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 부부친밀도 및 가족지지
Psychosocial Adjustment, Marital Intimacy and Family Support of Post-mastectomy Patients 원문보기

종양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9 no.2, 2009년, pp.129 - 135  

조옥희 (혜천대학 간호과)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marital intimacy and family support of post-mastectomy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90 post-mastectomy patients (stage I or II) who were eligible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 부부친밀도 및 가족지지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 부부친밀도 및 가족지지 정도를 파악하여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을 돕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 부부친밀도 및 가족지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유방암 환자들은 수술 후 신체적인 문제는 물론 심리적 후유증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회복과 심리사회적인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 부부친밀도 및 가족지지 정도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자들은 선행 연구14)에서 배우자 지지와 성생활 만족도가 부부친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연구경험으로 유방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심리사회적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부부를 포함한 가족단위의 지지정도와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유방암 수술 후 일차적인 보조치료가 끝난 6개월 후와 부부친밀감과 배우자 지지정도가 비교적 낮았던 2년 이하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심리사회적 적응, 부부친밀도 및 가족지지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젊은 유방암환자가 수술 후에도 더 큰 심리사회적 문제들로 고통받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2,3) 우리나라는 유방암 발생연령이 서양보다 10세 가량이 낮아 그만큼 더 긴시간 동안 암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향을 받게 되며, 최근에는 치료방법의 향상으로 수술 후 생존율과 유병기간이 증가하면서 환자의 수술 이후의 회복과 적응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젊은 유방암환자는 수술 후에도 임신과 출산, 육아, 집안일, 직장업무 등 주부와 아내 및 직장인으로서의 역할기능을 여전히 담당해야 하기 때문에 더 큰 심리사회적 문제들로 고통받을 수 있다.
유방암 환자들이 겪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유방암 환자들은 진단과 유방절제술과 같은 치료과정 자체가 외상 경험이 될 수 있으며, 재발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 우울이나 불안, 남편과 자녀에 대한 걱정, 대인관계의 변화 등의 심리적 후유증을 경험하게 된다.2,3) 우리나라는 유방암 발생연령이 서양보다 10세 가량이 낮아 그만큼 더 긴시간 동안 암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향을 받게 되며, 최근에는 치료방법의 향상으로 수술 후 생존율과 유병기간이 증가하면서 환자의 수술 이후의 회복과 적응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유방암 환자의 추후관리에서 환자와 가족이 서로의 부담을 나눌 수 있도록 격려하고,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상담을 통해 가족의 지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는 종교가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높았는데, 이는 환자와 가족이 같은 종교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으며, 가정 내에서 시행하는 종교 예식을 통하여 서로 지지하고 격려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종교가 있는 환자가 가족지지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가정 월수입 250만 원 초과군이 250만 원 이하군보다 가족지지가 높았는데, 이는 경제력이 낮은 가족에게 환자가 있으면 경제적 부담을 더 심각하게 느끼게 되고 경제활동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와 함께 할 수 있는 기회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유방암 환자의 추후관리에서 환자와 가족이 서로의 부담을 나눌 수 있도록 격려하고,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상담을 통해 가족의 지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for Hea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nnual report of cancer incidence (2005) and survival (1993-2005) in Korea. 2008. 

  2. Kim HJ, Kwon JH, Lee R, Lee KS.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 Health Psychol 2008;13:781-99. 

  3. Ginzburg K, Wrensch W, Rice T, Farren G, Spiegel D. Breast cancer and psychosocial factors: early stressful life event,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Psychosomatics 2008;49:407-12. 

  4. Budin W. The relations among primary treatment alternations, symptom di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o breast cancer in unmarried women [dissertation]. New York (NY): New York Univ.;1996. 

  5. Lee EH. Mediation effect of hope between fatigue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 Korean Acad Nurs 2000;30:857-68. 

  6. Dorval M, Guay S, Mondor M, Ma^sse B, Falardeau M, Robidoux A, et al. Couples who get closer after breast cancer: frequency and predictors in a prospective investigation. J Clin Oncol 2005;23:3588-96. 

  7. Taylor-Brown J, Kilpatrick M, Maunsell E, Dorval M. Partner abandonment of women with breast cancer. Myth or reality? Cancer Pract 2000;8:160-4. 

  8. Lee IJ. Breast Cancer in Martial Context: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Soc Welfare Stud 2009;40:37-61. 

  9. Jang SW. The Influence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on marital intimacy and parent-child relation [dissertation]. Jeonju:Chonbuk National Univ.;2009. 

  10. Hwang JG, Kim YH. Family support perceived by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burden and physical & psychological health. Korean J Fam Relations 2005;10:173-98. 

  11. Arora NK, Finney Rutten LJ, Gustafson DH, Moser R, Hawkins RP. Perceived helpfulness and impact of social support provided by family, friends, and health care providers to women newly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07;16:474-86. 

  12. Chun JY, Kim HJ. A study on body image, spouse suppor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patients in mastectomy. J Korean Acad Adult Nurs 1996;8:394-409. 

  13. Lee IJ. A study psychosocial needs of brest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Seoul:Ewha Univ.;2002. 

  14. Yoo YS, Cho OH. Spouse support,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of post-mastectomy patients. J Korean Community Health Nurs Acad 2001;15:148-56. 

  15. Pearson ES, Hartley HO. Biometrika tables for statisticians 2. London:Cambridge Univ. Press;1972. 

  16. Watson M, Greer S, Young J, Inayat Q, Burgess C, Robertson B.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measure of adjustment to cancer: the MAC scale. Psychol Med 1988;18:203-9. 

  17. Lee MS. The relationship between brest cancer and coping style or emotional adaptation [dissertation]. Seoul:Seoul Univ.;1997. 

  18. Waring E. The measurement of marital intimacy. J Marital Fam Ther 1984;10:185-92. 

  19. Kim SM. A structu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rectomies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1998. 

  20. Shim MJ. A study of the sexual satisfaction and related variables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999;3:233-43. 

  21. Sim MS.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dissertation]. Seoul:Ewha Univ.;1990. 

  22. Noh YH. Breast cancer survivor's conquest experience [dissertation]. Gwangju:Chonnam National Univ.;2003. 

  23. Holmberg SK, Scott LL, Alexy W, Fife BL. Relationship issu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Cancer Nurs 2001;24:53-60. 

  24. Moon SM. Pre-post changes among sexual satisfaction, marital intimacy and spouse's support of women received a hysterectomy [dissertation]. Gwangju:Chonnam National Univ.;2002. 

  25. Oh JH. The study of mutual relations to the symptoms distress of the cases under the chemotherapy after mastectomy, selfcare deed and family support [dissertation]. Seoul:Ewha Univ.;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