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환자안전, 의료의 질, 조직문화 및 병원경영성과의 변화
Change in patient safety, quality of medical care, organization culture and hospital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for convalescent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391 - 401  

서영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김건엽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김명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요양병원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요양병원의 환자안전, 의료의 질, 조직문화 및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을 파악함에 목적이 있다. 2015년 9월 말까지 요양병원 의료기관인증을 획득한 대구지역의 36개 요양병원 중 10개 기관을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2016년 2월 15일부터 2016년 3월 25일까지 요양병원 종사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253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으로는 일반적 특성, 인증이후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 조직문화, 경영성과의 변화가 포함되어 있다. 연구결과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의 변화정도에서는 진료지원체계가 3.9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직문화의 변화정도에서는 인적자원문화가 3.78점으로 가장 높았고, 요양병원의 경영성과 부분에서는 내부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이 3.7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원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직종이 행정직보다 간호직, 직급이 국장보다 사원이거나 과장, 환자안전과 질 향상에서 기본가치체계가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조직문화에서 인적자원문화, 개방체계문화, 위계서열문화, 생산중심문화가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병원경영성과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영향 요인이라 응답하였다. 요양병원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에는 높은 변화를 보여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문화의 4가지 유형 중 위계서열문화와 생산중심문화는 보통수준의 변화를 보였으며 병원경영성과 중 재무관점은 다른 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변화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lementa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on patient safety, quality of medical care, organization culture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convalescent hospitals. Ten hospitals were selected at random from among 36 convalescent hosp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요양병원의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조직문화 및 병원경영 성과의 변화정도를 분석 하고, 3가지 주요 변수별로 조직구조적․인구사회학적 특성 간 변화정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의료기관 인증을 획득 후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 조직문화의 변화가 요양병원의 병원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2015년 9월 말까지 요양병원 의료기관인 증을 획득한 대구지역의 10개 요양병원을 선정하여 요양병원의 의료기관인증 평가 후에 직원들의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 조직문화에 대한 인증 후의 변화가 요양병원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기관인증제의 궁극적인 목적인 환자안전, 의료의 질 향상, 조직문화에 대해 인증 후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인증 후 요양병원의 경영성 과에 미친 영향을 알아 보고자하며 향후 인증제 참여를준비하고 검토 중에 있는 요양병원의 판단기준에 도움이 되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요양병원 의료기관인증제의 올바른 정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병원의 경영성과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는 어떠했는가? 7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원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직종이 행정직보다 간호직, 직급이 국장보다 사원이거나 과장, 환자안전과 질 향상에서 기본가치체계가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조직문화에서 인적자원문화, 개방체계문화, 위계서열문화, 생산중심문화가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병원경영성과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영향 요인이라 응답하였다. 요양병원 의료기관인증제 시행 후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에는 높은 변화를 보여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문화의 4가지 유형 중 위계서열문화와 생산중심문화는 보통수준의 변화를 보였으며 병원경영성과 중 재무관점은 다른 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변화를 보였다.
고령인구의 증가는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급속한 인구의 노령화 과정에 있어 2026년에는 인구의 20%가 노인인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1]. 고령인구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노인환자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장기적인 치료와 요양을 요하고 있다. 2004년부터 시행한 의료기관 적정성평가는 주로 종합병원 이상을 대상으로 한 강제 평가 방식으로 평가제도 시행이후 의료서비스에 대한 의료기관의 관심제고, 서비스 수준향 상, 임상 질 지표 도입 등 긍정적 성과도 이루었던 반면에 언론, 소비자단체, 의료기관등을 통해 평가제도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개선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다[2].
의료기관 적정성평가는 언제부터 시행되었는가? 고령인구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노인환자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장기적인 치료와 요양을 요하고 있다. 2004년부터 시행한 의료기관 적정성평가는 주로 종합병원 이상을 대상으로 한 강제 평가 방식으로 평가제도 시행이후 의료서비스에 대한 의료기관의 관심제고, 서비스 수준향 상, 임상 질 지표 도입 등 긍정적 성과도 이루었던 반면에 언론, 소비자단체, 의료기관등을 통해 평가제도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개선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다[2]. 의료기관 평가제도의 근본적인 목적이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 임에도 불구하고 평가의 속성상 정량적이거나 객관적인 평가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어 질적 개선을 위한 평가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시설 투자에 따른 대규모 비용 발생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2011. 

  2. H. J. Cho, Hospital employee's Recognition and Attitudes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in Korea, 2012. 

  3. J. H. Cha, The Effec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on Managerial Performances in Hospital Organizations, Doctoral dissertation, Konyang university of Nonsan in Korea, 2014. 

  4. S. H. Seok, "Improvement Plans of Accreditation Program for Healthcare Organization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202, No.8, pp.39-47, 2013. 

  5. I. Choi, H. M. Hwang, J. Kim, "The Influence of Awarenes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5, pp.160-168, 2017.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7.18.5.160 

  6. C. Sack, A. Scherag, P. Lutkes, W. Gunther, K. H. Jockel, G. Holtmann, "Is there an association between hospital accreditation and patient satisfaction with hospital care? A survey of 37000 patients treated by 73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23, No.3. pp.278-283, 2011. DOI: https://dx.doi.org/10.1093/intqhc/mzr011 

  7. J. S. Kim, Employee's Recognition of Accreditation Effect on Certified Long-term Care Hospital,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in Korea, 2015. 

  8. E. J. Ko, J. Y. Lee, S. H. Bae, H. J. Kim, "Changes in Compliance Rates of Evaluation Criteria After Healthcare Accreditation: Mainly on Radiologic Technologists working at Hospitals in Daejeon Area",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Science, Vol.36, No.4, pp.281-290, 2013. 

  9. J. Y. Yoo, J. H. Lee, "Complex impact of Patient Safety and Medical Quality on Hospital Management Activities due to Healthcare Accreditation Adop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7, pp.283-292. 2015. DOI: https://dx.doi.org/10.14400/JDC.2015.13.7.283 

  10.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11.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8. 

  12. Y. H. Heo, J. A. Park, "Perception related to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of employees' Quality Improvement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12 pp.659-669, 2016.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6.17.12.659 

  13. M. R. Kim,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Healthcare Accreditation,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of Nursing staff,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of Kwangju in Korea, 2013. 

  14. J. S. Woo, Y. H. Kim, B. J. Yoon, H. J. Lee, H. S. Kim, Y. J. Choi, W. J. Han, S. J. Yoon, "The Effects of Accreditation Program to the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Hospital Management Activities and Performances-Focused on Perception of Accredited Hospital Profession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ol.18, No.2, pp.33-56, 2013. 

  15. R. E. Quinn, H. W. Hildebrandt, P. S. Rogers, M. P. Thompson, "A Competing Values Framework for Analyzing Presentational Communication in Management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28, No.3, pp.213-232, 1991. DOI: https://dx.doi.org/10.1177/002194369102800303 

  16. R. S. Kaplan, D. P. Norton, "The Balanced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Vol.70, No.1, pp.71-79, 1992. 

  17. K. S. Cameron, R. E. Quinn.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3rd Edition). pp.472-477, Jossey-Bass, 2011. 

  18. W. J. Lee,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at were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of Seoul in Korea, 2011. 

  19. G. Yank,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organizations: A general systems perspective", Behavioral Science, Vol.40, No.2, pp.85-103, 1995. DOI: https://dx.doi.org/10.1002/bs.3830400202 

  20. H. S. Lee,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Hospital Workers on the Certification System of Medical Institutions,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of Gunsan in Korea, 2012. 

  21. H. R. Kim,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Improves the Quality of Patient Safety and Medical Care,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Impact on Activit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Seoul in Korea, 2012. 

  22. R. S. Kaplan, D. P. Norton. "Transforming the Balanced Scorecard from Performance Measurement to Strategic Management: Part I", Accounting Horizons, Vol.15, No.1, pp.87-104, 2001. DOI: https://dx.doi.org/10.2308/acch.2001.15.1.87 

  23. Y. H. Kim,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for Public Hospitals Using Balanced Scorecard, Doctoral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of Cheonan in Korea,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