관리지침 권고안. 2004.2 

  9.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2002 

  10. 정형선, 김주경, 이규식, 신의철. 건강보험 기본급여의 우선순위. 보건행정학회지 2004;14(2):34-57 

  11. 염창환, 문유선, 이혜리. 말기암으로 입원한 환자에서 진통제 사용의 실태. 가정의학회지 1996;17(9):827-833 

  12. 염창환, 최윤선, 이혜리 등. 의료기관 형태별 말기 암 환자의 치료비용과 삶의 질 비교. 가정의학회지 2000;21(3):332-343 

  13. 이경식. 암환자의 통증조절. 대한의사협회지 1995;38(7):839-845 

  14. 이선희, 강혜영, 최희정, 권기환, 김병옥, 김지현 등. 건강보험 적정성 평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서울:대한의사협회;2006 

  15. 임문혁. 네덜란드의 보건의료서비스의 선택. 2001년도 한국보건행정학회 후기학술대회 연제집. 2001 

  16. 임정수, 김윤, 이진석, 이희영. 요양급여비용 가감지급 세부기준 설정방안 연구. 서울:가천의과대학;2005.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비 지원 

  17. 조우현, 이선희, 강명근, 강혜영, 최윤정, 최귀선 등. 요양급여의 초.중.장기 평가대상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연세대학교보건정책및관리연구소;2001.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비 지원 

  18. 통계청. 2004년 사망원인통계연보. 2005 

  19.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의료기관서비스평가 및 병원표준화심사. 2002 

  20. 허대석. 암성 통증관리의 현황. cited 2006 Aug 30. Available from: URL: http://cancer.snuh. org/cancer/file/pain-2002-1.doc 

  21. Adams K, Corrigan JM, Editors. Priority areas for national action: transforming health care quality. Washington: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ies;2003 

  22. Arah OA, Westert GP, Hurst J, Klazinga N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OECD 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6;18(suppl 1):5-13 

  23. Berwick DM, James B, Coye MJ. Connections between quality measurement and improvement. Medical Care 2003;41(1):Supp.I30-I38 

  24. Fallon M, hanks G, Cherny N. Principles of control of cancer pain. BMJ 2006;332:1022-1024 

  25. Fitch K, Bernstein SJ, Aguilar MS, et al. The RAND/UCLA appropriateness method user's manual. RAND;2001 

  26. Grond S, Radbruch L, meuser T, et al. Assessment and treatment of neuropathic cancer pain following WHO guidelines. Pain 1999;79(1):15-20 

  27. Institute of Medicine. Crossing the quality chasm. Washington:National Academy Press;2001 

  28. Kelly E, Hurst J. 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project conceptual framework paper. OECD;2006.3 

  29. Larue F, Colleau SM, Fontaine A, Brasseur L. Oncologists and primary care physicians' attitudes toward pain control and morphine prescribing in France. Cancer 1995;76(11):2181-2185 

  30. Mainz J. Developing evidence-based clinical indicators: state of art methods primer.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3;15(suppl I):i5-i11 

  31. McGlynn EA, Brook RH. Evaluating the quality of care. In: Anderson RM, Rice TH, Kominski GF. Changing the U.S. health care system: key issues in health services policy and management. San Francisco:Josey-Bass;2001. pp.150-182 

  32. Ogden CL, Carroll MD, Curtin LR, McDowell MA, Tabak CJ, Flegal KM.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1999-2004. JAMA;2006 Apr 5;295(13):1549-55 

  33. Vuori HV. Quality assurance of health services-concepts and methodology. Copenhagen: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198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 학교실(옮김). 의료의 질 개념과 방법론. 서울:한울;1996. 쪽 23-37 

  34. WHO. Cancer pain relief. 1986 

  35. WHO. Cancer pain relief, 2nd edition, with a guide to opioid availability. 1996 

  36. Yun YH, Park SM, Lee K, et al. Predictors of prescription of morphine for severe cancer pain by physicians in Korea. Annals of Oncology 2005;16(6):966-9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