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어메니티가 창의인력 거주지 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Role of Amenity in Determining Residential Preference of Creativ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1, 2017년, pp.39 - 49  

김현우 (서울시립대) ,  이두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임희선 (한국법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로운 경제패러다임인 4차 산업혁명으로의 전환에서 개인의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 또는 그러한 직무에 종사하는 인적 계층인 창의인력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해외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창의인력은 '장소의 질', 대표적으로 어메니티를 거주지역 선택에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창의인력이 거주지를 선택함에 있어 도시 어메니티가 영향을 미치는지 생산직 인력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2014년 기준, 전체 창의인력의 수는 573만명(전체 종사자의 23.2%)이며, 절반 이상인 58.6%가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창의인력의 초과거주비율(거주자수/일자리수)은 인구규모가 큰 대도시 지역에 집중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인력의 거주지 선택은 생산직과 비교하여 교육과 같은 특정 도시 어메니티 요소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지역의 창의인력 확대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pening of a new economic paradigm in the transi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human capital engaged in industry or occupation based on individual creativity is called creative workers. The workers of this kind regards 'quality of place', known as amenity, as an important factor in c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병수는 한국연구재단 이주 종사자만을 대상으로 지역어메니티와 주거이전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근린 어메니티, 환경 어메니티, 도시 어메니티 순으로 주거이전 초기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 하지만 거주지 선택은 지역 또는 공간특성뿐만 아니라 개인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인력이라는 특정 성향을 가지는 인적 계층을 중심으로 도시 어메니티와의 관계를 다른 직업계층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단순히 창의인력 거주자 규모가 아닌 초과거주비율을 계산하여 직주불균형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고전적 도시경제이론에서는 교통비용 최소화 원칙에 따라 거주지와 직장이 동일 지역에 있는 직주일치가 되어야하나, 실제 많은 인력들이 타 시‧군으로 통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주지를 선택함에 있어서 도시 어메니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창의인력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도 해외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창의인력의 거주지 선택에서 도시의 어메니티가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하여, 지역에서 창의인력 확대를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중 환경 성(기후, 주변 환경 등)과 심미성(디자인, 스카이라인), 문화성(랜드마크, 도시이미지) 등은 정량화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환경과 관련된 제외하고 주민의 생활수준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 기반인 근린시설 변수를 추가하였다. 이에 도시 어메니티 중심의 창의인력의 거주지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변수를 크게 경제 어메니티, 근린 어메니티, 편의시설 어메니티 등으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창의인력이 거주지를 선택함에 있어서 도시 어메니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생산직 인력과 비교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 또한 창의인력이라는 특정 성향을 가지는 인적계층의 거주지 결정에서 어떤 어메니티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타 집단(직업군)과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업의 근간을 이루며, 모든 지역 에서 많은 일자리가 있는 생산직 인력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특히 생산직 인력의 경우 업무성격 및 직종 특성상 인적계층 간의 공통된 특성 성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어 창의인력과 비교하였다.
  • 만약 직장 수에 비해 거주자가 많은 지역의 경우 타 시‧군으로 통근하더라도 해당 지역의 거주하는 요인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 선택의 여러 요인 중 어메니티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 해외연구에서는 의료‧보건과 관련된 지표를 어메니티에 포함시키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국내 많은 학술연구나 사회적 통념상 보건‧의료시설도 어메니티에 포함 시키고 있다. 지역 내 체육시설(경기장, 간이운동장, 생활체육관 등) 및 도시공원 수를 통해 거주지 선택에서 휴식 및 체육활동과 관련된 인프라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창작, 예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의 경우 공연시설, 도서관, 박물관뿐만 아니라 예술관련 사업체 등이 포함되어 있어 이들 업체수가 증가할수록 거주자의 예술 및 여가활동의 접근성과 예술관련 창의인력의 창업 및 구직 용이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즉 어메니티는 소득에 대한 정상재적 속성을 지니고 있어, 생활수준 및 소득향상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16]. 다시 말하면, 지역 내 고소득자가 많이 거주하고 지역의 경제수준이 향상되면, 이는 어메니티에 대한 시민의 욕구 증대로 이어진다는 설정을 반영하여 고소득 지역일수록 도시 어메니티 조성을 위한 많은 지역 정책이 시행되고 있을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전체의 경제 수준을 나타내는 지역 내 총생산(GRDP)보다는 지역 내 개인 소득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월평균 소득을 활용하였다.
  • 직장기준 창의인력이 거주지 기준 창의인력보다 많다는 것은 다른 시‧군으로 통근하는 창의인력이 해당지역에 많이 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직주불일치에 따른 비용 발생에도 불구하고 창의인력이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하려는 특정 요인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도시 어메니티가 특정 요인 중 하나라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구대비 시설 수(시설수/인구수)로 분석하였는데 이는 해당 시설에 대한 접근 및 활용 용이성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거주지 선택 시 지역 내 어메니티 시설의 접근성 및 활용도를 중시한다고 가정하여 이와 같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어메니티의 구성요소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최유진은 도시 어메니티의 구성요소를 크게 문화 어메니티, 환경 어메니티, 사회경제 어메니티로 구분하였는데, 주로 지역경제 활성화 지표(국민연금 징수비율, 종사자수, 인구증가율)와 어메니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 어메니티(문화재와 문화기반시설) 와 사회경제 어메니티(청년층 인구, 외국인 인구, 사업체 수)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확인하였다[11].
창조산업 및 창조계층의 입지결정요인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김은란 외는 창조산업 및 창조계층의 입지결정요인을 도시매력, 도시생활기반, 직업 환경, 주거환경, 개인 유대 등 5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제주시와 파주시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이 입지선택에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10].
4차 산업혁명은 기술혁신과 관련해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4차 산업혁명은 2016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Klaus Schwab이 기고한 글에서 제시되었다. 이에 따르면,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뤄지는 차세대 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 인터넷 등 6대 분야의 기술혁신이 핵심이 된다. 특히 혁신과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중요 요소로 창의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하는 산업 또는 직무에 종사하는 인적 계층인 창의인력(Creative Workers)이 4차 산업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ESPON, Territorial Dynamics in Europe The Creative Workforce, EU Territorial Observation, No.5, pp.18-20, 2011. 

  2. K. Stolarick and E. Currid-Halkett, "Creativity and the crisis: The impact of creative workers on regional unemployment," Cities, No.33, pp.5-14, 2012. 

  3. 김현우, 지역의 창의인력 현황 및 성장 요인, KIET산업경제, pp.33-42, 2016(8). 

  4. R. Florida,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and how it is transforming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New York: Basic Books, 2002. 

  5. E. Glaeser, J. Kolko, and A. Saiz, "Consumer City," Discussion Paper, No.1901, pp.1-26, 2001. 

  6. T. Clark, R. Lloyd, K. Wong, and P. Jain, "Amenities drvie urban growth: A new paradigm and policy linkages," Elsevier Ltd, Vol.9, pp.291-322, 2003. 

  7. D. McGranahan, T. Wojan, and D. Lambert, The rural growth trifecta: outdoor amenities, creative class and entrepreneurial context, Oxford University, 2010 

  8. 홍성조, 김용진, 안건혁, "서울시 소형가구의 주거이동 패턴과 유입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제12권, 제4호, pp.51-62, 2011. 

  9. 강병수, "지역어메니티와 주거이전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7권, 제1호, pp.193-214, 2014. 

  10. 김은란, 박경현, 정소양, 창조산업.창조계층 입지특성과 도시경쟁력, 국토정책Brief, No.528, 국토연구원, 2015. 

  11. 최유진, "도시어메니티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20권, 제4호, pp.299-324, 2017. 

  12. R. Florida, 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London: Routledge, 2004. 

  13. 김영수, 김현우, 창의인력과 창의일자리의 지역별 입지 및 성장 특성 분석, ISSUE PAPER 2015-372, 산업연구원, pp.31-143, 2015. 

  14. 김영수, 창의계층의 산업별.지역별 추이와 정책적 시사점, KIET산업경제, 산업연구원, pp.59-73, 2013(11). 

  15. 김선희, 차미숙, 김현식, 이문원, 윤윤정, 미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국토 어메니티 발굴과 창출전략 연구, 연구보고서 2007-28-1, 국토연구원, pp.9-11, 2007. 

  16. 허재완, 고영구, 현대지역경재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7. http://kosis.kr/ 

  18. https://mdis.kostat.go.kr/index.do 

  19. https://www.weforum.o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