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도 환승센터의 시설배치기준 및 평가방안
The Guidelines for Station Layouts and Their Assessments in Railroad Transfer Centers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29 no.5D, 2009년, pp.597 - 604  

이종국 (국토해양부 고속철도팀) ,  김시곤 (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  임광균 (Texas A&M Univ.,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우리나라 대중교통 시스템은 서로 다른 수단간 복합적인 상호 연계로 그 교차지점에서 승객의 이동이 많이 발생하는 환승 위치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즉, 2개 이상의 교통수단이 한 곳에서 교차하는 환승센터의 올바른 기능은 보행자의 편리성과 안락함등으로 직결되고, 그로 인한 더 많은 대중교통 이용유발이 촉진된다.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아직 환승보행센터의 배치기준이나 그것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승센터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이용실태(환승거리 및 시간, 접근거리 및 시간, 역사 내 승객 이동경로)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환승센터에서의 연계시설 배치 평가기준을 승용차 이용자 보행 편리성과 대중교통 이용자의 보행 편리성으로 나누어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환승시설에서의 배치 평가기준은 보행자의 주요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도보시간을 평가기준으로 설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ss transit networks in Korea, such as buses, metro and subway, are co-related and the number of transfer points, in which a lot of pedestrian movement is generated, are rising. The functions of the transfer centers, in which several travel modes cross at a point, have to include convenienc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8년을 기준으로 전국 고속철도역 및 서울시도시철도 환승역을 데이터 수집 대상으로 정하였다. 각 시설에서 환승시설 및 연계시설의 종류에 대해 정의하고 고속철도를 이용하는 승객과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승객의 통행 패턴이 어떻게 다른지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고속철도와 도시철도에 보행자들은 모두 먼 환승거리를 가장 불편하게 생각하고 있고 이에 못지않게 빈번한 계단구간으로 환승센터에 들어가기 까지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었다. 또한 고속철도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승용차를 많이 이용하는 경향에 따라 도시철도 이용자들 보다 상대적으로 환승주차장 공간이 충분치 않다고 설문에 응답했다.
  • 따라서 다양한 교통수단이 교차하는 환승지점에서 대중교통 이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는 환승센터의 시설들이 적절히 배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승센터에서 승객들에게 환승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 환승센터의 시설물들이 어떠한 배치를 가져야 하는지 그 기준을 개발하고 그 기준에 맞춰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환승센터 내에 있는 승객들은 다양한 목적에 따라 최종 목적수단을 이용할 때까지 환승센터 내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서로 다양할 것이며, 또한, 환승센터를 이용하는 주 교통수단의 종류에 따라 승객의 체류시간도 다를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본적인 고속철도 환승센터와 도시철도 기반 환승센터에서의 승객 체류 시간을 조사한다.
  • 따라서, 이러한 선행 연구들은 환승센터가 가질 수 밖에 없는 환승에 대한 부담감을 이용자들에게 최소화 시켜야 한다고 결론짓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가 환승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하도록 설계배치 기준을 제안하고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 환승센터를 이용하는 보행자가 대중교통이나 승용차에서 내려 환승센터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거리, 또한 환승센터 입구에서 최종 목적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까지 걸리는 시간/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관점을 자료수집의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고속철도 경부선 이용자 중 서울에서 출발하는 열차 내에서 통행행태 분석을 위한 조사가 수행되었고(2008년 4월 3-4일, 비첨두시 평일), 설문지를 이용하여 약 290명의 승객과 1:1 개별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참고문헌에서 사용된 최대 허용 가능한 보행거리를 서비스수준 E로 제시하고, 환승주차장 접근성을 50m 단위로 줄어들 때 서비스 수준이 한 단계씩 좋아진다고 가정하여 환승주차장 거리가 260m 보다 작을 때를 서비스 수준 A로 정하였다. 마찬가지로 대중교통이용자들의 최대 허용 가능한 보행거리를 150m, 서비스 수준 E로 사용하고 서비스 수준의 구간을 30m로 하여 서비스 등급 A를 30m 이내로 가정하여 연계시설배치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참고문헌에서 사용된 최대 허용 가능한 보행거리를 서비스수준 E로 제시하고, 환승주차장 접근성을 50m 단위로 줄어들 때 서비스 수준이 한 단계씩 좋아진다고 가정하여 환승주차장 거리가 260m 보다 작을 때를 서비스 수준 A로 정하였다. 마찬가지로 대중교통이용자들의 최대 허용 가능한 보행거리를 150m, 서비스 수준 E로 사용하고 서비스 수준의 구간을 30m로 하여 서비스 등급 A를 30m 이내로 가정하여 연계시설배치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환승주차장과 대중교통정류장으로부터 환승센터 입구까지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먼 환승주차장과 대중교통정류장을 택하고, 이들의 각 중심점에서 환승센터 입구까지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계시설에 해당되는 것들은 무엇인가? 환승센터 구성요소는 그림 2와 같이 수단간 연계를 위한 시설과 보행자의 환승을 돕기 위한 시설로 구분된다. 우선, 연계시설로는 환승주차장, 정거장, 버스정류장, 택시정류장, 배웅장소(Kiss&Ride), 자전거 보관소 등이 연계시설에 해당된다. 환승시설은 크게 3가지 시설로 분류할 수 있다.
환승센터에서 쓰이는 연계서비스란 어떠한 개념인가? 기존연구 고찰에서 내린 정의에 따르면 환승센터에서는 교통수단 간의 연계서비스와 보행자의 환승활동이 일어나는 환승서비스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연계서비스란 교통수단(철도, 항공, 버스, 지하철, 택시, 승용차, 자전거 등)간의 상호 연결 또는 연속을 의미하며, 수단간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적인 개념이다. 또한 환승서비스란 연계서비스가 가능한 곳에서 보행자가 한 교통수단에서 다른 교통수단으로, 또는 같은 교통수단 내에서 갈아타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적인 개념으로 그림 1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환승센터 유형은 어떠한 요인들로 인해 분류되는가? 환승센터 유형은 입지위치, 시설형태, 환승수단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분류할 수 있다. 권영종ㆍ김황배(2005)는 환승센터를 입지유형에 따라 도심/부도심, 시내외곽권, 시계유출입, 그리고 광역외곽권 환승센터로 구분하고 있고, 시설형태로 노외환승센터, 건물식 환승센터, 블록식 환승센터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건설교통부(2002) 도시철도 정거장 환승.편의시설 보완 설계지침. 

  2.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2조 제13호. 

  3.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제2조. 

  4. Hiroyuki Iseli, Mark Miller et al. (2007) Evaluating Connectivity Performance at Transit Transfer Facilities,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acramento, CA. 

  5. Kittelson & Associates, Inc. et al. (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 - 2nd Edition - Part 3: Quality of Service and Part 7: Stop, Station, and Terminal Capacity, In TCRP Report 100. Washington, D.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6. Rabinowitz, H. Z., Edward A. Beimborn, Peter S. Lindquist, and Donna M. Opper (1989) Market Based Transit Facility Desig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7. Reynolds, Marilyn M., and Charles D. Hixson (1992) Transit vehicle meets system : A method for measuring transfer times between transit rout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1349, pp. 35-41. 

  8.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2005) Guidelines For Station Site And Access Planning-Final Draf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