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공영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적 생리활성
Functional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araxaci Herb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0, 2008년, pp.1231 - 1237  

임애경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 ,  김정옥 ((재)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  정미정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  정희경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 ,  홍주헌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 ,  김대익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공영의 총 페놀함량에서는 열수 추출물 7.80$\pm$0.97 mg/g, 에탄올 추출물 9.12$\pm$0.51 mg/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열수 추출물 54.20$\pm$1.95 mg/g, 에탄올 추출물 79.43$\pm$4.44 mg/g으로 항산화 활성에 관련된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이 에탄올 추출물에 많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공여능에 있어서도 포공영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 $IC_{50}$값에 비해 3배 정도의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pH 조건하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18.34$\sim$37.26 $\mu$g/mL,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6.60$\sim$49.03 $\mu$g/mL의 범위로 분석되었으며, 농도에 따른 유의적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elastase 저해활성은 모든 추출물에서 대조구에 비해 다소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포공영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나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biological effects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araxacum mongolicum (TM). Then, the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M were measured for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henolics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nitrite-scaveng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 기전으로는 멜라닌 생성의 효소인 tyrosinase 효소 자체를 직접 억제하는 유형과 세포로부터 분리한 tyrosinase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억제를 나타내지 않지만 피부 색소 세포 내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유형이 있다(39,40). 본 연구에서는 포공영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색소의 중요한 단계를 촉진하는 효소인 tyrosinase 활성의 저해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각 농도에 따른 tyrosinase의 저해활성을 비교하였다(Table 2). 시료들의 농도를 100~10,000 μg/mL로 하였을 때 열수 추출물 3.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공영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IC50 values represent the concentration requires for 50% inhibition of elastase.
  • 2)IC50 values represent the concentration requires for 50% inhibition of tyrosinase.
  • 3)All values are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있는 항산화제로 어떤 것이 있는가? 특히, 노화 억제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진 기능성 항산화 활성을 가진 식의약품 및 미백효과와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5,6). 활성산소는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하여 세포와 각종 조직을 파괴하는데 이러한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항산화제로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reductase 등의 효소 계열의 예방적 항산화제와 phenol성 화합물, flavone 유도체, tocopherol 물질, 비타민류 물질들이 있다(1,2,4,6). 또한 피부에 활성산소의 자극으로부터 발생하는 피부노화 현상은 여러 가지 구조적, 기능적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elastase 저해 물질로 알려진 ursolic acid를 대조군으로 하여 포공영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어떻게 나타났는가? 피부주름 개선 물질로서의 포공영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elastase 저해 물질로 알려진 ursolic acid를 대조군으로 하여 포공영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시료들의 농도를 100~10,000 μg/mL로 하였을 때 열수 추출물의 저해활성은 0.28~12.19%, 에탄올 추출물은 0.61~21.62%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으로 사용된 ursolic acid에 비해 약한 활성을 보였다.
포공영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은 무엇인가? 또한 예로부터 민들레의 어린 순과 뿌리는 나물이나 국 그리고 구황식물 등으로 식용되었고, 서양에서는 잎은 샐러드용, 뿌리는 커피대용, 꽃은 와인재료로 이용되어 왔다(12). 포공영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전초에서 taraxasterol, taraxerol(13), 꽃에서 arnidiol, lutein, flavoxanthine 등의 성분이 분리되었으며(14), 잎에는 lutein, violaxanthin, plastoquino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guainolide sesquiterpene인 desacetylmatricarin(austricin)은 항 알러지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또한 포공영은 인체에 유해한 각종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항균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6,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Evance CR, Halliwell B, Lunt GG. 1995.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environment, drugs and food additives. Portland press, London, England. p 1-31 

  2. Sozmen EY, Tanyakin T, Onat T, Kufay F, Frlacin S. 1994. Ethanoli-induced oxidative stress and membrane injury in rat erythrocytes. Eur J Clin Chem Clin Biochem 32: 741-744 

  3. Kim HK, Kwon YJ, Kim YE, Nahmang B. 2004.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 J Food Preserv 11: 88-93 

  4. Kim TK, Shin HD, Lee YH. 2003. Stabilization of polyphenolic antioxidants using inclusion complexation with cyclodextrin and their utilization as the fresh-food preservative. Kor J Food Sci Technol 35: 266-271 

  5. Bae KH. 2000.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nhak Pub.Co., Seoul, Korea 

  6. Ali KA, Abdelhak M, George B, Panagiotis K. 2005. Tea and herbal infusion: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propolis. Food Chem 89: 27-36 

  7. Voegeli R. 1996. Elastase and tryptase determination on human skin surface. Cosmetic & Toiletries 111: 51-58 

  8. Kim JA, Choi JY, Son AR, Park SH, Xu GH, Lee JG, Oh IS, Kim JJ, Chang HW, Chung SR, Jang TS, Lee SH. 2004. Inhibitory effect of some natural polyphenols isolated from Euphobiaceae plants on melanogenesis. Kor J Pharmacogn 35: 157-163 

  9. Mishima Y, Hatta S, Ohyama Y. 1988. Induction of melanogenesis wuppression: cellular pharmacology and mode of differential action. Pigment Cell Res 1: 367-374 

  10. Lee SY, An JH, Cho HY. 200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MP-1 inhibitor peptide from Crataegue pinnatifida bunge in fibroblast cell line HS68 cells.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60-65 

  11. Lee EB, Kim JK, Kim OK. 1993. The antigastritic effect of Taraxaci Herba. Kor J Pharmacogn 24: 313-318 

  12. Kang MJ, Kim KS. 2001.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Food Ind Nutr 6: 60-67 

  13. Ahmad VU, Yasmeen S, Ali Z, Khan MA, Choudhary MI, Akhtar F, Miana GA, Zahid M. 2000. Taraxacin, a new guaianolide from Tarazacum wallichii. J Nat Prod 63: 1010-1011 

  14. Kim TJ.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Co., Seoul, Korea 

  15. Cheong H, Choi EJ, Yoo GS, Kim KM, Ryu SY. 1998. Desacetylmatricarin, an anti-allergic component from Taraxacum platycarpum. Plant Med 64: 577-578 

  16. Kisiel W, Barszez B. 2000. Further sesquiterpenoids and phenolics from Taraxacum offivale. Fitoterapia 71: 269-273 

  17. Takasaki M, Konoshima T, Tokuda H, Arai Y, Shiojima K, Ageta H. 1999.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Biol Pharm Bull 22: 602-605 

  18. Lee JM, Son ES, Oh SS, Han DS. 2001.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Kor J Dietary Culture 16: 504-514 

  19. Amerinem MA, Ough CS. 1958. Method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 Wiley & Sons, New York. p 176-180 

  2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Kato HI, Lee E, Chyu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2. Kim DS, Ahn BW, Yeum DM, Lee DH, Kim SB, Park YH.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1.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Bull Korean Fish Soc 20: 463-468 

  23. Marklund G, Marklund S.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4. James AEK, Timothy DW, Gorden L. 1996. Inhibition of human leukocyte and porcin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yrosin inhibitors. Biochemistry 35: 9090-9096 

  25. Yagi A, Kanbara T, Morinobu N.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3981: 517-519 

  26. Choi SY, Lim SH, Kim JS, Ha TY, Kim SR, Kang KS, Hwang IK. 2005.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7: 549-556 

  27.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 J Food Sci Thechnol 26: 310-316 

  28.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29. Park YB, Lee TG, Kim OK, Do JR, Yeo SG, Park YH, Kim SB. 1995. Characteristics of nitrite scavenger derived from seed of Cassiatora L. Kor J Food Sci Technol 27: 124-128 

  30. Kim SB, Ahn BW, Yeum DM, Lee DH, Park YH, Kim DS.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2.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seaweed extracts. Bull Korean Fish Soc 20: 469-473 

  31. Joung YM, Park SJ, Lee KY, Lee JY, Suh JK, Hwang SY, Park KE, Kang MH.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lium species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reial parts. Kor J Food Sci Technol 39: 452-457 

  32. Kitani K, Minami C, Amamoto T, Kanai S, Ivy GO, Carrillo MC. 2002.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orders: potentials of propargylamines for human use. Ann N Y Acad Sci 959: 295-307 

  33. Lee YS, Joo EY, Kim NW.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Lespedeza bicolor. Kor J Food Preserv 12: 75-79 

  34. Lee YS. 2007.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Kor J Food Preserv 14: 78-86 

  35. An BJ, Lee JT. 2002.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from extract of Crataegi fructus. Kor J Herbology 17: 29-38 

  36. Hong HD, Kand NK, Kim SS. 1998.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37. Lim JD, Yu CY, Kim MJ, Yun SJ, Lee SJ, Kim NY, Chung IM. 2004. Comparisi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s. Kor J Medicinal Crop Sci 12: 191-202 

  38. Pawelek JM, Korner AM. 1982. The biosynthesis of mammalian melanin. Amer Sci 70: 136-141 

  39. Kahn V, Andrawis A. 1985.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by tropolone. Phytochemistry 24: 905-909 

  40. Tomita K, Oda N, Ohbayashi M, Kamei H. 1990. A new screening method for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using Streptomyces bikiniensis. J Antibiotics 43: 1601-1604 

  41. Lee SH, Shin DJ, Kim DW, Jun JB, Kim JC, Chung SL. 1999. Level of plasma elstase- $\alpha$ 1-proteinase inhibitor in patients with Behcet's disease. Annals of Dermatology 11: 9-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