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 194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Study on 194 Patient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원문보기

大韓鍼灸學會誌=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v.26 no.4, 2009년, pp.39 - 47  

조재희 (자생한방병원 침구과) ,  이효은 (자생한방병원 침구과) ,  이한 (자생한방병원 침구과) ,  정호석 (자생한방병원 침구과) ,  김은석 (자생한방병원 침구과) ,  한경완 (자생한방병원 침구과) ,  문자영 (자생한방병원 침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se studies are designed to make a survey of the effectiveness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Methods : The clinical study was done on 194 cases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who was treated in Ja-Seng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Janu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간 홍7), 왕8) 등이 한방병원에서 치료 받은 측두하악장애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를 통해 측두하악관절장애의 한방치료와 통계를 다루었으나 대상 환자의 수가 적었으며 최근의 통계보고가 미비하여 본 저자는 2008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자생한방병원 턱관절클리닉에 측두하악관절장애를 진단받고 외래치료를 받은 환자 194명을 대상으로 한방요법을 시행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연발음과 개구장애의 증상이 치료 후에 소실되었는지 또는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측두하악관절장애로 인한 임상적 문제와 기능장애는 무엇인가? 측두하악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는 저작계와 관련된 많은 임상적 문제들로 정의되는 광범위하고 불특정한 용어로 근육 및 관절 구조와 관련된 중요한 기능장애와 관련된다. 턱관절이 움직이는 동안에 근육 및 관절의 통증과 함께 관절 연발음, 대구치의 저작력 감소, 개구동작의 제한, 긴장성 두통, 관절의 잠김, 얼굴 및 두피의 연관통, 전신의 통증 유발 등 다양한 증상이 포함되며15) 이러한 증상은 시간에 따른 흐름이 있으며 저작근의 긴장과 이악물기, 이갈이, 이 밖의 구강 내의 비기능적 습관과 강하게 연관된다16).
측두하악관절장애란? 측두하악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는 저작근과 측두하악관절, 그리고 주변 구조물을 포함하는 임상 질환을 총체적으로 일컫는다1).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원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원인으로 관여할 수 있는 소인들은 신경근육성 부조화, 턱관절 발생 부조화, 정신적 스트레스, 부정교합, 잘못된 수복물, 구강 악습관, 외상, 영양, 호르몬 및 대사 장애 등 다양하며 특정 소인을 명확히 규명하기 어렵고 여러 가지 소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설득력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cNeil C. History and evolution of TMD concep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7 ; 83 : 51-60. 

  2. Okeson JP. Orofacial Pain:Guidelines for Assessment, Diagnosis and Management. Chicago : Quintessence. 1996 : 116-7. 

  3. Gremillion HA. The prevalence and etiolog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orofacial pain. Tex Dent J. 2000 ; 117(7) : 30-9. 

  4. 정훈, 김영균. 턱관절장애의 체계적인 임상치료. 서울 : 나래출판사. 2005 : 17-8. 

  5. 최중림, 손찬우. 악관절의 통증에 관한 연구. 대한통증의학회지. 1995 ; 8(1) : 86-92. 

  6. 변재영, 안수기, 이병철. 악관절장애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99 ; 16(2) : 61-7. 

  7. 홍권의, 이준구, 김영일, 이현, 김연진, 이병렬.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1) : 76-83. 

  8. 왕오호, 임진강, 안규범, 장형석, 신준식. 동기침법을 이용한 악관절 장애 환자의 임상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5) : 109-21. 

  9. 김태수, 김창연, 이기하, 엄태웅, 정영훈, 고영탁. 측두하악 증후군에 대한 침치료군과 추나치료군의 임상적 고찰.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6 ; 7(1) : 51-60. 

  10. 김용석, 김창환. 측두하악장애의 치험 8예. 대한침구학회지. 1996 ; 13(1) : 429-35. 

  11. 신병철, 신준식, 이종수, 임형호. 정형추나학. 서울 :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06 : 182-4. 

  12. Patrick D Wall, Ronald Melzack. 통증학. 서울 : 도서출판 정담. 2002 : 483-4. 

  13. 김연중. 악관절 장애. 약국. 1997 ; 268 : 15-8. 

  14. Dolwick MF. Riggs RR.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ternal derangement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ent Clin North AM. 1983 ; 27 : 561-72. 

  15. Donald A Neumann. 근골격계의 기능해부 및 운동학. 서울 : 정담미디어. 2004 : 398. 

  16. Egermark I, Carlsson GE, Magnusson T. A 20-year longitudinal study of subjectiv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der from childhood to adulthood. Acta Odontol Scand. 2001 ; 59(1) : 40-8. 

  17. 김영구. 악관절 장애의 진단 및 치료(하).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1 ; 29(6) : 49-60. 

  18. Wanman A. Longitudinal course of symptoms of craniomandibular disorder in men and women : a 10-year follow-up study of an epidemiologic sample. Acta Odontol Scand. 1996 ; 54(6) : 337-42. 

  19. Edward F. 측두하악관절 장애 매뉴얼. 서울 : 군자출판사. 2007 : 19, 83-4. 

  20. 정상창. 악관절장애와 교합. 서울 : 군자출판사. 2001 : 339-40. 

  21. 양유연, 양사수. 실용중서의결합진단치료학. 북경 : 중의약과기출판사. 1991 : 1585. 

  22. 허준. 동의보감. 서울 : 법인문화사. 1999 : 511. 

  23.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상). 파주 : 집문당. 2008 : 24, 45-6, 339. 

  24. 대한약침학회. 약침요법시술지침서. 서울 : 한성인쇄. 2000 : 120-25, 180-202. 

  25. Green CS. Temporomandibular disoders in the geriatric population. J Prosthet Dent. 1995 ; 72 : 507-9. 

  26. 오희영.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임상양태와 치료결과와의 관계.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5 ; 20(1) : 407-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