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위체부에 발생한 조기위암에서 위구획절제술과 Billroth I 재건술식의 비교
A Comparison of Segmental Gastrectomy and Distal Gastrectomy with Billroth I Reconstruc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That's Developed on the Gastric Body 원문보기

대한위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v.9 no.4 = no.36, 2009년, pp.207 - 214  

송민상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과학교실) ,  이상일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과학교실) ,  설지영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과학교실) ,  노승무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위체부에 발생하는 조기위암에 대해 원위부 위아전 절제술(SDG)이 표준 술식으로 시행되나 술 후 기능장애와 합병증이 있으며, 이런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시경적점막절제술을 하지만 림프절의 전이여부를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위의 절제 범위를 줄이고 유문을 보존하고, 림프절의 절제가 가능한 위구획절제술(SG)에 대해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본원에서 위체부의 조기위암 환자 중 41명에서 SG를 하였고, 40명에서는 SDG를 하였다. 의무기록 및 전화를 이용한 설문을 이용하여 수술 후 6개월과 12개월의 영양상태와 술 후 합병증에 대해 두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영양상태의 변화(혈색소, 혈장단백, 혈장알부민, 혈장콜레스테롤, P>0.05)와 체중의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SG군에서 SDG군에 비하여 내시경 시 잔여음식물(P<0.05)이 많았으나, 상복부 불편감이나 식사 시조기 팽만감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P>0.05). 식도염은 두군에서 비슷한 발생률을 보였고(P>0.05), 담즙 역류는 SG군과 SDG군에서 각 한 명만 관찰이 되었다. 결론: SG군에서는 유문이 보존되므로 담즙 역류로 인한식도염, 위염의 발생 감소와, 위절제범위의 감소와 유문보존으로 인한 영양학적인 장점을 기대하였으나, 현재까지의 결과는 두 군에서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SG의 장점과 단점을 알기 위해서는 더 오랜 기간의 경과관찰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ubtotal distal gastrectomy has been accepted as the standard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that's developed on the gastric body. EMR and ESD have been introduced to minimize the incidence of postgastrectomy syndrome, but these procedures can not detect lymph node metastasis and they 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에 저자들은 위체부에 발생한 조기위암 환자에 대하여 위아전절제술 후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시행한 환자와 위구획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의 합병증과 영양상태, 수술 만족도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 림프절 절제 범위는 D1+β (No. 7∼9)로 하되, SG에서 유문위림프절(suprapyloric node)은 불완전 절제하였고, 유문아래림프절(infrapyloric node)에 대해서는 우위대망혈관들을 보존하고 skeletonization을 시행하였다.
  •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위체부에 발생한 조기위암을 수술받은 환자 중에 SG를 41명에서 시행하였고 SDG를 40명에서 시행하여, 총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SG를 받은 환자는 위체부에 위치하는 점막 또는 점막 하층에 국한된 선암(adenocarcinoma)으로 최대 직경이 3 cm 이하이고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림프절 전이소견이 없으며, 잔여 위 용적이 1/3 이상으로 예상되고, 절제연이 종양에서 원위부 및 근위부 모두 3 cm 이상 되는 경우로 제한하여 수술하였다. 본 연구는 의무기록 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되었다.
  • 이 중 SG를 받은 환자는 위체부에 위치하는 점막 또는 점막 하층에 국한된 선암(adenocarcinoma)으로 최대 직경이 3 cm 이하이고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림프절 전이소견이 없으며, 잔여 위 용적이 1/3 이상으로 예상되고, 절제연이 종양에서 원위부 및 근위부 모두 3 cm 이상 되는 경우로 제한하여 수술하였다. 본 연구는 의무기록 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되었다.
  • 수술 전 모든 환자에게 수술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받았으며, 한 명의 숙련된 외과의가 집도하였다. 수술 전후 감압용 비위관은 삽입하지 않았고 수술 후 복강의 배액관은 설치하지 않았으며, 예방적 항생제는 수술 30분 전 1회만 투여(Cefazolin 1 g)하였다.
  • 1). 전정부의 혈액공급을 위하여 오른위동맥(right gastric artery)의 첫 번째 분지(suprapyloric branch)까지 보존하였고, 오른위대망동맥(right gastroepiploic artery)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분지까지 보존하였다. SDG는 병변을 포함한 체부와 전정부를 절제하고 오른위동맥 및 오른위대망동맥을 결찰하고 절제하였다.
  • 전정부의 혈액공급을 위하여 오른위동맥(right gastric artery)의 첫 번째 분지(suprapyloric branch)까지 보존하였고, 오른위대망동맥(right gastroepiploic artery)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분지까지 보존하였다. SDG는 병변을 포함한 체부와 전정부를 절제하고 오른위동맥 및 오른위대망동맥을 결찰하고 절제하였다.
  • 7∼9)로 하되, SG에서 유문위림프절(suprapyloric node)은 불완전 절제하였고, 유문아래림프절(infrapyloric node)에 대해서는 우위대망혈관들을 보존하고 skeletonization을 시행하였다. 두 군에서 전이가 의심되는 림프절에 대해서 수술 중 냉동절편 생검을 시행하여 전이여부를 평가하였으며, 전이가 있는 경우와 육안으로 보이거나 촉지되는 경우는 D2 (4Sb, 4d, 5, 6, 1, 3, 7, 8a, 9, 11p, 12)까지 절제하였다.
  • 환자의 영양상태에 대해서는 체중변화, 식사량, 식사회수를 수술 전과 수술 후 1년을 비교하였으며, 혈중 hemoglobin(Hb.), serum total protein (TP), serum albumin (Alb.), serum total cholesterol (TC)의 변화를 수술 후 6개월마다 비교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환자의 증상호소에 대한 계통적 문진, 이학적 검사, 내시경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을 수술 후 6개월마다 시행하여 1년간 비교하였다.
  • ), serum total cholesterol (TC)의 변화를 수술 후 6개월마다 비교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환자의 증상호소에 대한 계통적 문진, 이학적 검사, 내시경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을 수술 후 6개월마다 시행하여 1년간 비교하였다. 식도염에 대한 평가는 Los Angeles classification을(4) 따랐고, 위의 상태는 잔여 음식물의 정도, 위염의 정도 및 범위, 담즙역류의 여부를 Residue, gastritis, bile (RGB) classification에(5) 의하여 평가하였다(Table 1).
  • 수술 후 만족도 및 삶의 질은 환자의 수술 후 증상적인 면을 반영한 Cuschieri scores와 위역류 증상(심통, 연하곤란)을 바탕으로 한 modified Visick score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Table 2).(6-8)
  • 두 군의 비교는 환자의 입원기록 및 외래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수술 전과 후의 자료를 비교하였으며, 전화를 통한 설문조사를 하여 Cuschieri scores와 modified Visick scores를 산출하였다.
  • 수술 후 합병증은 SG군의 환자 중 4명에서 위 내용물 정체증 소견이 나타났으며, 2명에서 복강 내 농양이 발견되어 카테터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1명에서 창상 감염이 발생하였다. SDG군의 환자 중에서는 3명에서 위 내용물 정체증 소견이 있었으며, 1명에서 복강 내 농양이 발견되어 카테터 배액술을 시행하였다. 또한 SDG군에서 수술 후 창상 감염이나 출혈, 문합부 누출은 없었다.
  • 본원에서 시행한 위구획절제술은 위의 세 부분 중 저부와 전정부를 보존하고 체부만을 절제하는 술식으로 전정부에 혈액공급을 위하여 오른위동맥(right gastric artery)의 첫 번째 분지와 오른위대망동맥(right gastroepiploic artery)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분지까지 보존하였고, 5번 림프절은 불완전하게 절제를 하였으나 6번 림프절은 오른위대망동맥과 정맥을 보존하고 주변의 연부조직은 박리하였다(skeletonization). 이로 인해 평균 수술 시간은 SG군에서 SDG군보다 길게 소요되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164.
  • (18,19) 본 연구에서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은 수술 후 2일째 저녁부터 경구식이를 시작하였다. 수술 후 2일째 물(water), 3일째 유동식(liquid diet), 4일째에 연식(soft diet) 순서로 식이용법을 시행하였고, 수술 중 위 조직에 부종이 있었던 경우에는 5일째부터 경구식이를 시작하였다. Nakabayashi 등(20)은 유문보존 위절제술 후에 미주신경 유문가지(pyloric branch of vagus nerve) 절제가 위유문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미주신경 유문가지를 보존한 군과 절제한 군 모두 1개월 이후에 유문 수축기능이 감소하면서 위 배출 시간 지연정도가 유사하다고 보고하였다.
  • Nakabayashi 등(20)은 유문보존 위절제술 후에 미주신경 유문가지(pyloric branch of vagus nerve) 절제가 위유문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미주신경 유문가지를 보존한 군과 절제한 군 모두 1개월 이후에 유문 수축기능이 감소하면서 위 배출 시간 지연정도가 유사하다고 보고하였다. 이제 저자들은 구획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41명 중 3명에서 미주신경 보존술을 시행하였으며 다른 38명과 원위부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에서는 미주신경줄기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직후 위 내용물 정체증은 SG군에서 4명(9.

대상 데이터

  •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위체부에 발생한 조기위암을 수술받은 환자 중에 SG를 41명에서 시행하였고 SDG를 40명에서 시행하여, 총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SG를 받은 환자는 위체부에 위치하는 점막 또는 점막 하층에 국한된 선암(adenocarcinoma)으로 최대 직경이 3 cm 이하이고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림프절 전이소견이 없으며, 잔여 위 용적이 1/3 이상으로 예상되고, 절제연이 종양에서 원위부 및 근위부 모두 3 cm 이상 되는 경우로 제한하여 수술하였다.

데이터처리

  • 통계적 분석은 SPSS (Ver. 12 kor)를 이용하였으며, 두 군의 비교에 Student T-test와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P값이 0.

이론/모형

  • 수술 후 합병증은 환자의 증상호소에 대한 계통적 문진, 이학적 검사, 내시경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을 수술 후 6개월마다 시행하여 1년간 비교하였다. 식도염에 대한 평가는 Los Angeles classification을(4) 따랐고, 위의 상태는 잔여 음식물의 정도, 위염의 정도 및 범위, 담즙역류의 여부를 Residue, gastritis, bile (RGB) classification에(5) 의하여 평가하였다(Table 1).
  • 수술 후 만족도 및 삶의 질을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으로 Cuschieri grading과 modified Visick scores를 사용하였다. Cuschieri grading은 환자의 수술 후 소화기 증상을 주로 반영하였고, modified Visick scores는 위식도 역류증상과 환자와 의료진의 수술에 대한 만족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체부에 발생하는 조기위암의 수술방법에서 표준 술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위체부에 발생하는 조기위암의 수술방법으로 림프절 절제를 포함한 원위부 위아전절제술(subtotal distal gastrectomy, SDG)이 표준 술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수술 후 덤핑 증후군, 영양상태의 저하, 설사, 체중감소, 담즙 역류로 인한 위식도염을 증상으로 하는 위절제술후 증후군 (postgastrectomy syndrome)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ESD의 단점은? (1) 이러한 위절제술의 후기 합병증들은 장기 생존이 예상되는 조기위암 환자들에게 더욱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여러 술식이 시도되고 있다.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지 않는 조기위암에 대하여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기능장애와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시경 점막 절제술(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과 내시경 점막하층 절개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이(2,3) 도입되어 시도되고 있으나, 림프절 전이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며, 시술 시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위의 기능을 보존하면서 림프절 전이를 확인하기 위해 기능보존 위절제술(function preserving gastrectomy)을 하는데 여기에는 위구획절제술(segmental gastrectomy, SG), 미주신경보존 위절제술(vagus-preserving gastrectomy) 및 유문보존 위절제술(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등이 있다.
SDG의 단점은? 위체부에 발생하는 조기위암의 수술방법으로 림프절 절제를 포함한 원위부 위아전절제술(subtotal distal gastrectomy, SDG)이 표준 술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수술 후 덤핑 증후군, 영양상태의 저하, 설사, 체중감소, 담즙 역류로 인한 위식도염을 증상으로 하는 위절제술후 증후군 (postgastrectomy syndrome)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1) 이러한 위절제술의 후기 합병증들은 장기 생존이 예상되는 조기위암 환자들에게 더욱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여러 술식이 시도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Eagon JC, Miedema BW, Kelly KA. Postgastrectomy syndrome. Surg Clin North Am 1992;72:445-465. 

  2. Ono H.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Chin J Dig Dis 2005;6:119-121. 

  3. Furukawa H, Imamura H, Kodera Y. The role of surgery in the current treatment of gastric carcinoma. Gastric Cancer 2002;5:13-16. 

  4. Lundell LR, Dent J, Bennett JR, Blum AL, Armstrong D, Galmiche JP, Johnson F, Hongo M, Richter JE, Spechler SJ, et al. Endoscopic assessment of oesophagitis: clinical and functional correlates and further validation of the Los Angeles classification. Gut 1999;45:172-180. 

  5. Kubo M, Sasako M, Gotoda T, Ono H, Fujishiro M, Saito D, Sano T, Katai H. Endoscopic evaluation of the remnant stomach after gastrectomy: proposal for a new classification. Gastric Cancer 2002;5:83-89. 

  6. Cuschieri A. Jejunal pouch reconstruction after total gastrectomy for cancer. Br J Surg 1990;77:420-424. 

  7. Pope CE 2nd. The quality of life following antireflux surgery. World J Surg 1992;16:355-358. 

  8. Gioffre' Florio MA, Bartolotta M, Miceli JC, Giacobbe G,Saitta FP, Paparo MT, Micali B. Simple versus double jejunal pouch for resconstruction after total gastrectomy. Am J Surg 2000;180:24-28. 

  9. Wangensteen OH. Segmental gastric resection for peptic ulcer; Method permitting restoration of anatomic continuity. J Am Med Assoc 1952;149:18-23. 

  10. Ohwada S, Nakamura S, Ogawa T, Izumi M, Tanahashi Y, Sato Y, Ikeya T, Iino Y, Morishita Y. Segmental gastrectomy for early cancer in the mid-stomach. Hepatogastroenterology 1999;46:1229-1233. 

  11. Furukawa H, Hiratsuka M, Imaoka S, Ishikawa O, Kabuto T, Sasaki Y, Kameyama M, Ohigashi H, Nakano H, Yasuda T, et al. Phase II study of limited surgery for early gastric cancer: segmental gastric resection. Ann Surg Oncol 1999;6:166-170. 

  12. Hiki N, Sano T, Fukunaga T, Ohyama S, Tokunaga M, Yamaguchi T. Survival benefit of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in early gastric cancer. J Am Coll Surg 2009;209:297-301. 

  13. Namieno T, Koito K, Higashi T, Sato N, Uchino J. General pattern of lymph node metastasis in early gastric carcinoma. World J Surg 1996;20:996-1000. 

  14. Kitamura K, Yamaguchi T, Taniguchi H, Hagiwara A, Sawai K, Takahashi T. Analysis of lymph node metastasis in early gastric cancer. J Surg Oncol 1997;64:42-47. 

  15. Ishikawa K, Arita T, Ninomiya S, Bandoh T, Shiraishi N, Kitano S. Outcome of segmental gastrectomy versus dist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World J Surg 2007; 31:2204-2207. 

  16. Shinohara T, Ohyama S, Muto T, Kato Y, Yanaga K, Yamaguchi T. Clinical outcome of high segment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Br J Surg 2006;93:975-980. 

  17. Shibata C, Shiiba KI, Funayama Y, Ishii S, Fukushima K, Mizoi T, Koyama K, Miura K, Matsuno S, Naito H, et al. Outcomes after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a prospective multicenter trial. World J Surg 2004; 28:857-861. 

  18. Nishikawa K, Kawahara H, Yumiba T, Nishida T, Inoue Y, Ito T, Matsuda H.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ylorus in patients undergoing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Surgery 2002;131:613-624. 

  19. Tomita R, Fujisaki S, Tanjoh K. Pathophysiolog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gastrectomy syndrome and gastric emptying function at 5 years after pylorus-preserving dist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World J Surg 2003;27: 725-733. 

  20. Nakabayashi T, Mochiki E, Garcia M, Haga N, Suzuki T, Asao T, Kuwano H. Pyloric motility after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with or without the pyloric branch of the vagus nerve. World J Surg 2002;26:577-583. 

  21. Morita S, Katai H, Saka M, Fukagawa T, Sano T, Sasako M. Outcome of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Br J Surg 2008;95:1131-1135. 

  22. Lee TG, Noh SM, Lee TY. Assessment of peritoneal irrigation and drainage following elective gastric cancer surgery. J Korean Surg Soc 2002;63:292-297. 

  23. Kim YH, Lee CJ, Park CW, Min LK, Noh SM. Assessment of peritoneal irrigation and drainage by perioperative leukocyte count following gastric cancer surgery. J Korean Surg Soc 2004;67:453-457. 

  24. Kim J, Lee J, Hyung WJ, Cheong JH, Chen J, Choi SH, Noh SH. Gastric cancer surgery without drains: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J Gastrointest Surg 2004;8:727-73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