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은평 뉴타운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Eunpyeong Newtown Sit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no.3, 2009년, pp.335 - 345  

강형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김우현 (중앙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실) ,  홍지윤 (중앙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은평 뉴타운 유적 토광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60점에 대하여 성분조성, 납동위원소비를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분광기와 열이온화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성분조성별 차이점과 납유리를 제작할 때 사용한 납의 산지를 추정코자 하였다. 성분조성을 분석한 결과 출토유리는 크게 포타쉬 유리($K_2O$-CaO-$SiO_2$)와 포타쉬납유리($K_2O$-PbO-$SiO_2$)계통으로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III-3지구 1005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시료는 유리가 아니라 석영으로 판단된다. II-3지구 101호 토광묘와 III-3지구 908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무색투명한 9점의 납유리는 성분조성이 매우 일정하며 오차가 작아 동일한 원료로 동일 장소에서 함께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주성분분석(PCA)결과에서도 출토된 유리구슬은 크게 두 개의 그룹인 포타쉬 유리($K_2O$-CaO-$SiO_2$)와 포타쉬납유리($K_2O$-PbO-$SiO_2$)로 나뉘어진다. 즉, 은평 뉴타운 유적은 주요 성분조성이 상이한 두 계통의 유리구슬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여 납유리를 제작할 때 사용한 납의 산지를 추정한 결과 대부분의 납유리는 중국 북부 지역의 방연석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investigations on 60 glass beads excavated from floorless tombs of Eunpyeong Newtown site to figure out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by SEM-EDS and TIMS, which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compositions and Pb provenance of lead glass. The results of the composition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 중국 및 일본 방연석의 납동위원소비는 산지별로 몇 개의 군으로 분류되는데 선형판별식분석법으로 판별식을 만들어 놓은 바 있다. 따라서 이 판별식을 사용하여 미지의 유리시료가 여러 방연석 군들 가운데 어느 군에 속하는지 간편하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앙문화재연구원에서는 은평구 진관외동 일원의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를 언제부터 언제까지 실시하였는가? 중앙문화재연구원에서는 은평구 진관외동 일원의 은평 뉴타운 제2지구 C공구 내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를 2006년 9월 6일부터 2007년 10월 27일까지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면적은 약 89,000m2 정도이며 I~V지구로 구획하여 발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석실묘 1기와 조선시대 분묘 3,459기가 조사되었다(Figure 1, 2)1.
유리구슬에 대한 양식학적 연구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유물 중 유리구슬을 살펴보면 크기가 다양하고 색깔은 무색투명, 갈색, 회백색, 담청색 등을 띄고 있다. 일반 적으로 유리구슬은 둥근 형태로 중심부에 구멍을 뚫어 사용하는데 구조가 단순하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형태에 큰 변화가 없어 양식학적 연구가 어려운 유물 중 하나이다. 따라서 유리구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조사와 분석을 토대로 그 당시 시대적, 지역적 유리구슬의 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중앙문화재연구원이 은평 뉴타운에서 발굴한 유물은 무엇인가? 조사대상 면적은 약 89,000m2 정도이며 I~V지구로 구획하여 발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석실묘 1기와 조선시대 분묘 3,459기가 조사되었다(Figure 1, 2)1. 출토유물은 부장품으로서 백 자사발, 분청사기, 매병 등과 백자명기, 청동거울, 청동숟가락, 조선통보, 경식 등으로 토·도류 298점, 금속류 835점, 옥석류 297점, 기타 3점으로 총 1,443점이며 모두 조선시대에 속하는 유물들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중앙문화재연구원, 은평뉴타운 사업부지내(제2지구C공구) 발굴조사 약보고. p8-13, (2007). 

  2. Zvigoffer, Archaeological Chemistry. John Wiley & Sons, p136-166, (1980). 

  3. Bowman, S., Science and the Past. British Museum Press, p37-56, (1991). 

  4. Koezuka, T, Yamadsaki, K., "Chemical Compositions of Ancient Glasses Found in Japan -A Historical Survey-". Glass Archaeometry, Proceedings of XVII International Congress on Glass, Chinese Ceramic Society: Beijing, p469-474, (1995). 

  5.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화학과, 박사학위논문, (2001). 

  6. 강형태, 김규호, 이성주, "울산 중산리유적 유리구슬의 특성". 석헌정징원교수정년기념논총, 釜山史學, 30, p79-98, (2006). 

  7. 강형태, 정광용, 김건수, 허우영, 조남철, "고창 만동유적 (8호 및 9호묘) 유리구슬의 특성". 호남고고학보, 21, p73-87, (2005). 

  8. 강형태, 김성배, 허우영, 김규호, "고고자료의 자연과학 응용(II), -익산 미륵사지 납유리의 제조 및 유통-". 문화재, 36, p241-266, (2003). 

  9. 강형태, 정영동, 조재영, 김호상, "통일신라시대 녹유전돌(綠釉塼)의 녹유 특성 -부석사, 천룡사지 및 법광사지 녹유전돌-". 先史와 古代, 22집, p211-222, (2005). 

  10. Brill, R. H and J. M. Wampler,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p71, (1967). 

  11. Brill, R. H et al., Recent Adva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of Materials. (1974). 

  12. Barnes I. L. et al., "The Technical Examination, Lead Isotope Determination and Elemental Analysis of Some Shang and Zhou Dynasty Bronze Vessels".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MA, Ed. Maddin R, p21-26, (1986). 

  13. 馬淵久夫, 平尾良光, "東アジア鉛鑛石の鉛同位體比". 考古學雜誌, 73(2), p199-245, (1987). 

  14. 馬淵久夫, 平尾良光, "鉛同位體比法による漢式鏡の硏究(二)". MUSEUM, 382, p16-26, (1983). 

  15. Coomans, D and Massart, D.L., Multivariate Analysis. Anal. Chi. Am. Acta, 112, p97, (1979). 

  16. Shi Meiguang and Zhou Fuzheng, Some Chinese Glasses of the Qing Dynasty. Journal of Glass Studies, 35, p102-105, (1993). 

  17. Koezuka Takayasu,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s of Ancient Glasses Found in Japan". Bulletin of the National Museum of Japanese History, 86, p233-249,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