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련과 단삼의 독성평가를 위한 성분분석 및 안정성 시험
Analysis and Stability test of the Extract of Coptidis Rhizoma and Salviae Miltiorrhizae Radix for Toxicity Study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0 no.3 = no.158, 2009년, pp.184 - 189  

이미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  이준석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  곽승준 (국립독성과학원 독성연구부) ,  김지명 (국립독성과학원 독성연구부) ,  강태석 (국립독성과학원 독성연구부) ,  이제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  우미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  최재수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배기환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  민병선 (대구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imple and reliable reverse phase HPLC method of Coptidis Rhizoma and Salviae Miltiorrhizae Radix were developed to determine pharmacologically active marker compounds. The water-extract of two natural medicines were evaluated by the HPLC methods. The stability test for two extract were examin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황련과 단삼 2종 생약을 대상으로 HPLC-UV를 이용하여 지표성분의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해 생약의 표준화된 추출물을 확보하고 실온과 냉장의 보관조건에서 지표성분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독성시험에 사용하는 생약 추출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련의 berebrine은 어떻게 응용되나? 황련 (Coptidis Rhizoma)의 berebrine은 광범위한 항미생물 작용과6) 사람의 장내세균의 생장을 억제하는7) 활성이 있어 세균성설사에 대한 지사약 및 소염성 고미건위약으로 세균성설사, 복통, 폐결핵, 구토, 비출혈, 하혈, 소갈, 눈충혈, 구내염 등에 응용한다. 황련의 isoquinoline계 alkaloid는 암세포에 세포독성,8) SNU-688 gastric cancer cell에 apoptosis 작용,9) anti-feeding 활성,10) aldose reductase 억제활성,11) 해독작용12) 등이 보고되어 있고, lignan계 화합물은 항염증작용이13) 보고되어져 있다.
마두령이란? 규격을 설정하여 관리하는 생약은 대한약전에 130종과 생약규격집에 385종으로 총 515종의 한약재가 수재되고 관리되고 있으나 이들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1) 특히 마두령 (Aristolochiae Fructus)은 쥐방울과 (Aristolochiaceae)의 쥐방울덩굴 (Aristolchia contorta) 과실로 뱀독의 해독제나 진통, 소염제 등으로 사용되었던 생약재이다. 마두령의 주성분은 aristolochic acid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여러 동물 실험에서 발암성, 유전독성 및 신장독성이 확인되었고, 사람에게서도 aristolochic acid가 다량 함유된 다이어트 제재를 장기 복용한 경우 신장독성과 발암성이 보고되면서 생약재의 독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생약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안전성 평가자료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쥐방울덩굴 과실인 마두령의 주요성분은? 1) 특히 마두령 (Aristolochiae Fructus)은 쥐방울과 (Aristolochiaceae)의 쥐방울덩굴 (Aristolchia contorta) 과실로 뱀독의 해독제나 진통, 소염제 등으로 사용되었던 생약재이다. 마두령의 주성분은 aristolochic acid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여러 동물 실험에서 발암성, 유전독성 및 신장독성이 확인되었고, 사람에게서도 aristolochic acid가 다량 함유된 다이어트 제재를 장기 복용한 경우 신장독성과 발암성이 보고되면서 생약재의 독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생약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안전성 평가자료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S. H., Choi, E. J., Kim, D. H., Lee, K. Y., Lee, M., Baek, S. W., Kwak, S. J., Kang, T. S., Kim, Y. C. and Sung, S. H. (2008) Stability test of the extracts of Cimicifugae Rhizoma, Achyranthis Radix, Artemisia Capillaris Herba, Moutan Cortex Radicis and Arecae Semen for toxicity study. Kor. J. Pharmacogn. 39: 241-245 

  2. Park, C. H. and Kwack, S. J. (2009) The effects of aristolochic acid on reproductive function in female rats. Kor. J. Pharmacogn. 40: 89-98 

  3. Frei, H., Wurgler, F. E., Juon, H., Hall, C. B. and Graf, U. (1985) Aristolochic acid is mutagenic and recombinogenic in Drosophila genotoxicity tests. Arch. Toxicol. 56: 158-166. 4.Mengs, U. (1987) Acute toxicity of aristolochic acid in rodents. Arch. Toxicol. 59: 328-331 

  4. Mengs, U. (1987) Acute toxicity of aristolochic acid in rodents. Arch. Toxicol. 59: 328-331 

  5. Arlt, V. M., Annie, P. L., Cosyns, J. P. and Schmeiser, H. H. (2001) Analyses of DNA adducts formed by ochratoxin A and aristolochic acid in patiens with Chinese herbs nephropathy. Mutation Research . 494: 143-150 

  6. Park, H., Kim, M. S., Jeon, B. H., Kim, T. K., Kim, Y. M., Ahnn, J., Kwon, D. Y., Takaya, Y., Wataya, Y. and Kim, H. S. (2003) Antimalarial activity of herbal extract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Biol. Pharm. Bull. 26: 1623-1624 

  7. Chae, S. H., Jeong, I. H., Choi, D. H., Oh, J. W. and Ahn, Y. J. (1999) Growth-inhibiting effects of Coptis japonica rootderived isoquinoline alkaloids on human intestinal bacteria. J. Agric. Food Chem., 47: 934-938 

  8. Min, Y. D., Yang, M. C., Lee, K. H., Kim, K. R., Choi, S. U. and Lee, K. R. (2006) Protoberberine alkaloids and their reversal activity of P-gp expressed multidrug resistance (MDR) from the rhizome of Coptis japonica Makino. Arch. Pharm. Res. 29: 757-761 

  9. Park, H. J., Kim, Y. J., Leem, K., Park, S. J., Seo, J. C., Kim, H. K. and Chung, J. H. (2005) Coptis japonica root extract induces apoptosis through caspase-3 activation in SNU-668 human gastric cancer cells. Phytother. Res. 19: 189-192 

  10. Park, I. K., Lee, H. S., Lee, S. G., Park, J. D. and Ahn, Y. J. (2000) Antifeeding activity of isolquinoline alkaloids identified in Coptis japonica roots against Hyphantria cunea (Lepidoptera: Arctiidae) and Agelastica coerulea (Coleoptera: Galerucinae). J. Econ. Ebtomol. 93: 331-335 

  11. Takanashi, K., Shitan, N., Sugiyama, A., Kamimoto, Y., Hamamoto, M., Iwaki, T., Takegawa, K. and Yazaki, K. (2008) Galactinol synthase gene of Coptis japonica is involved in berberine tolerance. Biosci. Biotechnol. Biochem. 72: 398-405 

  12. Fang, Z. Y., Lin, R., Yuan, B. X., Liu, Y. and Zhang, H. (2007) Tanshinone IIA inhibits atherosclerotic plaque formation by down-regulating MMP-2 and MMP-9 expression in rabbits fed a high-fat diet. Life Sci., 81: 1339-1345 

  13. Cho, J. Y., Kim, A. R. and Park, M. H. (2001) Lignans from the rhizomes of Coptis japonica differentially act as antiinflammatory principles. Planta Med. 67: 312-316 

  14. Fang, Z. Y., Lin, R., Yuan, B. X., Yang G. D Liu, Y. and Zhang, H. (2008) Tanshinone IIA downregulates the CD40 expression and decreases MMp-2 activity on atherosclerosis induced by high fatty diet in rabbit. J Ethnopharmacol. 115:217-222 

  15. Ji, W. and Gong, B. Q. (2008) Hypolipidemic activity and mechanism of purified herbal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in hyperlipidemic rats. J Ethnopharmacol, 119: 291-298 

  16. Wu, M. H,. Tsai, W. J., Don, M. J., Chen, I. S. and Kuo, Y. C. (2007) Tanshinlactone A from Salvia miltiorrhiza modulatesinterleukin- 2 and interferon-gamma gene expression. J Ethnopharmacol. 113: 210-217 

  17. Jeon, S. J., Son, K. H., Kim, Y. S., Choi, Y. H. and Kim, H. P. (2008) Inhibition of prostaglandin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RAW 264.7 cells by tanshinones from the roots of Savia miltiorrhiza Bunge. Arch. Pharm. Res. 31: 758-763 

  18. Zhang, F., Zheng, W., Pi, R., Mei, Z., Bao, Y., Gao, J., Tang, W., Chen, S. and Liu, P. (2009) Cryptotanshinone protects primary rat cortical neurons from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via the activation of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signaling pathway. Exp. Brain Res. 193: 109-118 

  19. Kim, JY., Kim, HS., Kang, HS., Choi, JS., Yokozawa, T. and Chung, H. Y. (2008) Antioxidant potential of dimethyl lithospermate isolated from Salvia miltiorrhiza (red sage) against peroxynitrile. J. Med. Food, 11: 21-28 

  20. Yin, H. Q., Choi, Y. J., Kim, Y. C., Sohn, D. H., Ryu, S. Y. and Lee, B. H. (2009) Salvia miltiorrhiza Bunge and its active component cryptotanshinone protects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from acute ethanol-induced cytotoxicity and fatty infiltration. Food Chem. Toxicol. 47: 98-103 

  21. Bian, W., Chen, F., Bai, L., Zhang, P. and Qin, W. (2008) Dihydrotanshinone I inhibits angiogenesis both in vitro and in vivo. Acta Biochim. Biophys. Sin. (Shanghai), 40: 1-6 

  22. Nizamutdinova, I. T., Lee, G. W., Lee, J. S., Cho, M. K., Son, K. H., Jeon, S. J., Kang, S. S., Kim, Y. S., Lee, J. H., Seo, H. G., Chang, K. C. and Kim, H. J. (2008) Tanshinone I suppresses growth and invas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MDA-MB-231, through regulation of adhesion molecules. Carcinogenesis 29: 1885-1892 

  23. Lee, C. Y., Sher, H. F., Chen, H. W., Liu, C. C., Chen, C. H., Lin, C. S., Yang, P. C., Tsay, H. S. and Chen, J. J. (2008) Anticancer effects of tanshinone I i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Mol. Cancer Ther. 7: 3527-3538 

  24. Nizamutdinova, I. T., Lee, G. W., Son, K. H., Jeon, S. J., Kang, S. S., Kim, Y. S., Lee, J. H., Seo H. G, Chang K. C. and Kim H. J. (2008) Tanshinone I effectively induces apoptosis in estrogen receptor-positive (MCF-7) and estrogen receptornegative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Int. J Oncol. 33: 485-491 

  25. Don, M. J., Shen, C. C., Lin, Y. L., Syu, W. J., Ding, Y. H., and Sun, C. M. (2005)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from Salvia miltiorrhiza. J. Nat. Prod. 68: 1066-1070 

  26. Dat, N. T., Jin, X., Lee, J. H., Lee, D., Hong, Y. S., Lee, K., Kim, Y. H. and Lee, J. J. (2007) Abietane diterpenes from Salvia miltiorrhiza inhibit the activat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 J. Nat. Prod. 70: 1093-1097 

  27. 식의약청고시 2003-17, 안전성유효성심사규정 

  28. Jung, H. A., Yoon, N. Y., Bae, H. J., Min, B. S. and Choi J. S. (2008)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alkaloids from Coptidis Rhizoma against aldose reductase. Arch. Pharm. Res. 31: 1405-1412 

  29. Grycova, L., Dostal, J. and Marek, R. (2007) Quaternary protoberberine alkaloids. Phytochemistry 68: 150-175 

  30. Lee, H. Y. and Kim, C. W. (1997)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Berberis amurensis Ruprecht. Kor. J. Pharmacogn. 28: 257-263 

  31. 편집부: 대한약전 (제8개정), 약업신문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