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암 검출에서 혈중 Pepsinogen검사의 의의
The Role of Serum Pepsinogen in Detection of Gastric Cancer 원문보기

대한위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v.9 no.4 = no.36, 2009년, pp.167 - 171  

류형균 (포항성모병원 외과) ,  박전우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이건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전창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이호준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채현동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정상인과 위암 환자의 혈중 Pepsinogen (PG)농도를 비교 분석하여 선별검사로서 이용가능성 및 위암의 임상 조직학적 요소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대구가톨릭대학병원에서 내시경상 특이소견이 없는 정상인과 위선암 환자의 수술 전 혈중 PG농도를 측정하였다. 위암진단의 선별검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 보기 위해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s (ROC) curves를 이용하여 가장 유용한 검사법을 선별하였고, 위암 조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특정 기준치에 따라 임상 조직학적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선별검사로서 혈중 PG I/II 비율이 가장 유용하였고, 기준치에 따른 민감도, 특이도는 81.8%, 82%로 나타났다. 임상 조직학적 요소 중 Lauren분류에 따른 종양의 아형(P=0.003), TNM 병기의 T 병기(P=0.001), 및 종양주위의 만성 위축성 위염(P=0.036)을 동반한 위선암이 특정기준치(cut off point)값에 의미 있는 관련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정상 대조군의 수가 적어 선별검사로서 혈중 PG측정의 유용성을 논하기에는 부족하나, 위암의 선별검사로서 이용 가능성 및 임상 조직학적 요소와 의미 있는 관련을 보여 차후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serum pepsinogen (PG) levels as a screening method for gastric cancer,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um PG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of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Serum PG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정상 대조군의 수가 작고, 위암 환자군과의 연령 분포가 달라, 선별검사로서 혈중 PG측정의 유용성을 논하기에는 부족하나, 비교적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여 위암의 선별검사로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특정 기준치에서 임상 조직학적 요소와 의미 있는 관련을 보여 차후 일차검진으로 이용가능성과 위선암의 임상 조직학적 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위암 중 만성 위축성 위염(chronic atrophic gastritis)을 배경으로 하여 발생하는 경우는 위축의 정도가 심하고 광범위한 위 점막의 손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혈중 PG농도를 이용한 선별검사는 위암의 중요한 위험 인자가 되는 만성 위축성 위염을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이용하여 위암의 일차적인 고위험군 선별검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인과 위암 진단 후 수술받은 환자의 혈중 PG농도를 비교 분석하여 혈중 PG검사의 위암진단에서 선별검사로서 이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 혈중 PG농도와 위암의 임상조직학적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위암 발생기전이해 인자로서의 혈중 PG검사의 유용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Pilot study)로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G란 무엇인가? PG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pepsin의 전구물질로 분자량이 42,000 Da를 가지는 단일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며 PG I과 II의 isotype이 있다.(2) PG I과 II는 위저부와 위체부의 위저선(fundic gland)의 주세포(chief cell)와 점액세포(mucus neck cell)에서 분비되고 PG II는 위전정부의 유문선(pyloric gland)의 산분비성 세포(oxyntic cell)와 십이지장 상부의 Brunner’s gland에서 분비된다고 한다.
위점막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혈중 PG농도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광범위한 만성 위축성 위염에 의한 손상으로 위점막에 손상을 주게되면 위축정도가 심해질수록 유문선이 주세포를 대체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PG I은 감소하게 되고, PG II는 변화가 없거나 증가하게 된다고 하며 PG I/II의 비율은 매우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혈중 PG농도는 위점막의 형태학적, 기능적 상태를 매우 잘 반영할 수 있다고 한다.
혈중 PG와 관계가 있는 위암의 종류는 무엇인가? 위암의 조직과 혈중 PG검사와의 관계에 있어 Lauren 분류에 따른 종양의 아형인 장형 위선암은 만성위염, 위축성위염, 장형화생, 이형성 등의 다단계과정을 거쳐 암으로 발전하는데,(11) 만성 위축성 위염의 표지자인 혈중 PG은 장형 위선암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14) 본 연구에서도 장형 위선암이 미만형 위선암에 비해 특정 기준치의 혈중 PG농도와 의미 있는 관련을 보였으며, 또한 종양주위의 만성 위축성위염을 동반한 위선암의 경우도 의미 있는 관련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iki K, Ichinose M, Shimizu A, Huang SC, Oka H, Furihata C, Matsushima T, Takahashi K. Serum pepsinogens as a screening test of extensive chronic gastritis. Gastroenterol Jpn 1987;22:133-141. 

  2. Gritti I, Banfi G, Roi GS. Pepsinogens: physiology, pharmacology pathophysiology and exercise. Pharmacol Res 2000; 41:265-281. 

  3. Kitahara F, Kobayashi K, Sato T, Kojima Y, Araki T, Fujino MA. Accuracy of screening for gastric cancer using serum pepsinogen concentrations. Gut 1999;44:693-697. 

  4. Samloff IM, Varis K, Ihamaki T, Siurala M, Rotter JI. Relationships among serum pepsinogen I, serum pepsinogen II, and gastric mucosal histology: a study in relatives of patients with pernicious anemia. Gastroenterology 1982;83:204-209. 

  5. Kimura K, Takemoto T. An endoscopic recognization of the atrophic border and its significance in chronic gastritis. Endoscopy 1969;1:87-97. 

  6. Sitas F, Smallwood R, Jewell D, Millard PR, Newell DG, Meuwissen SG, Moses S, Zwiers A, Forman D. Serum anti-Helicobacter pylori IgG antibodies and pepsinogens A and C as serological markers of chronic atrophic gastriti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3;2:119-123. 

  7. Stemmermann GN, Samloff IM, Nomura AM, Heilbrun LK. Serum pepsinogens I and II and stomach cancer. Clin Chim Acta 1987;163:191-198. 

  8. Kang JM, Kim N, Yoo JY, Park YS, Lee DH, Kim HY, Lee HS, Choe G, Kim JS, Jung HC, et al. The role of serum pepsinogen and gastrin test for the detection of gastric cancer in korea. Helicobacter 2008;13:146-156. 

  9. di Mario F, Cavallaro LG. Non-invasive tests in gastric diseases. Dig Liver Dis 2008;40:523-530. 

  10. Miki K. Gastric cancer screening using the serum pepsinogen test method. Gastric Cancer 2006;9:245-253. 

  11. Correa P. Human gastric carcinogenesis: a multistep and multifactorial process-first american cancer society award lecture on cancer epidemiology and prevention. Cancer Res 1992;52: 6735-6740. 

  12. Kodoi A, Yoshihara M, Sumii K, Haruma K, Kajiyama G. Serum pepsinogen in screening for gastric cancer. J Gastroenterol 1995;30:452-460. 

  13. Kim HY, Kim N, Kang JM, Park YS, Lee DH, Kim YR, Kim JS, Jung HC, Song IS. Clinical meaning of pepsinogen test and Helicobacter pylori serology in the health check-up population in Korea. Eur J Gastroenterol Hepatol 2009;21:606-612. 

  14. Oishi Y, Kiyohara Y, Kubo M, Tanaka K, Tanizaki Y, Ninomiya T, Doi Y, Shikata K, Yonemoto K, Shirota T, et al. The serum pepsinogen test as a predictor of gastric cancer: the Hisayama study. Am J Epidemiol 2006;163:629-637. 

  15. Parsonnet J, Samloff IM, Nelson LM, Orentreich N, Vogelman JH, Friedman GD. Helicobacter pylori, pepsinogen, and risk for gastric adenocarcinoma.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3;2:461-466. 

  16. Nomura AM, Stemmermann GN, Chyou PH. Gastric cancer among the Japanese in Hawaii. Jpn J Cancer Res 1995;86: 916-9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