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에 따른 분말 청국장의 비타민 함량과 관능적 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Vitamin Contents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in Powdered Cheongkukjang Dri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2 no.2, 2009년, pp.192 - 198  

양학렬 ((주)세계에프엘 부설연구소) ,  박상순 ((주)세계에프엘 부설연구소) ,  이장우 ((주)세계에프엘 부설연구소) ,  이근보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명규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ongkukjang is a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 in Korea that is used in the manufacture of functional fo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vitamin contents and sensory qualities of powdered Cheongkukjang dried by oven drying, far-infrared drying and freeze drying. Vitamins $B_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조방법을 달리한 청국장 분말을 제조하여 건조과정에서 손실될 수 있는 미량성분인 비타민 함량의 변화 그리고 청국장 특유의 맛과 냄새, 색 등의 변화 등의 관능적 특성을 관찰하여 최적의 건조방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을 달리해서 청국장 분말을 제조하여 건조과정에서 손실될 수 있는 미량성분이지만 생리대사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비타민의 함량 변화 그리고 불쾌한 맛과 냄새, 색 등의 변화 등에 대한 관능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최적의 건조방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 Different superscripts at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3) The same superscripts in a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p<0.05).
  • 4) The same superscripts in a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청국장은 우수한 영양식품으로 약리효능이 보고되어 있지만 특유한 냄새 때문에 기피하는 경향이 소비자의 약 절반으로 조사된 바 있다(Choe 등 1996). 이러한 청국장의 이취는 고초균으로 인해 alkylpyrazine, 암모니아 화합물, 함황화합물 등으로부터 유래되며, 고초균의 종류에 따라 맛과 향이 크게 다르고 protease 활성이 강력한 Bacillus subtilis가 많은 균주로 담글 때 청국장 맛이 좋아지지만 반대로 protease 활성이 강하지 못한 균주로 담글 때 청국장 맛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부패와 변질이 쉽게 일어나게 되며, 원료의 종류, 균의 종류, 발효 온도 및 시간 등에 의해서도 청국장의 품질이 결정된다(Nevala 등 2000).
동결 건조 청국장 분말이 다른 건조 방법을 이용한 청국장 분말에 비하여 구수한 맛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05). 이는 구수한 맛을 발현하는 pyrazine류가 진공 하에서 냉동 건조할 경우 발현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청국장의 이취의 원인은 무엇인가? 청국장은 우수한 영양식품으로 약리효능이 보고되어 있지만 특유한 냄새 때문에 기피하는 경향이 소비자의 약 절반으로 조사된 바 있다(Choe 등 1996). 이러한 청국장의 이취는 고초균으로 인해 alkylpyrazine, 암모니아 화합물, 함황화합물 등으로부터 유래되며, 고초균의 종류에 따라 맛과 향이 크게 다르고 protease 활성이 강력한 Bacillus subtilis가 많은 균주로 담글 때 청국장 맛이 좋아지지만 반대로 protease 활성이 강하지 못한 균주로 담글 때 청국장 맛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부패와 변질이 쉽게 일어나게 되며, 원료의 종류, 균의 종류, 발효 온도 및 시간 등에 의해서도 청국장의 품질이 결정된다(Nevala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혜영, 김미리, 고봉경. 2004. 식품품질평가 pp.145-149. 효일 

  2. 금동혁. 2002. 벼의 원적외선 건조특성.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7:45-50 

  3. 이봉희. 1998. 동결 건조에 의한 농산가공물(도토리묵)의 건조. 산업과학 기술논문 12:17-29 

  4. 채수규. 2007. 표준 식품분석학 pp.221. 지구문화사 

  5. 한명규. 2007. 최신 식품화학 pp.258-259. 형설출판사 

  6. Cary, NC. SAS/STAT 1998. User's Guide Version 6. 4th ed., Vol. 2, Cj. 37 pp.1457-1478. SAS institute Inc 

  7. Chang JK, Shim YY, Kim SH, Chee KM, Cha SK. 2005. Fibrinolytic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Bacillus spp. strains isolated from Chungkukjang. Koran J Food Sci Technol 37:255-260 

  8. Choi YJ, Cha WS, Bok SK, Kim MU, Chun SS, Choi UK. 2000. Production and separation antihypertensive peptide during Chungkukjang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CH-1023.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247-252 

  9. Choe JS, Kim JS, Chang CM, Shin SY. 1996. Survey on preparation method and consumer response of ChungKukjang. Korea Soybean Digest 13:29-43 

  10. Food code. 2003. Conduct laboratory testing according to specifications and test methods of food code. pp.894-918. Korean Food & Drugs Administration. Moon Yong Press. Seoul 

  11. Han MK. 2007. Review on health functionality of Cheonggukjang. Bul. Nat Sci Yongin Uni 12:115-125. 2007 

  12. Heo S, Lee SK, Joo HK.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ibrinolytic bacteria from Korean traditional Chungkukja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1:119-124 

  13. Kim JI, Kang MJ, Kwon TW. 2003. Antidiabetic effect of soybean and Chungkukjang. Korean Soybean Digest 20:44-52 

  14. Kim KJ, Ryu MK, Kim SS, 1984.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with rice straw. Koraen J Food Sci Technol 14:301-308 

  15. Kim JS. 1996. Current research trends on bioactive function of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599-604 

  16. Kim JS, Yoo SM, Chang CM. 1998.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onggugja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Agric Chem Biotechno. 41:377-383 

  17. Kim SH, Yang JL, Song YS. 1999.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ungkukjang.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40-46 

  18.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oojin Publishing Co 

  19. Koh JB. 2006. Effects Cheonggukjang added Phellinus linteus on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J Koraen Soc Food Sci Nutr 35:410-415 

  20. Lee BY, Kim DM, Kim KH. 1991.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viscous substance extracted from Chungkukjang. Koran J Food Sci Technol 23:599-604 

  21. Lee HJ. 1996. Body regulation functional peptides of soybean protein hydrolysate and fermented food. The international symposium for function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anl soybean fermented foods. pp.61-72 

  22. Lee HS, Nam HY, Lee KT. 2006. Analysis characteristics and aroma pattern of powdered Chungkookjang from hot-air and freeze drying. J. East Assian Soc Dietary Life 16:724-730 

  23. Lee KH, Ryul SH, Lee YS, Kim YM, Moon GS. 2005. Change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reaction compounds on the Chungkukjang preparation by adding drained boiling wat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63-170 

  24. Lim SY, Park KY, Rhee SH. 1999. Anticancer effect of Deonjang in vitro sulforhodamine B(SRB) assay. J Korean Soc Food Sci Nutrition 28:240-245 

  25. Nevala R, Vasconen T, Vehniainen J, Korpela R, Vapaatalo H. 2000. Soy based diet attenuates the development of hypertention when compared to casein based diet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Life Sci 66:115-124 

  26. Shon MY, Seo KI, Lee SW, Choi SH, Sung NJ. 2000. Biological activities of Chungkukjang prepared with black bean and changes in phytoestrogen cont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936-941 

  27. Sung NJ, Ji YA, Chung SY. 1984. Changes in nitrogenous compounds of soybean during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J Koraen Soc Food Sci Nutr 13:275-284 

  28. Youn HK, Choi HS, Hur SH, Hong JH. 2001.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iscous substance from Chungkukjang fermented with different. Bacillus J Food Hyg Safty 16:188-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