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각로 건설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사례연구 - 중금속 흡입에 따른 인체 위해성 평가 -
A Case Study of Health Impact Assessment on Incinerator Construction Project - Human Risk Assessment due to Inhalation Exposure to Heavy Metals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8 no.1, 2009년, pp.11 - 19  

김영하 (한국환경자원공사) ,  최상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이영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human risk assessment due to inhalation exposure to heavy metals emitted from incinerator. The process of health impact assessment(HIA) on incinerator is as follows: The first step is to presume and calculate the amount of heavy metals emitted using emission factor. The second step i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향후 추진될 건강영향평가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중금속의 호흡노출로 인한 인체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여 위해성 평가 방법론의 건강영향평가에로의 적용 가능성 및 한계점 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영향평가제도는 어떤 제도인가? 건강영향평가제도는 정책, 계획, 프로그램, 프로젝트 등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여 의사결정권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제도로서 세계보건기구나 영국, 캐나다, 호주, 미국, EU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은 어떤 점에 초점을 맞췄는가? 과거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은 더러워진 공기, 물, 토양 등을 깨끗하게 치유하는 데 중점을 두어 오염 매체별로 수립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람 건강을 중심으로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국민의 참여와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였으며, 지난 2008년 2월에는 국내 건강영향평가제도 시행의 근거가 되는 「환경보건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은 과거와 다르게 어떤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는가? 과거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은 더러워진 공기, 물, 토양 등을 깨끗하게 치유하는 데 중점을 두어 오염 매체별로 수립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람 건강을 중심으로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국민의 참여와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였으며, 지난 2008년 2월에는 국내 건강영향평가제도 시행의 근거가 되는 「환경보건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국립환경과학원, 2006, 대기환경기준 개선(안) 공청회 자료집 

  2. 이진수, 전효택, 2005, 오염된 토양, 지하수 및 쌀의 인체노출에 따른 비소의 위해성 평가, 자원환경지질, 38(5), 535-545 

  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1998, 사업특성별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모델의 비교연구 

  4.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2004, 산업공정과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III) 

  5. 환경부, 2007a, 건강영향평가 기법개발 및 시범사업 연구 

  6. 환경부, 2007b, 대기환경연보(2006) 

  7. 쓰레기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협의회, 2002, 소각과 건강-폐기물 소각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식의 현황- 

  8. NRC(National Research Council), 1983, Risk assessment in the Federal Government:Managing the proces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9. Pearl Moy, 2005, A Health Risk Comparison of Landfill Disposal and Waste-to-Energy (WTE) Treatment of Municipal Solid Wastes in New York City(NYC), M.S thesis, Columbia University 

  10.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1992, Screening Procedures for Estimating the Air Quality Impact of Stationary Source (Revised) 

  11.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IRIS) on Substances, http://cfpub.epa.gov/ncea/ir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