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외 가족간호중재 연구의 현황과 질 분석
Research Trends and Quality Evaluation of Family Nursing Interventions Outside Korea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0 no.4, 2009년, pp.421 - 432  

오가실 (올란바타르대학교 간호대학) ,  안현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라진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조은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rends in family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and evaluated the quality of studies using the RCT desig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898 abstracts published from 1977 to 2007 in order to describe trends in family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ut of 898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외의 가족간호중재 RCT를 바탕으로 가족간호중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30년간의 RCT 논문을 고찰하고 방법론적 특성 및 질적 수준을 평가 했다 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그러나 Pubmed의 자료에만 의존하여 학문분야 전체의 경향이라고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국외의 가족간호중재 실험연구를 바탕으로 가족간호중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30년간의 RCT 논문을 고찰하고 방법론적 특성 및 질적 수준을 평가했다. 그러나 증가된 편수에 비해 질적 향상은 현저하지 못한 상황으로, 체계적인 RCT를 위하여 가족간호중재방법에 대한 개념 확립과 이론적 근거가 보다 필요로 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가족간호중재를 간호사가 가족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간호 실무에서의 판단과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저치와 간호사가 주도한 처치, 의사가 주도한 처치 및 다른 제공자들이 주도한 처치로 규정하고, 국내 문헌은 극소수만 발견되어 국외의 간호학과 의학계통의 연구를 중심으로 문헌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주요하게 가족간호중재의 적용과 방법에 초점을 두어 가족간호중재에 관한 Randomize Controlled Trial (RCT) 논문을 대상으로 전반적 경향과 방법론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질적 수준을 확인 하고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가족간호중재 연구들을 살펴봄으로 그 동향을 파악 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연구는 PubMed를 통해 발표된 연구논문을 이용해 국외 가족간호중재 RCT의 전반적 동향 및 방법론적 특성을 분석하고 질 평가를 행한 탐색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가족간호중재를 간호사가 가족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간호 실무에서의 판단과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저치와 간호사가 주도한 처치, 의사가 주도한 처치 및 다른 제공자들이 주도한 처치로 규정하고, 국내 문헌은 극소수만 발견되어 국외의 간호학과 의학계통의 연구를 중심으로 문헌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주요하게 가족간호중재의 적용과 방법에 초점을 두어 가족간호중재에 관한 Randomize Controlled Trial (RCT) 논문을 대상으로 전반적 경향과 방법론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질적 수준을 확인 하고자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가족간호중재에 대한 정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앞으로 연구하고 발전시켜야 하는 가족간호중재의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간호중재가 최초로 제공된 분야는 어느 쪽이었는가? 가족간호중재가 처음으로 제공된 것은 정신분열증 환자와 그 가족을 연구하는 정신과 영역이었다(Liddle, 1999). 그러나 현재 의학, 보건학, 간호학과 같은 의료영역에서부터 심리학, 사회복지학, 교육학과 같은 사회 심리영역까지 많은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가족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배경은 무엇이 있는가? 가족이란 혼인 및 혈연 또는 입양에 의해 연합된 집단으로 정서적, 신체적, 그리고 경제적 지지를 위해 서로 의존하는 둘 이상의 개인들의 집합체라 말할 수 있다(Hanson, 2001). 가족은 가장 오래된 사회제도로서 최근에는 개인주의에 반하여 애정적 관계와 안식처의 기능을 위한 것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간호학에서 가족을 독립된 단위로 중요하게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학에서도 가족을 독립된 하나의 단위 대상자로 보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다(Hanson, 2001; Friedman, Bowden, & Jones, 2003). 그 이유로는 우선 건강 및 질병관련 행위는 가족의 맥락 안에서 학습되어지는 것으로(Pratt, 1976)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족구성원들이 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있을 때 가족 전체가 영향을 받게 되며, 동시에 가족은 개인의 건강과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지기 때문이다(Gillis, 1993). 그리고 건강관리가 개인보다 가족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을 때그 효과성이 증가되고 거시적으로 볼 때 가족의 건강을 증진하고 유지및 회복하는것은 사회유지와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Anderson & Tomlinson, 1992). 특히 가족의 지지와 가족 관계는 많은 만성질환 및 질병관련 위험요인, 건강관련 행위에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Berkman, 2000; Kiecolt-Glaser & Newton, 2001).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미국의 National Institutes of Drug Abuse and Mental Heath와 Office of Juvenile Justice, Center for Substance Abuse Treatment 및 U.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erson, K. H., & Tomlinson, P. S. (1992). The family health system as an emerging paradigmatic view for nursing. Image -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4, 57-63. 

  2. Berkman, L. F. (2000).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s, social cohesion and health. Social work in Health Care, 31(2), 3-14. 

  3. Burns, N., & Grove, S. K. (2009). The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Appraisal, synthesis, and generation of Evidence. Philadelphia, Pennsylvania: W. B. Saunders Co 

  4. Campbell, T. L. (2003). The effectiveness of family interventions for physical disorder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9, 263-281. 

  5. Child Trends (2002). Building a better teenager: A summary of what works in adolescent development. Child Trends. 

  6. Diamond, G., & Dickey, M. S. (1993). Process research: Its history, intent and findings. Family Psychology, 9(2), 23-25. 

  7. Diamond, G., & Josephson, A. (2005). Family-based treatment research: A 10-year updat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4, 872-887. 

  8. Doherty, W. A., & Campbell, T. L. (1988). Family and health. Beverly Hill, CA: Sage Press. 

  9. Freetham, S. L. (1991).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research of families. In A. L. Whall and J. Fawcett (Eds.), Family theory development in nursing: State of the science and art (pp. 55-68). Philadelphia, Pennsylvania: F. A Davis Company. 

  10. Friedman, M. M., Bowden, V. R., & Jones, E. G. (2003). Family nurs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New Jersey: Prentice Hall. 

  11. Gillis, C. L. (1993). Family nursing research. In G. D. Wegner and R. J. Alexander (Eds.), Reading in family nursing (pp. 34-42). Philadelphia: J. B. Lippincott. 

  12. Hanson, S. M. H. (2001). Family health care nursing: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2nd ed.). Philadelphia, PA: F. A. Davis Publishers. 

  13. Heru, A. M. (2006). Family psychiatry: From research to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3, 962-968. 

  14. Hayes, V. E. (1993). Nursing science in family care, 1984-1990. In S. L. Freethmen (Ed.), The nursing of research, education, families: Theory, practice (pp. 18-19). Newbury Park: Sage. 

  15. Intervention Development and Deployment (2001). Blue print for change: research on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16. Jadad, A. R., Moore, A., Carroll, D., Jenkinson, C., Reynolds, D. J. M., & Gavaghan, D. J., et al. (1996).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17, 1-12. 

  17. Jang, S. O. (1998). An analysis of family nursing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Academy of Nursing, 28, 104-116. 

  18. Kiecolt-Glaser, J. K., & Newton, T. L. (2001). Marriage and health: his and hers. Psychological Bulletin, 127, 472-503. 

  19. Lansberry, C. R. (1992). Family nursing practice paradigm perspectives and diagnostic approaches. Advanced Nursing Science, 15(2), 66-75. 

  20. Lebow, J. (2002). Comprehensive Hand book of Psychotherapy: integrative and Eclectic therapies. New York: Wiley 

  21. Liddle, H. A. (1999). Theory development in a family-based therapy for adolescent drug abuse. Journal of Clinical Children Psychology, 28, 521-532. 

  22. Oh, K., Kim, K. S., Kwon, S. H., & Park, J. W. (2006). Research trend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Journal of Academy of Nursing, 36, 721-731. 

  23. Oh, K., Kim, K., Park, J., & Kang, J. (2007). Quality evaluation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sian Nursing Research, 1, 153-164. 

  24. Pratt, L. (1976). The family structure and effective health behavior: the energized family. Boston, MA: Houghton Mufflin. 

  25. Segaric, C. A., & Hall, W. A. (2005). The family theory-practice gap: A matter of clarity? Nursing Inquiry, 12, 210-218. 

  26.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9). Mental health.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Administration, Center for Mental Health Service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7. Weihs, K., Fisher, L., & Baird, M. A. (2002). Families, health and behavior. Families, Systems & Health, 20(1), 7-46. 

  28. Whall, A. L. (1993). Disciplinary issues related to family theory development in nursing. In S. L. Freethman (Ed.), The nursing of research, education, families: Theory practice (pp. 13-29). Beverly Hills, CA: Sag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