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기위암에서 복강경 및 개복 위아전절제술에 따른 영양학적 및 면역염증반응의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Acute Inflammatory Reaction between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and Conventional Open Dist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원문보기

대한위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v.10 no.1, 2010년, pp.19 - 25  

채현동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복강경하 보조 위 절제술이 위암 치료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측면 외에 수술적 치료와 관계하는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기위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의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측면에서의 안정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조기위암으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87예와 개복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정보와 혈청학적 검사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술 전 임상병리학적 요인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총 백혈구수는 개복군에 비해 술 후 1일째와 3일째 더 증가 정도가 낮았으며(P=0.001, P=0.008), CRP는 술 후 1일째와 3일째에서 증가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632, P=0.139), 술 후 5일째의 감소 정도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P<0.001). T4/T8 ratio는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술 후 3일째 감소 정도가 적었으나(P=0.003), Albumin의 감소 정도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57). 결론: 복강경 위아전절제술은 개복 위절제술에 비해 Albumin을 이용해 비교한 영양학적 측면에서 장점은 없었으나, 술 후 총 백혈수의 증가, CRP 감소, 및 T4/T8 ratio 감소 등의 전신 면역 및 염증 반응에서 우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LAG) is gaining wider acceptance as a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but the safety, efficacy and clinical benefits of this type of surgery are still un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양학적인 비교를 위한 지표인 Nutritional Risk Index(NRI)는 혈중 Albumin과 체중변화를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는데, 이는 수술 후 합병증률 및 사망률의 위험도에 대한 예측치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한다.(18,21)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양 군 모두 조기위암으로 술 전 신체비만지수(BMI) 및 수술 전후의 체중 변화의 차이가 없어 혈중 Albumin만을 이용하여, 수술로 인한 영양상태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 았다. 본 연구에서는 술 후 3일째 개복군에서 알부민 농도의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군 간의 영양학적인 면에서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 본 연구는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조기위암 환자에서 시행된 개복 위아전절제술과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에 대한 후향적 연구로, 술 후 회복단계에서 혈청학적 검사를 통한 영양학적 및 면역염증반응에 대한 지표를 비교하였다.
  • 복강경 수술 후 전신 면역반응의 억제 정도가 개복수술에 비해 적은 것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13,14) 복강경을 이용한 위암 수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게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술 전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의 차이가 없는 조기위암 환자에서 수술 방법 및 동일한 술 후 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 면역 반응의 억제 정도를 반영하는 지표인 총 백혈구수, CRP 및 T4/T8 ratio 등의 변수에 대한 변화를 조사하였다. 강 등(15)은 복강경 및 개복수술에 따른 면역학적 비교에서 총 백혈구수는 수술 후 증가하였다가 점차 정상수치로 회복하고 양 군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술 후 1일과 3일째의 총 백혈구수의 증가가 개복군에 비해 낮았으며,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P=0.
  • 이에 저자들은 조기위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과 개복 위아전절제술의 혈청학적 검사의 비교를 통해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의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측면에서의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위암 치료의 표준 술식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위암에서의 복강경 보조 위 절제술은 환자의 삶의 질의 향상 등 단기 수술성적에서의 장점과 술기의 안전성이 인정되고 있으며, 최근 개복수술과 견줄 수 있는 치료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어 개복수술을 대신하여 조기위암의 표준 술식으로 채택 가능성을 제시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를 조기위암 전체 또는 일부의 진행성 위암에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3,4) 그러나,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위암 치료의 표준 술식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측면 외에 수술적 치료와 관계하는 영양학적 및 면역염증반응 등의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위암의 치료에서 시도되고 있는 복강경수술은 개복술에 비해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가? 최근 위암의 치료에서 시도되고 있는 복강경수술은 개복술에 비해 침습도가 낮고, 통증이 적으며, 재원기간이 짧아 사회생활로의 복귀가 빠르다는 복강경 수술의 장점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김 등(5)이 위의 양성질환에 대하여 위절제술을 복강경을 이용한 위절제술을 보고한 이후 위암 환자로 확대 적용되어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의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위암 환자에서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의 적응증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정해지지 않은 상태로 저자에 따라 T1N0M0에서 T1N1M0, T2N0M0까지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으며,(6) 일본의 위암치료 가이드 라인에는 복강경보조 위절제술을 D1+β 림프절 절제의 적용이 가능한 점막하 위암 이하의 환자에서 연구적인 목적으로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기위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의 대상 및 방법은?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기위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의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측면에서의 안정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조기위암으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87예와 개복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정보와 혈청학적 검사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술 전 임상병리학적 요인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총 백혈구수는 개복군에 비해 술 후 1일째와 3일째 더 증가 정도가 낮았으며(P=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tano S, Iso Y, Moriyama M, Sugimachi K. Laparoscopyassisted Billroth I gastrectomy. Surg Laparosc Endosc 1994; 4:146-148. 

  2. Kim HH, Kim KH, Kim DH, Kim MC, Kim BS, Kim YW, Kim YI, Kim YH, Kim W, Kim WW, et al. Nationwide survey of laparoscopic gastric surgery in Korea, 2004.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5;5:295-303. 

  3. Kitano S, Shimoda K, Miyahara M, Shiraishi N, Bandoh T, Yoshida T, Shuto K, Kobayachi M. Laparoscopic approaches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rcinomas. Surg Laparosc Endosc 1995;5:359-362. 

  4. Tanimura S, Higashino M, Fukunaga Y, Osugi H. Laparoscopic gastrectomy with regional lymph node dissection for upper gastric cancer. Gastric Cancer 2003;6:64-68. 

  5. Kim HH. Laparoscopic Billroth II gastrectomy for benign gastric disease. J Korean Soc Endosc & Laparosc Surg 1999; 2:11-18. 

  6. Cho GS, Kim HC, Lee MS, Lim CW, Shin EJ, Chu CW, Kang KH, Kim YJ, Yu KW, Lee HW, et al. A prospective study comparing of laparoscopy-assisted vs conventional open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J Korean Surg Soc 2006;70: 175-181. 

  7. Nakajima T. Gastric cancer treatment guideline in Japan. Gastric Cancer 2002;5:1-5. 

  8. Buunen M, Gholghesaei M, Veldkamp R, Meijer DW, Bonjer HJ, Bouvy ND. Stress response to laparoscopic surgery: a review. Surg Endosc 2004;18:1022-1028. 

  9. Kuhry E, Jeekel J, Bonjer HJ. Effect of laparoscopy on the immune system. Semin Laparosc Surg 2004;11:37-44. 

  10. Landman J, Olweny E, Sundaram CP, Chen C, Rehman J, Lee DI, Shalhay A, Portis A, McDougall EM, Clayman RV. Prospective comparison of the immunological and stress response following laparoscopic and open surgery for localized renal cell carcinoma. J Urol 2004;171:1456-1460. 

  11. Dunker MS, Ten Hove T, Bemelman WA, Slors JF, Gouma DJ, Van Deventer SJ. Interleukin-6, C-reactive protein, and expression of human leukocyte antigen-DR, o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in patients after laparoscopic vs. conventional bowel resection: a randomized study. Dis Colon Rectum 2003;46:1238-1244. 

  12. Hu JK, Zhou ZG, Chen ZX, Wang LL, Yu YY, Liu J, Zhang B, Li L, Shu Y, Chen JP. Comparative evaluation of immune response after laparoscopical and open total mesorectal excisions with anal sphincter preservation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orld J Gastroenetrol 2003;9:2690-2694. 

  13. Gupta A, Watson DI. Effect of laparoscopy on immune function. Br J Surg 2001;88:1296-1306. 

  14. Allendorf JD, Bessler M, Whelan RL, Trokel M, Laird DA, Terry MB, Treat MR. Better preservation of immune function after laparoscopic-assisted vs. open bowel resection in a murine model. Dis Colon Rectum 1996;39(10 Suppl):67S-72S. 

  15. Kang TY, Kim MC, Kwon HC, Kim KH, Kim HH, Jung GJ. Comparison of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after laparoscopic vs open gastrectomy in gastric cancer. J Korean Surg Soc 2005;69:36-41. 

  16. Steel DM, Whitehead AS. The major acute phase reactants: C-reactive protein,serum amyoid P component and serum amyloid A protein. Immunol Today 1994;15:81-88. 

  17. Malle E, De Beer FC. Human serum amyloid A (SAA) protein: a prominent acute-phase reactant for clinical practice. Eur J Clin Invest 1996;26:427-435. 

  18. Rey-Ferro M, Castano R, Orozco O, Serna A, Moreno A. Nutritional and immunologic evaluation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before and after surgery. Nutrition 1997;13:878-881. 

  19. Watson RW, Redmond HP, McCarththy J, Burke PE, Bouchier- Hayes D. Exposure of the peritoneal cavity to air regulates early inflammatory responses to surgery in a murine model. Br J Surg 1995;82:1060-1065. 

  20. Neuhaus SJ, Watons DI, Ellis T, Rofe AM, Jamieson GG. The effect of immune enhancement and suppression on the development of laparoscopic port site metastasis. Surg Endosc 2000;14:439-443. 

  21. Kyle UG, Schneider SM, Pirlich M, Lochs H, Hebuterne X, Pichard C. Does nutritional risk, as assessed by nutritional risk index, increase during hospital stay? A multinational population- based study. Clin Nutr 2005;24:516-52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