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수술환자의 수술 후 불편감, 상실감, 가족지지가 회복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ost-operative Discomfort, Sense of Loss, and Family Support on Resilience in Patient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0 no.2, 2017년, pp.34 - 44  

권안나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  김태현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일반외과) ,  이윤미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ost-operative discomfort, sense of loss, family support, and resilience in breast cancer surgery patients, and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resilience. Method: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108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br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5)으로 하고 있고, 수술을 하였다 하더라도 그 시기가 수술 후부터 3년 이상(Cho & Oh, 2011)이거나 수술 후 경과기간에 대한 제한이 없는 연구(Kang & Suh, 2015)가 많고, 수술 직후 급성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 수술이라는 신체적 경험과 병기를 확인하고 수술 후 보조치료 여부가 결정되는 다양한 정서적 경험을 하는 수술 직후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불편감, 상실감, 가족지지와 회복력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와 회복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유방암 수술 환자의 교육과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수술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2003). 유방암 수술은 신체적 손상이라는 점에서 다른 외과적 손상과 유사하나 여성의 상징성의 상실감과 성정체감, 신체상의 변화를 초래하고(Lim, 2006), 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 표적치료, 호르몬요법과 같은 치료를 받으면서 다양한 신체적 부작용을 경험할 뿐 아니라 피로, 우울, 불안, 인지기능 저하와 같은 심리, 정신적인 측면과 대인관계, 가족관계 변화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adger, Braden, & Mishel, 2000; Kirhbaum, 2005). 유방암 발생률 및 생존율 증가를 고려하면 유방암을 만성 질환처럼 장기적 치료의 관점에서 그 영향을 이해하고, 유방암 치료로 인해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는 환자에게 긍정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하고,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돕도록 유방암 수술환자의 회복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간호의 중요한 문제이다.
회복력은 무엇인가? 회복력은 인간이 삶을 위협하거나 삶의 질을 변화시키는 위기나 역경을 만났을 때 발휘되는 개인의 자질(Hong, 2009)로, 위기상황과 삶의 역경에 긍정적으로 적응하고, 이전 수준의 기능을 회복하는 능력이며, 암 환자의 심리적인 회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개념이다(Koo, 2008). Tusaie와 Dyer (2004)는 회복력을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별 인간반응으로, 그들의 강점을 이용하여 위험상황 이전의 수준, 또는 그 이상의 긍정적인 적응 양상을 얻게 하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 심리적 능력으로 정의하였고, 환경변화에 적응이 빠르고 자기자제에 능력이 있는 사람을 회복력이 높은 사람이라고 하였다.
유방암 수술 환자의 회복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가족지지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로 가족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유방암 수술 환자는 사회적 지지를 필요로 하는데, 사회적 지지는 가족, 친구, 친척, 동료로부터 얻어진다. 가족은 일차적인 환경으로 암 진단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받는 대상이며(Hur, Kim, & Kim, 2003), 가족지지는 다른 어떤 사회적 지지보다 위기에 대처하고, 변화에 적응하도록 대상자를 격려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Kang & Suh, 2015). 특히 가족 중심적인 한국 문화의 특성상 개인의 정신적 문제를 회복하는 데 가족의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Kim, Shin, & Kim, 2011), 유방암 환자는 가족과 삶의 의미를 연결해서 생각하고 가족지지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회복력이 높았다(Kim, Kim, Kim, & Lee, 2015). 따라서 유방암 수술 환자의 회복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가족지지를 확인하는 것은 이들이 경험하는 불안과 신체변화와 같은 부정적 정서를 경감시키고, 치료에 적응하도록 회복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dger, T. A., Braden, C. J., & Mishel, M. H. (2000). Depression burden, self-help interventions and side effect experience in women receiving treatment for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8(3), 567-574. 

  2. Caffo, O., Amichetti, M., Ferro, A., Lucenti, A., Valduga, F., & Galligioni, E. (2003). Pain and quality of life after surgery for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earch Treatment, 80(1), 39-48. 

  3. Cho, E. A., & Oh, H. E. (2011).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1(3), 285-293. 

  4. Fleissig, A., Fallowfield, L. J., Langridge, C. I., Johnson, L., Newcombe, R. G., Dixon, J.M., . . .Mansel, R. E. (2006). Post-operative arm morbidity and quality of life. Results of the ALMANAC randomized trial comparingsentinel node biopsywithstandard axillary treatment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Breast Cancer Treatment, 95(3), 279-293. 

  5. Ha, B. Y., Jung, E. J., & Choi, S. Y. (2014). Effects of resilienc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0(1), 83-91. 

  6. Hong, S. K. (2009). Concept development of resilience : focusing on cancer patients. Journal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5(1), 109-119. 

  7. Hur, H. K., Kim, D. R., & Kim, D. H. (2003). The relationships of treatment side effects,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3(1), 71-78. 

  8. Jeong, K. S., Heo, J. E., & Tae, Y. S. (2014). Relationships among distress,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breast cancer survivors. Asian Oncology Nursing, 14(3), 146-154. 

  9. Kang, H. S., & Han, S. S. (2000). A comparative study on symptoms, living activities,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betwee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fibromyalgia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7(1), 25-39. 

  10. Kang, J. Y., & Suh, E. Y. (2015). The influence of stress, spousal support, and resilience on the ways of coping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15(1), 1-8. 

  11. Kim, E. M., Kim, S. H., Kim, S., & Lee, Y. J. (2015). Resilience and related factors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15(4), 193-202. 

  12. Kim, J. I., & Byeon, Y. S. (201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resilience in patients with colon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13(4), 256-264. 

  13. Kim,S. N. (1999). Astructuralmodel for quality of life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9(2), 161-173. 

  14. Kim, Y. H., Shin, S. H., & Kim, J. S. (2011). Effects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on the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2(2), 113-119. 

  15. Kirhbaum, M. (2005). Promoting physical exercise in breast cancer care.Nursing Standard, 19(41), 41-48. 

  16. Koo, B. J. (2008). The influence of resilience, hope, marital intimacy, and family support on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women. Journal Korean Academy Psychiatry Mental Health Nursing, 17(4), 421-430. 

  17. Korea Breast Cancer Society (2015).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in Korea. Retrived http://www.kbcs.or.kr/sub02/sub04.html 

  18. Kwak, S. Y., & Byeon, Y. S. (2013).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Journal of Korean Adult Nursing, 25(1), 95-104. 

  19. Lee, E. K. (2007).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ancer patients. Journal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3(1), 52-58. 

  20. Lee, K. H. (2006). Post-operative morbidity, menopaus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1. Lim, I. S. (2006). Breast cancer, damage body and sense of femininity crisis.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22(4), 5-46. 

  22. Maly, R. C., Umezawa, Y., Leake, B., & Silliman, R. A. (2005). Mental health outcomes in older women with breast cancer: impact of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adjustment. Psychooncology, 14(7), 535-545. 

  23. Manne, S., & Bardt, H. (2008). Intimacy and relationship processes in couple's psychosocial adaptation to cancer. Cancer, 112(11), 2541-2555. 

  24. McCredie,M. R., Dite, G.S., Porter,L.,Maskiell, J., Giles, G. G., Phillps, K. A., . . . Hopper, J. L. (2001). Prevalence of self-reported morbidity following treatment for breast cancer in Austalian breast cancer family study. Breast, 10(6), 515-522. 

  25. Nachreiner, N. M., Dagher, R. K., McGovern, P. M., Baker, B. A., Alexander, B. H., & Gerberich, S. G. (2007). Successful return to work for cancer survivors.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55(7), 290-295. 

  26. Park, J. Y., & Lee, E. O. (2001). The Comparison of sexual behavi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with women without breast cancer. Korean Oncology Nursing, 1(2), 180-190. 

  27. Rietman, J. S., Dijkstra, P. U., Hoekstra, H. J., Eisma, W. H., Szabo, B. G., Groothoff, J. W., & Geertzen, J. H. (2003). Late morbidity after treatment of breast cancer in relation to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review. European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29(3), 229-238. 

  28. Tusaie, K., & Dyer, J. (2004).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18(1), 3-8. 

  29.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2), 165-178. 

  30. Yim, J.W., Yoon, H. S., Bak,O.M., Jo, J. H., Park, S. H., & Lee, S. W. (2011). A qualitative study of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among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3(4), 155-1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