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젊은 유방암 환자의 불확실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부부친밀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Uncertainty on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Breast Cancer Pati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1, 2018년, pp.50 - 58  

오영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  황선영 (한양대학교 간호학부.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on the impact of uncertainty on the quality of life (QoL) of young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pathway analysis with 154 young breast cancer cases in their early diagnosis stage at a m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볼 때, 서구와 비교하여 젊은 여성의 유방암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에서[21] 진단 초기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의 정도와 그 영향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단 초기 젊은 유방암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의 주요 원천인 배우자와의 관계에 주목하고 환자와 배우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을 둔 부부친밀도가 불확실성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인과적 구조를 확인하는 것은 임상실무에서 유방암 진단 후 수술을 앞두고 불확실성 속에서 투병을 시작하는 젊은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 가족, 특히 배우자의 지지와 참여를 유도하는 간호 중재의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도 기준으로 전체 유방암 환자의 연령과 생존율을 무엇을 의미하는가? 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1]. 이는 많은 수의 50세 미만의 젊은 유방암 환자들이 오랜 기간동안 만성질환자이자 암환자로서의 삶에 심리적·신체적으로 적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이에 따른 그들의 삶의 질의 변화를 중요하게 사정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지금까지 젊은 유방암 여성의 관점에서 그들의 삶의 질을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불확실성과 심리사회적 적응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특히 불확실성은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는데[6], 젊은 유방암 환자의 경우에서 하위영역별로 보았을 때 유방암 기타영역을 제외한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기능적 영역의 삶의 질을 모두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 또한 유방암 1, 2기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불확실성은 환자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니는 변수로서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8]. 하지만 불확실성이 사회적 자원과 환자 주변의 지지로 인해 의미있는 기회로 평가된다면 환자의 삶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9].
배우자지지나 부부친밀도는 유방암 환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유방암 환자에게 사회적지지는 대부분 배우자지지로 인식되며 배우자의 반응(Responsiveness)이나 회피(Avoidance) 등의 행위는 상호작용을 통해 배우자간의 친밀도에 영향을 준다[15]. 이러한 배우자지지나 부부친밀도는 그 정도에 따라 배우자가 환자에게 정서적 안정이나 질병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 긍정적인 역할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배우자가 환자에게 불안,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16]. 유방암 환자는 부부친밀도가 높을수록 질병과정에 더 잘 적응하였으며[17], 부부친밀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18,19] 삶의 질 하위영역인 유방암 기타영역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by statistics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2018 [cited 2018 Jan 24]. Available from: https://www.cancer.go.kr/lay1/S1T639C643/contents.do. 

  2. Statistics Korea. KOSIS statistics [Internet]. Daejeon: Cancer b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c2018 [cited 2018 Jan 24].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N_A00023&conn_pathI2. 

  3. Syrowatka A, Motulsky A, Kurteva S, Hanley JA, Dixon WG, Meguerditchian AN, et al. Predictors of distress in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7;165(2):229-245. https://doi.org/10.1007/s10549-017-4290-9 

  4. Elmir R, Jackson D, Beale B, Schmied V. Against all odds: Australian women's experiences of recovery from breast canc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9(17-18):2531-2538.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0.03196.x 

  5. Stava CJ, Lopez A, Vassilopoulou-Sellin R. Health profiles of younger and older breast cancer survivors. Cancer. 2006;107(8):1752-1759. https://doi.org/10.1002/cncr.22200 

  6. Pahlevan Sharif SP. Locus of control, quality of life,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Malaysian breast cancer patients: The mediating role of uncertaint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7;27:28-35. https://doi.org/10.1016/j.ejon.2017.01.005 

  7. Kim J, Kim S, Lee H, Kim SH. The relationship among uncertainty, body image,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young breast cancer survivors. Proceedings of Oncology Nursing Society 41st Annual Congress; 2016 Apr 28-May 1; San Antonio, TX. Pittsburgh (PA): Oncology Nursing Society; c2016. p. 137-138. 

  8. Kim HY, So HS. A structural model for psychosocial adjustment in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1):105-115. https://doi.org/10.4040/jkan.2012.42.1.105 

  9. Mishel MH. Uncertainty in illnes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88;20(4):225-232. https://doi.org/10.1111/j.1547-5069.1988.tb00082.x 

  10. Emmers TM, Canary DJ. The effect of uncertainty reducing strategies on young couples' relational repair and intimacy. Communication Quarterly. 1996;44(2):166-182. https://doi.org/10.1080/01463379609370008 

  11. Knobloch LK, Knobloch FL. The role of relational uncertainty in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ionship quality: A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Journal of Social & Personal Relationships. 2010;27(1):137-159. https://doi.org/10.1177/0265407509348809 

  12. Kimberley D. Living with uncertainty: The impact on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ir intimate partners [dissertation]. Fort Lauderdale (FL): Nova Southeastern University; 2014. p.1-139. 

  13. Salakari M, Pylkkanen L, Sillanmaki L, Nurminen R, Rautava P, Koskenvuo M, et al. Social support and breast cancer: A comparatory study of breast cancer survivors, women with mental depression, women with hypertension and healthy female controls. Breast. 2017;35:85-90. https://doi.org/10.1016/j.breast.2017.06.017 

  14. Kroenke CH, Kubzansky LD, Schernhammer ES, Holmes MD, Kawachi I.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survival after breast cancer diagno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6;24(7):1105-1111. https://doi.org/10.1200/JCO.2005.04.2846 

  15. Manne S, Badr H. Intimacy and relationship processes in couples'psychosocial adaptation to cancer. Cancer. 2008;112(11 Suppl):2541-2555. https://doi.org/10.1002/cncr.23450 

  16. Keesing S, Rosenwax L, McNamara B. A dyadic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impact of breast cancer on relationships between partners during early survivorship. BMC Womens Health. 2016;16:57. https://doi.org/10.1186/s12905-016-0337-z 

  17. Moreira H, Canavarro MC. Psychosocial adjustment and marital intimacy among partners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 comparison study with partners of healthy women.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13;31(3):282-304. https://doi.org/10.1080/07347332.2013.778934 

  18. Wimberly SR, Carver CS, Laurenceau JP, Harris SD, Antoni MH. Perceived partner reactions to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east cancer: Impact on psychosocial and psychosexual adjus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005;73(2):300-311. https://doi.org/10.1037/0022-006X.73.2.300 

  19. Park JH, Bae SH, Lee EH. The influence of marital intimacy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0;10(4):177-184. 

  20. Kwan ML, Ergas IJ, Somkin CP, Quesenberry CP Jr, Neugut AI, Hershman DL, et al. Quality of life among women recently diagnosed with invasive breast cancer: The pathways study.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0;123(2):507-524. https://doi.org/10.1007/s10549-010-0764-8 

  21.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17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Internet]. Seoul: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c2017 [cited 2017 Nov 11]. Available from: http://www.kbcs.or.kr/sub02/sub04.html. 

  22. Stevens J.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3rd ed. Mahwah (NJ): Lawrence Eribaum Associates; 1996. p. 371. 

  23. Chung C, Kim MJ, Rhee MH, Do HG. Functional statu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1):58-66. 

  24. Waring EM, Reddon JR. The measurement of intimacy in marriage: The waring intimacy questionnair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83;39(1):53-57. https://doi.org/10.1002/1097-4679(198301)39:1 3.0.CO;2-0 

  25. Kim SN.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1):161-173. https://doi.org/10.4040/jkan.1999.29.1.161 

  26. Brady MJ, Cella DF, Mo F, Bonomi AE, Tulsky DS, Lloyd SR,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quality-of-life instrument.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997;15(3):974-986. https://doi.org10.1200/JCO.1997.15.3.974 

  27. Park YJ. Uncertainty, anxiety, and social support among preoperative patients of cancer: A correlational study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p. 1-63. 

  28. Yoo YS, Hwang KH, Cho OH. Conflict resolution styles, marital intimacy and family functions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their spou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1):33-40. https://doi.org/10.7475/kjan.2013.25.1.33 

  29. Janz NK, Mujahid MS, Hawley ST, Griggs JJ, Alderman A, Hamilton AS, et al. Racial/ethnic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fter diagnosis of breast cancer.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2009;3(4):212-222. https://doi.org/10.1007/s11764-009-0097-y 

  30. Jo KH, Son BK. The relationship of uncertainty, hop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7):1184-1193. https://doi.org/10.4040/jkan.2004.34.7.11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