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폐금속 광산지역에서의 토양, 지하수, 쌀의 중금속 노출에 따른 인체 위해성평가
Risk Assessment for Heavy Metals in Soil, Ground Water, Rice Grain nearby Abandoned Mine Area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2 no.4, 2013년, pp.245 - 251  

나은식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이용재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고광용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정덕영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  이규승 (충남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levels of heavy metals in soil, ground water, and agricultural product near the abandoned Boeun and Sanggok mine areas in Korea and to assess the health risk for these local residents exposed to the toxic heavy metals b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인 보은, 상곡 광산지역 주변의 토양, 농작물 및 지하수 시료 중 중금속에 대한 오염수준을 조사하였고, 이들에 대한 화학분석자료를 바탕으로 독성 중금속들이 이들 지역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위해영향을 정량화하는 인체 위해성 평가 실시하며, 지역주민의 중금속 노출에 따른 인체 위해성을 정량적으로 산출하여 이들 폐광산별 위해도 수준을 비교ㆍ평가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오염된 토양에서 재배된 농작물(쌀)에 노출되는 경로는 이들 오염된 농작물을 직접 섭취함으로써 인체로 흡수되어 발생한다. 이번 노출평가에서는 농작물에 대한 섭취흡수계수를 100%로 가정하였다. 2007년도 환경부자료에 의하면 한국 농부의 쌀 섭취량은 321 g/day 이며, 쌀 내 독성중금속들의 화학분석결과(Table 3)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광업활동은 언제를 기점으로 이뤄졌는가? 우리나라의 광업활동은 해방이전에 광산 개발에 주력하여 오다가 그 후의 혼란기에 광업활동이 거의 미미한 상태였고, 1960년대부터 광산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사회구조의 변화, 에너지 소비패턴의 변화, 3D 노동의 회피, 저렴한 가격의 광산물 수입, 부가가치의 하락 등으로 광업활동은 위축되기 시작하여 경영합리화가 되지 못한 광산들은 휴․폐광하게 되었고 휴․폐광 당시 철저한 광산보안조치 또는 환경보호조치가 미흡하여, 관리자 없이 방치되었다.
광산에서의 중금속 원소들의 인체노출평가 결과는 어떠한가? 폐광산인 보은, 상곡 광산지역 주변 토양, 농작물 및 지하수 시료 중 중금속에 대한 오염수준을 조사하였고, 이들에 대한 화학분석자료를 바탕으로 독성 중금속들이 이들 지역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위해영향을 정량화하는 인체위해성 평가 실시하였다. 중금속 원소들의 인체노출평가 결과, 토양 섭취에 의한 카드뮴, 구리, 비소의 인체노출량은 상곡광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하수 섭취에 의한 아연, 비소의 인체노출량은 보은광산에서 높게 나타났다. 농작물(쌀) 섭취에 의한 납, 카드뮴, 비소의 인체노출량은 상곡광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광산에 대한 인체위해성 평가는 언제부터 인식되고 바뀌었는가? 미국에서는 1980년에 환경오염물질 방출에 관련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Superfund법을 제정하면서 유해물질에 대한 장․단기 대책을 수립하게 되었고, 이와 동시에 공중보건을 보전하기 위하여 유독성 물질에 대한 인체위해성 평가가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EPA, 1991a; EPA, 1991b).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중반부터 오염지역에 대한 위해성평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위해성평가에 포함되어 있는 세부적인 변수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후 광산 활동으로 인해 오염된 토양, 지하수 및 농작물 내 독성 원소들이 주변 지역 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법의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졌다(Gu et al., 2001;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loway, B.J., 1990. Heavy Metals in Soil, p. 368, Blackie and Son Ltd. 

  2. Bowen, H.J., 1979. Environmental chemistry of the elements. Academic Press, Lodon. 

  3. Gu, J.M., Kim, K.S., Dong, J.I., Park, Y.H., Bae, W.G., Yang, J.W., Yeom, I.T. Yoon, S.P., Lee, J.Y., Lee, J.S., Jang, Y.Y., Jung, J.C., Choi, S.I., Hwang, K.Y., Hwang, J.S., 2001. Soil Environmental Engineering. pp. 148-175, Hyangmunsa, Korea. 

  4.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IRIS, http://www.epa.gov/ngispgm3/iris) 

  5. Kanata-Pendias, A., Pendias, H., 1984. Trace elements in soils and plants. p. 315, CRC Press, Inc. 

  6. Kelly, M., 1988. Mininig and the freshwater environment. London: Elsevier science Publishers. 9. 231. 

  7. Lee, J.S., Chon, H.T., Kim, K.W., 2005. Human risk assessment of As, Cd, Pb, Cu and Zn in the ababdined metal mine site, Environ Geochem Health. 27, 185-191. 

  8. Lee, J.S., Chon, H.T., Kim, K.W., 1997. Dispersion and Migration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in the Rock-Soil-Plant System from the Boeun area underlain by Black Shales, Korea, Eco. Environ. Geol. 30(6), 587-601. 

  9. Lee, J.S., Kim, Y.N., Kim, K.H., 2010. Suitability Assessment for Agriculture of Soils Adjacent to Abandoned Mining Area Using Different Human Risk Assessment Models, Korea J. Soil Sci. Fert. 43(5), 674-683. 

  10. Park, Y.H., 1994. Management of Wastes from Inactive or Abandoned Mines, p. 58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1. Park, Y.H., Kim, M.J., Jung, S.W., Lee, Y.H., Kim, M.J., Jo, J.E., 2003. A Study for Standards of Soil Contamination and Restoration by land-use. Korea Institute of Policy Evaluations. 

  12. Thornton, I., 1983. Applied Environmental Geochemistry, p. 501, Academic Press. London. 

  13. US EPA., 1989.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 1, Part A, EPA/540/I-89/002 

  14. US EPA., 1991.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 1, Part B, EPA/540/R-92/003. 

  15. US EPA,. 1986. Guideline for the Health Risk Assessment old Chemical mixture, 51 Fedral Regoster 34014. 

  16. US EPA., 1999a.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RAGS). Volumn I : Human health evaluation manial(HHEM), part B, development of risk-based preliminary remediation goals. 

  17. US EPA., 1999b.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RAGS). Volumn I : Human health evaluation manial(HHEM), supplemental guidance, Standrad Default Exposure Factors, Interim Guida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