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동 옥동유적 출토 청동시(靑銅匙)의 미세조직 및 산지연구
A Study of the Microstructure and Provenance Area of Bronze Spoons Excavated from the Ok-dong Site in Andong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no.4, 2009년, pp.411 - 420  

정광용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  이주현 (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북 안동 옥동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14점 중 청동시(靑銅匙) 5점을 대상으로 하여 ICP, 미세조직, TIMS 등의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청동시(靑銅匙)는 Cu- Sn 합금으로 Cu 75%이내, Sn 21~23%로 방짜유기에 해당되며, Pb, Fe, Zn 등이 미량성분으로 첨가되었다. 특히 납(Pb)은 0.04%의 미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제련시 원광석에 포함된 불순물로 보인다. 청동시(靑銅匙)의 미세구조를 볼 때 청동시(靑銅匙)의 모양으로 골을 판 거푸집을 써서 주조한 다음 $586^{\circ}C$ 근방에서 가공하여 급랭한 것으로 추정된다. 열이온화질량분석(TIMS) 측정을 시행하여, 한국, 중국, 일본 납광석의 산지별 데이터 베이스에 대조해 봤을 때 청동시(靑銅匙)의 원료산지는 중국 남부의 납동위원소비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ries of scientific analyses, including ICP-AES, microstructure, and TIMS, were carried out on 5 bronze spoons among 14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Ok-dong site in And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bronze spoons were formed from an alloy of no m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는 안동 옥동유적의 고려시대 무덤에서 출토된 靑銅匙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존처리 과정 중 극미량의 시료 채취가 가능한 시료 5점만을 선정하였다. 靑銅匙는 미세조직관찰, ICP-AES, TIMS 분석으로 고려시대 청동기의 기술체계를 규명하고, 청동기의 제작에 사용된 원료 물질의 출처를 밝혀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는 향후 고려시대의 靑銅匙를 비교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것이다.
  • 경상북도 안동 옥동유적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靑銅匙 5점에 대한 금속학적 미세조직과 성분분석을 통하여 제작기술을 알아내고, TIMS 분석으로 납의 원료산지를 추정하였다.
  • 경상북도 안동시 옥동유적에서 출토된 靑銅匙 총 7점 중에서 고려시대 靑銅匙 5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단, 문화재라는 한계로 인하여 성분분석과 열이온화 질량분석은 각각 2점을 분석하였고 미세조직은 모두다 분석하였다. 분석방법 및 분석위치는 Table 1과 같다.
  • 미세조직 분석결과 靑銅匙는 숟가락 모양의 골이 파여진 숟가락 물판에 쇳물을 주조하여 무데가락을 얻었으며, 586℃ 이상의 온도에서 가공한 다음 δ상의 출현을 억제해야 하기 위하여 급랭시켜 제작하였다.
  • 미세조직 분석을 위해 최소한의 손상 조건하에 마이크로 핸드 카터(micro - hand cutter)를 이용하여 소량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를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한 후 320, 500, 800, 1200, 2400의 순으로 연마하였고, 6㎛, 3㎛, 1㎛, 의 DP suspansion과 0.
  • 원심분리 시켜 녹인 시료를 음이온교환수지(AG1-X8, chloride form, 100-200#)와 1N HBr을 사용하여 납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납은 Re single filament에 얹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열이온화질량분석기(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er:TIMS, Model : VG Sector 54-30)를 사용하여 동위원소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표준물질(NBS SRM 981)의 측정치를 사용하여 보정한 것이다.
  • 연마후 건조를 하고 에칭액을 이용하여 에칭시킨 후 미세 조직관찰을 위해 금속현 미경(Metallurgical Microscope, Nikon PIPHOT 200)을 사용하여 관찰을 하였다. 에칭액은 질산(HNO3) 50%, 증류수 50%, 염화제이구리(CuCl2) 5g를 이용하여 약 3초간 실시하였다.5
  • 3㎛의 알루미나로마무리 광택작업을 하였다. 연마후 건조를 하고 에칭액을 이용하여 에칭시킨 후 미세 조직관찰을 위해 금속현 미경(Metallurgical Microscope, Nikon PIPHOT 200)을 사용하여 관찰을 하였다. 에칭액은 질산(HNO3) 50%, 증류수 50%, 염화제이구리(CuCl2) 5g를 이용하여 약 3초간 실시하였다.
  • 다음 바이알 뚜껑을 열고 가열하여 건조시켰고 6N 염산 2 ml 정도를 사용하여 다시 건조시킨 후 1N HBr 1ml 정도에 녹였다. 원심분리 시켜 녹인 시료를 음이온교환수지(AG1-X8, chloride form, 100-200#)와 1N HBr을 사용하여 납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납은 Re single filament에 얹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열이온화질량분석기(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er:TIMS, Model : VG Sector 54-30)를 사용하여 동위원소비를 측정하였다.
  • 靑銅匙는 총 7점이 출토되었으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식생활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의 식생활 연구의 필요한 靑銅匙 소재의 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그 당시의 생활수준과 소재의 광물학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 미세조직 분석을 위해 최소한의 손상 조건하에 마이크로 핸드 카터(micro - hand cutter)를 이용하여 소량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를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한 후 320, 500, 800, 1200, 2400의 순으로 연마하였고, 6㎛, 3㎛, 1㎛, 의 DP suspansion과 0.3㎛의 알루미나로마무리 광택작업을 하였다. 연마후 건조를 하고 에칭액을 이용하여 에칭시킨 후 미세 조직관찰을 위해 금속현 미경(Metallurgical Microscope, Nikon PIPHOT 200)을 사용하여 관찰을 하였다.
  • 실온에서 서서히 냉각시킨 다음 시료가 완전히 용해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50ml 메스플라스크에 옮겨 50g으로 만들었다. 표준용액은 원자 흡광용 표준원액(1,000ppm, BDH spectrosol)을 사용하여 묽혔고, 분석시료의 매트릭스와 맞춰주기 위해 왕수를 1ml씩 첨가 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분석은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분석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SPS7800) 를 이용하여 각 시료를 3회 평균값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대상 데이터

  • 경상북도 안동시 옥동유적에서 출토된 靑銅匙 총 7점 중에서 고려시대 靑銅匙 5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단, 문화재라는 한계로 인하여 성분분석과 열이온화 질량분석은 각각 2점을 분석하였고 미세조직은 모두다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안동 옥동유적의 고려시대 무덤에서 출토된 靑銅匙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존처리 과정 중 극미량의 시료 채취가 가능한 시료 5점만을 선정하였다. 靑銅匙는 미세조직관찰, ICP-AES, TIMS 분석으로 고려시대 청동기의 기술체계를 규명하고, 청동기의 제작에 사용된 원료 물질의 출처를 밝혀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데이터처리

  • 표준용액은 원자 흡광용 표준원액(1,000ppm, BDH spectrosol)을 사용하여 묽혔고, 분석시료의 매트릭스와 맞춰주기 위해 왕수를 1ml씩 첨가 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분석은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분석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SPS7800) 를 이용하여 각 시료를 3회 평균값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이론/모형

  •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분석법(ICP-AES)을 사용하여 10여종의 성분함량을 알 수 있었고, 이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靑銅匙 Cu-Sn계 합금으로 조사되었고 청동주물의 한국공업규격보다 Cu의 함량은 낮고 Sn의 함량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Table 3에서처럼 타 유적지 출토 청동유물과는 조성이 비슷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동 옥동유적은 어느 시대의 유적인가? 안동 옥동유적은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무덤으로 안동지역 고분의 특징적인 요소를 보여주고 있으며 다양한 토기와 청동 및 철기제품이 출토되었다3 . 靑銅匙는 총 7점이 출토되었으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식생활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청동기의 함량 비가 시대적인 기술진보의 배경을 알려주는 확실한 자료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청동기는 정련과 주조의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불순물 원소는 점점 그 양이 적어지게 된다. 또 이용하는 광석의 종류에 따라 불순물 원소가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정확한 시대나 지역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청동기의 함량 비는 시대적인 기술진보의 배경을 알려 주는 확실한 자료가 된다.
청동기의 주요 성분인 구리, 주석, 납의 함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금속조직을 관찰하면 무엇을 알아낼 수 있는가? 특히 청동기의 경우 주요 성분인 구리, 주석, 납의 함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금속조직을 관찰하면 주조 시상변화와 냉각속도 등을 판단하여 주조방법 및 가공방법을 알아낼 수 있고, 미량성분 분석을 통해 불순물이 원료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원료물질의 정련정도를 검토할 수 있다. 특히 이의 함량 분포는 청동기의 분류 및 산지를 밝히는데 과학적인 데이터를 산출하여 역사조명에 소중한 자료를 제공한다2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이난영, "한국 고대의 금속 공예". 서울대학교출판부,pp3-5, (2000). 

  2. 정광용, 강형태, 정동찬, 윤용현, 이훈, "고대청동기의 성분 조성 및 산지추정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137-153, (2004). 

  3. 동양대학교박물관, "안동 옥동 택지개발사업지구내 유적발굴조사 결과보고". 동양대학교박물관, p1-10, (2005). 

  4. 정의도 "武寧王陵 出土 靑銅匙箸硏究". 先史와 古代, 30,p213-283, (2009). 

  5. Gunter Petzow, "Metallographic Etching". American Society for Metals, (1978). 

  6. 馬淵久夫, 平尾良光, "東アジア 鉛鑛石の 鉛同位體比". 考古學雜誌, 73-2, 199-245, (1987). 

  7. 홍정실, "유기". 대원사, p68-74, (1999). 

  8. Lyndsie Selwyn, "Metals and Corrosion". p55, (2004). 

  9. 정영동, 정원섭, "신라 왕경 출토 청동유물의 미세조직과 성분분석 및 그 시대의 제작기술 추청". 대한금속재료학회지, 45, p36-44, (2007). 

  10. 정광용, 최광진, 강현삼, "고려시대 월산리유적 청동유물의 미세조직 연구". 문화재과학기술, 1, p75-85, (2002). 

  11. Brill, R.H., Wamlper, J.M.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p71, (1967). 

  12. 강형태, 문선영, 홍태기, 김승원, 김규호, 허우영, "고대청동기의 과학적분석(I)-미륵사지.경주유적의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국고고사학보, 25, (1997). 

  13. 강형태, 정광용, 조상기, 이문형, "논산시 원북리 토광묘유적 출토 청동기의 과학분석". 한국상고사학보, 39, p22-26,(2003). 

  14. 강형태, 조남철, 정광용, 완도법화사지동종의 과학적분석및 산지연구, 호남고고학보, 제25호, (2007) 

  15. 안주영, "납동위원소비에 의한 한국 출토 청동제품의 산지고찰".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2, (2007). 

  16. Barnes, I.L., "The Technical Examination Lead Isotope Determination and Elemental Bronze Vessels".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MA, Ed. Maddin R, p21-26,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