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기 신도시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재생을 위한 개발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분당신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alysis for Regeneration of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 in the 1st period New Town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9 no.2, 2009년, pp.17 - 26  

조성희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이태경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오덕성 (충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 complexes have been built and supplied on a large scale in the 1st period New Town of metropolitan areas since the late 1980s. Recently it has become necessary to improve those apartment complexes which have blight problems for aging more than about 20 years ac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시에 대량의 노후화가 예상되는 1기 신도시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재생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재생의 관점에서 개발현황을 물리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를 바탕으로 재생의 방향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는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우리나라 고층고밀아파트단지의 현재의 모습을 개관하는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는 1기 신도시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개발특성과 문제점에 대해 종합적이고 개괄적으로 파악해 봄으로써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우리나라 고층고밀아파트단지의 현재의 모습을 개관하는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연구의 진행이 자료 및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분석의 범위와 내용에 한계가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1기 신도시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지속가능한 재생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개발현황을 분석하여 현재의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연구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관련연구와 법규를 검토 분석하여 국내 아파트단지개발에서 고층고밀의 개념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동시적 대규모 노후화가 예상되는 1기 신도시의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재생방안모색을 위한 선행연구로 먼저, 우리나라 아파트단지의 개발에서 나타나는 고층고밀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이어서 1기 신도시를 대표하는 분당신도시의 고층고밀 아파트단지 개발현황을 분석하여 그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파트 노후화는 어떤 상태인가? 아파트 노후화는 일반적으로 아파트가 갖는 제반성능의 저하와 건물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분이 거주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못하여 건물 전체가 기대하는 거주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태로 정의(Cho, S.H.
아파트의 성능저하는 어떤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 Lee, T.K, 2008)할 수 있고, 이러한 아파트의 성능저하는 안전상 위험, 입주자 생활불편, 입주자 만족도 저하 등의 내부적인 문제뿐 아니라 주변지역에 비해 건물경제성 저하, 수선비 과다, 내부 위생 결함, 주변 환경 저해, 건물 미학적 결함 등 많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여 입주자의 건물사용과 입주생활에 직간접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최무현 외, 1998).
수도권의 1기 신도시개발이 채택한 현실적인 전략이 주거지는 고밀도화 하고 대신 공원용지와 녹지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개된 이유는? 1기 신도시의 개발밀도 선정에서는 쾌적한 주거환경 확보를 위해 외국의 사례와 같이 저밀도로 계획해야 한다는 의견이 신도시 계획추진 당시부터 제시되기도 했으나 수도권지역의 저밀도 개발방안은 가용토지의 한계와 높은 지가로 인해 현실적으로 채택이 불가능했음(한국토지공사, 1997)이 보고되었다. 특히 주거밀도를 나타내는 순밀도를 고밀화하지 않으면 도시 편의시설과 문화시설 등의 유치가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 아니라 전철이나 도로 같은 교통시설 설치비용이 많아지는 현실적 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1기 신도시개발이 채택한 현실적인 전략은 주거지는 고밀도화 하고 대신 공원용지와 녹지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손장권 외 3인, 2003, p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o,S.H., Lee,T.K., A Study on Housing Performance Indicators Evaluating the level of Deterioration of Apartments,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stainable Energy Technologies; Korea, proceedings Vol.1, 2008.8. pp.141-148 

  2. Kim,K.B., Towards Sustainable Neighborhood Design, Ph.D. Dissertation, Cardiff Univ., 2002 

  3. Peter Roberts, The Evolution, Definition, and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Urban Regeneration(a handbook), 2000 

  4. 건설교통부, 공동주택 주거문화 제고방안 연구, (사)한국주거학회, 2007 

  5. 건설교통부, 수도권 신도시 건설사업, 1992 

  6. 건설교통부, 주거수요분석 및 미래형 주거지 조성방안, 2006 

  7. 공동주택연구회, 도시집합주택의 계획 11+44, 발언, 1997 

  8. 국토연구원, 주택 재고관리 정책의 평가와 개선방향 연구, 2006 

  9. 국토연구원, 택지개발사업지구 자족기능 강화방안 연구, 2004 

  10. 김남각, 남형우, 함욱, 신도시의 근린생활권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논문집, 35권 1호, 2000 

  11. 김성규, 노인을 위한 아파트단지 옥외생활공간 계획에 관한 조사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주택설계디자인학과, 석논 2006 

  12. 마쓰나가 야스미쓰, 도시계획의 신조류, 진영환, 김진범, 정윤희 공역, 국토연구원, 한울아카데미, 2006, pp.33-47 

  13. 배정민, 정유선, 윤정숙, 민영아파트 평면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수도권 및 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12권2호, 2001 

  14. 손장권, 양춘, 정희태, 이경상, 신도시의 형성, 백산서당, 2003 

  15. 송인수, 이문섭, 공동주택단지내 복기시설의 건축 계획적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권 2호, 2003 

  16. 아파트백과-분당편, 세진기획, 2001 

  17. 양동양, 도시주거단지계획, 기문당, 1988 

  18. 오덕성, 염인섭, 지속가능한 자원절약형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권1호, 2008.1,pp173-184 

  19. 윤인하, 김호연, 수도권의 통근통행 패턴에 관한 연구 1990 -1996,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38권6호, 2003.pp .87-97 

  20. 이종, 고층건물의 의의, 공기조화냉동공학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1975 

  21. 이주택, 주거단지 인구밀도의 계획과 실태와의 비교고찰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권 6호, 1993. pp.71-79 

  22. 장인경 외 3인, 주차장공급율에 따른 아파트단지 주차실태분 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권 2호 2000 

  23. 장준상, 이창무, 수도권 5개 신도시 자족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41권2호, 2006 

  24. 전호철, 페리 근린주구개념이 도시공간구조에 미친 영향 분석, 서울산업대학교 석사논문, 2007, pp.54-56 

  25. 정하선, 아파트 건물의 구조형식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1990 

  26. 조성희, 이태경, 아파트 노후도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 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집, 2008.4, pp.225-230 

  27. 조종수, 서울지역 고층집합주거 계획의 흐름과 특성에 관한 

  28. 진미윤, 이유미, 김혜란 아파트 거주자의 근린의식과 근린과계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권9호, 2001 

  29. 최영호, 초고층아파트의 주거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석논, 1994 

  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주택기술개발; 공동주택의 초고층화를 위한 계획 및 설계기법 개발(1), 1991 

  31. 한국토지개발공사, 분당신도시 개발사, 1997 

  32. 한국토지개발공사, 분당신도시 개발지, 1992 

  33. 한국토지공사, 21세기 신도시 환경설계의 방향연구, 2002 

  34. 한국토지공사, 살고 싶은 신도시 모델 설정, 부록 신도시 평가, 2006 

  35. 함욱, 신도시계획에 있어서 근린생활권 공간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p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