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포시의 거주환경의 만족도와 어메니티 의식의 관계
Relations between Amenity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Mokpo City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9 no.2, 2009년, pp.43 - 52  

한명호 (목포대학교 친환경건축연구센터) ,  오양기 (목포대학교 건축학과) ,  주문기 (목포대학교 친환경건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olutions for an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menity awareness of the local residents in Chonnam Mokpo city. For this purpose, it i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03 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우선 지역주민이 그들의 거주환경에 대해서 느끼고 있는 거주환경의 만족도와 주변환경에 대한 의식은 어떻게 구성되고 있으며, 이들 거주환경과 어메니티 의식에 대한 관계로부터 지역의 거주환경의 정비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 연구는 목포시의 지역주민이 그들의 거주환경에 대해서 느끼고 있는 환경심리적 어메니티 의식은 어떠한 요인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들 심리적 어메니티 의식과 거주환경의 만족도의 관계로부터 지역의 거주환경의 정비는 어떻게 개선 또는 해결해야 할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목포시의 거주환경과 어메니티 의식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표1의 설문항목 중에서 1번∼4번까지의 조사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897년 10월 1일 개항 당시 목포에 처음 시가지가 형성된 곳은? 1897년 10월 1일 개항 당시 목포에 처음 시가지가 형성된 곳은 각국공동거류지 구역으로, 이 당시 도시형성의 유래에 따라서 목포는 ‘구 각국공동거류지’ 구역과 ‘구 목포부 부내면’ 구역으로 구분되며, 전자는 일본인마을이고 후자는 조선인마을이다. 조선인은 각국공동거류지 내에 살 수 없었기 때문에, 대다수의 조선인은 조선인마을에서 조밀하게 살 수밖에 없어 일제 강점기내내 일본인마을과의 시설상 차이를 좁힐 수 없었다.
거주환경의 어메니티 계획에 필요한 구체적인 계획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의식조사 연구를 통해 지역과 인간 및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이러한 종합적인 쾌적성이라는 어메니티의 계획은 현대의 도시에서 거주하고 있는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거주환경에 있어서 무엇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보다 좋게 해야 하는가를 구체화 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거주환경의 어메니티 계획에 필요한 구체적인 계획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의식조사 연구를 통해 지역과 인간 및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어메니티는 어떻게 만들어진 용어인가? 종합적인 환경의 질을 추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인 어메니티(amenity)1)는 1909년 영국의 도시계획법에서 도시계획을 목적으로 적절한 보건성, 쾌적성, 편리성 등을 목표로 한 거주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용어로, 오랫동안 영국의 도시농촌계획의 목표개념이 되어왔으며 결코 하드(hard)한 환경정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soft)한 것도 포함한 양면성을 갖고 있는 개념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進士五十八(2001), アメニティ·デザイン -ほんとうの環境づくり-, pp.40∼49 

  2. 머레이 쉐이퍼 지음, 한명호·오양기 옮김(2008), 사운드스케이프 : 세계의 조율, 도서출판 그물코 

  3. 鳥越けい子 지음, 한명호 옮김(2005), 사운드스케이프 : 그 사상과 실천, 도서출판 세진사, pp.3∼9 

  4. 고석규(2004),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 공간 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5. 이종화, 조준범외(2005), 목포 : 목포사람들2, 경인문화사, pp. 33∼39 

  6. 목포문화관광 홈페이지, http://tour.mokpo.go.kr/ 

  7. 목포시청 홈페이지, http://www.mokpo.go.kr/ 

  8. 목포문화원 홈페이지, http://www.mokpoculture.or.kr/ 

  9. 목포문화원(2000), 목포 역사의 길, 목포향토지 15집 

  10. 김정동(2008), 목포의 근대문화유산, 목포문화원 

  11. 임승빈(2003),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2. 임승빈(1993), 환경심리·행태론, 보성문화사 

  13. 대한주택공사(1988), 건축도시계획을 위한 조사분석방법 

  14. 일본건축학회, 박영기외 옮김(2000), 공간학, 기문당 

  15. 노형진(2001), 한글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16. 고흥화, 김현수, 백영승 역(1992), 사회행동과학 연구방법의 기초, 성원사, p.685 

  17. 정대연(1997), 사회과학방법론사전, 백의출판사, p.5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