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even Acupoints for Stroke and reveal the meaning of the composition of that. Methods : 1. The authors reviewed several literatures and studies related with the Seven Acupoints for Stroke. 2. We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Seven Acupoint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저자는 中風이 주로 stress와 관련된 마음의 火, 그리고 무절제한 식생활에 기인한다는 中風七處穴에 내포된 병리적 의미를 제시함과 동시에, 예방의학적 관점에서 중풍의 예방을 위해 무절제하며 서구화된 식생활을 탈피할 것과,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도 여유를 갖고 지나친 경쟁의식과 조급한 마음을 버려야 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中風七處穴에 대한 역대 의가들의 언급과 현대적 연구 결과를 고찰하고 처방의 구성 및 효능과 관련된 경락학적 작용기전 등을 탐구하여 약간의 知見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특징은? 한의학에서 중풍에 해당하는 뇌졸중은 세계적으로 3대 사망원인에 속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사망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1). 현대의학에서는 발생원인에 따라 뇌출혈, 뇌혈전증, 뇌색전증, 일과성뇌허혈, 지주막하출혈, 급성뇌부종, 동정맥기형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한의학은 偏身不遂, 卒倒, 人事不省, 口眼喎斜, 言語蹇澁 등에서 중풍에 해당하는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1,2).
뇌졸중을 어떻게 분류하는가? 한의학에서 중풍에 해당하는 뇌졸중은 세계적으로 3대 사망원인에 속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사망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1). 현대의학에서는 발생원인에 따라 뇌출혈, 뇌혈전증, 뇌색전증, 일과성뇌허혈, 지주막하출혈, 급성뇌부종, 동정맥기형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한의학은 偏身不遂, 卒倒, 人事不省, 口眼喎斜, 言語蹇澁 등에서 중풍에 해당하는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1,2).
중풍의 원인은 무엇인가? 중풍의 원인에 대해서 劉河間은 ‘心火暴盛’說을, 李東垣은 ‘正氣自虛’說을, 朱丹溪는 ‘濕痰生熱’說을 각각 주장하였으며, 王安道는 ‘憂喜忿怒에 따른 傷氣’를 원인으로 지적함으로써 중풍병인학설에 일대 공헌을 하였고, 沈金鰲는 ‘肥人多中風’이라고 하여 肥人은 腠理가 치밀해서 鬱滯되기가 쉽고 이에 따라 氣血이 순행하기 어려우므로 중풍이 오게 된다고 하여 환자의 체형에 따른 발병빈도를 언급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이순호, 신경호, 김종욱. 中風七處穴 刺鍼이 腦血流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3) : 83-97. 

  2. 全國韓醫科大學心系內科學敎室. 東醫心系內科學(下). 서울 : 書苑堂. 1995 : 89-91. 

  3. 康丞濬, 朴致相, 朴昌國. 中風七處穴에 대한 考察 -中風의 槪念變化에 따른-. 제한동의학술원논문집. 1998 ; 3(1) : 383-401. 

  4. 程寶書 主編. 鍼灸大辭典 2版. 北京 : 北京科學技術出版社. 1988 : 387. 

  5. 鍼灸資生經 影印本. 서울 : 一中社. 1991 : 第四 25-6. 

  6. 路加針灸硏習中心王. 鍼灸大成校釋. 臺北 : 啓業書局有限公司. 1987 : 1127-8. 

  7. 李經緯, 孫學威 主編. 鍼灸集成. 北京 : 北京市中國書店. 1986 : 卷二 62-3. 

  8. 대한침구학회교재편찬위원회. 鍼灸學(上). 2版. 파주 : 集文堂. 2008 : 29, 64, 243, 288. 

  9. 이봉효, 이윤경, 이경민, 임성철, 정태영, 서정철, 양재하, 최성훈. 筋膜痛症候群과 十二經筋의 比較 考察 및 六經理論에 따른 解釋.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5) : 3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