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청국장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Perception of Cheongkuk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7, 2014년, pp.1104 - 1111  

강소진 (한국식품연구원 유통연구단) ,  김상숙 (한국식품연구원 유통연구단) ,  정혜영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청국장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시판 청국장 7종류와 실험실 제조 청국장 제품 9종류의 이화학 특성 및 소비자 검사를 하였다. 실험실 제조 청국장에 비해 시판 청국장의 수분 함량이 낮았으며, 염도는 혼합청국장 형태인 C2가 높았고(P=0.001), 시판 청국장이 제조 청국장에 비하여 높았다. 색도의 경우 L값은 제조 청국장이 시판 청국장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제조 청국장은 발효시간이 길수록 청국장의 색이 어두웠다. a값과 b값은 시판 청국장 중 C2가 가장 높았으며, 제조 청국장은 가장 짧은 기간 발효시킨 P2A가 높았다. 시판 청국장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C4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조 청국장의 경우 발효시간이 길었던 시료가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시판 청국장보다 제조 청국장이 낮게 나타나 식품공전의 규격에 미치지 못하였다. 소비자 검사 결과, 조리 전과 조리 후 다른 시료에 비해 C4의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구입의향과 지불의향가격이 높아 소비자 평가의 일관성을 보여 주었다. 전반적으로 시판 청국장에 비해서 실험실에서 제조한 청국장 시료들의 기호도가 낮은 경향이 있었다. 이는 소비자의 기호를 반영한 청국장 제품의 품질개선이 필요함을 내포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청국장 특성은 실험실에서 제조한 청국장 시료에 비해 색이 진하고 시판 청국장에 비해 색이 연한 청국장이었으며, 국물이 적고 청국장 특유의 맛, 단맛, 고소한 맛이 강하고 청국장 이외의 향, 짠맛 및 쓴맛이 약한 청국장이었다. 조리 전 청국장은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이 높고(r=0.63) 수분 함량이 낮을수록(r=-0.61) 기호도가 높았고, 조리 후 청국장은 휘발성 염기질소(r=0.74)와 아미노태 질소 함량(r=0.67)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수분 함량이 적을수록, 휘발성 염기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이 높을수록 청국장의 소비자 기호도가 높음을 보여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major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consumer acceptability of Cheonggukja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perception of 16 Cheonggukjang samples (seven commercial samples and nine samples prepared in the laboratory) were analyzed. Overall, consumer acceptability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청국장 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시판 청국장 제품에 비교한 균주 및 발효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익한 약리작용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청국장을 기피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그러나 청국장은 유익한 약리작용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냄새 때문에 청국장을 기피하는 소비자가 많으며(5), 현재 유통되는 청국장의 경우 저장성을 늘리기 위하여 1∼11% 수준의 소금량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6). 청국장 과다 섭취 시 나트륨의 과잉섭취로 고혈압뿐만 아니라 혈관 벽 자체를 약화시킴으로써 뇌졸중의 유발을 촉진하며, 위장 점막을 자극함으로써 위암 발생에도 관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7).
청국장의 발효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소화흡수율에 도움이 되는 과정은?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인 청국장은 발효과정에서 바실러스균이 만들어내는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콩에 있는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이 소화되기 쉬운 상태로 분해되므로 소화흡수율이 뛰어나고, 원료인 콩은 비타민, 무기질 및 필수아미노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양성분 이외에도 식이섬유, 인지질, 이소플라본, 페놀린산, 사포닌, 트립신 저해제, 피틴산 등을 포함하고 있다(1,2). 또한 청국장과 같은 장류는 균주 및 발효조건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생성되고 기능성이 다르며(3), 인체에 유익한 Bacillus sp.
이취를 발생시키는 청국장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이 증가되는 원리는? 시판 청국장 7종류(C1∼C7)와 실험실 제조 청국장 9종류(P6A∼P2A), 총 16종류의 휘발성 염기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Table 3에 나타나 있다.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단백질의 변패 정도를 측정하는 식품의 저장성 설정 지표로서 식품저장 및 발효과정 중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아민류 및 암모니아 등 질소화합물이 생성되어 휘발성 염기 질소 함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취가 발생한다(1). 시판 청국장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C4가 1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JW, Kim YS, Jeong PH, Kim HE, Shin DH.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manufactured in fork villages of Sunchang region. J Food Hyg Safety 21: 223-230. 

  2. In MJ, Kim DW, Kim DC. 2004. Production of green tea extract-containing Chungkook-jang. J Academia-Industrial Technol 5: 345-349. 

  3. Hwang HA, Lee NK, Cho IJ, Hahm YT, Kwon KO, Kim BY. 2008. Selection of microorganisms and optimization of manufacture process for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06-411. 

  4. Jang YM. 2004. Research on quality improvement of Chungkukjang by Bacillus subtilis. PhD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Yang HR, Park SS, Lee JW, Lee KB, Han MK. 2009. Comparison of vitamin contents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in powdered Cheongkukjang dri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 Nutr 22: 192-198. 

  6. Ko YJ, Son YH, Kim EJ, Seol HG, Lee GR, Kim DH, Ryu CH. 2012. Quality properties of commercial Chungkukjang in Korea. J Agric & Life Sci 46: 1-11. 

  7. Jeong YS. 2006. Salt Intake and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salt intake in Korean.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8. Ju KE, Oh NS. 2009. Effect of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99-404. 

  9. Kim JH. 1996. Change of flavor compounds during Cheonggukjang fermentation.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JH. 2012. A study on th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n J Nutr 45: 577-587. 

  1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5-36. 

  12. Doughty HW. 1924. Mohr'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ilver and halogens in other than neutral solutions. J Am Chem Soc 46: 2707-2709. 

  13. Marais JP, de Wit JL, Quicke GV. 1996.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Nelson-Somogyi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s. Anal Biochem 15: 373-381. 

  14. Japanese Ministry of Hygiene. 1973. Food Sanitation Indices. I. Volatile basic nitrogens. Tokyo, Japan. p 30-32. 

  15. Choi SH, Ji YA. 1989. Changes in flavor Chungkoo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229-234. 

  16. Shon MY.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hungkuk-jang produced from Korean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Ph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7. Kim JH, Kim SI, Kim JG, Im DK, Park JG, Lee JW, Byun MW. 2006.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improvement of sensorial quality of Chungkook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82-486.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Cheonggukjang production technology using green tea. Suwon, Korea. p 22. 

  19. Kim DM, Kim SH, Lee JM, Kim JE, Kang SC. 2005. Monitoring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oducts during storage for shelf-life establishmen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32-139. 

  20. Shin SR, Hong JY, Nam HS, Huh SM, Kim KS. 2006. Chemical change of salted mackerel by Korean herbal extracts treatment and storage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3: 18-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