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적외선 위성자료를 이용한 새만금 해역 해수표면온도 모니터렁
Monitoring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Saemangeum Sea Area Using the Thermal Infrared Satellite Data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5 no.4, 2009년, pp.339 - 357  

윤석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 ,  유주형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 ,  민지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 ,  안유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 ,  이석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방제연구부) ,  원중선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만금간척 사업은 국책사업으로 33km방조제를 건설하여 401 km$^2$의 대규모 연안 지역을 간척하기 위하여 1991년에 착공되었다. 2006년 4월에 끝물막이 공사가 완공되어 갯벌이 호수와 육지로 바뀌었다. 완공으로 방조제 내측의 하구역 조석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조제 외측의 연안 해양 환경의 변화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번 연구에서는 새만금 주변 해역에 대해 Landsat-5/7 위성과 NOAA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방조제 완공 전후에 SST의 공간변화를 연구하였다. 타워, 부이, 실측자료 등 다양한 현장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위성 SST를 검증한 결과, 0.96 이상의 상관관계와 약 1$^{\circ}C$ 정도의 RMSE 값을 보였다. 1985년부터 2007년까지 38개의 Landsat 영상을 분석하여 새만금 방조제 건설 전후의 연안 SST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공간적으로 자세한 SST 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지만, 환경 요인이 다른 38개의 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새만금 방조제 건설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시간 해상도가 우수한 NOAA 자료를 이용하여 새만금 내외측 해역의 온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방조제 내측은 여름철 온도의 증가로 여름-겨울철 간의 SST의 상승폭이 커서 계절간 SST 변화가 두드러졌고, 방조제 외측은 큰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해상도가 다른 열적외선 위성자료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여 연안 해역에서의 SST 공간 변화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was launched as a national project in 1991 to reclaim a large coastal area of 401 km$^2$ by constructing a 33-km long dyke. The final dyke enclosure in April 2006 has transformed the tidal flat into lake and land. The dyke construction has abruptly chang...

주제어

참고문헌 (51)

  1. 국립수산과학원해양수산연구정보/연안정지관측자료

  2.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1시간 자료

  3. 김창수, 이상호, 손영태, 권효근, 이광희, 김영배, 정우진, 2006. 새만금 4호 방조제 완성 전후 HF 레이더로 관측된 표층 M2 조류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1(2): 37-48 

  4. 민지은, 유주형, 안유환, 이규성, 2006. Landsat M/ETM+ 연안 부유퇴적물 알고리즘 개발-새만금 주변해역을 중심으로, Korea Journal of Remote Sensing, 22(2): 87-99 

  5. 박경애, Sakaida, F. Kawamura, H., 2008. 인공위성관측 해수면온도와 현장관측 수온의 비교를 통해 본 해양 피층-표층 수온의 차이,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4(4): 273- 287 

  6. 박유철, 김강주, 2003. 새만금 방조제에서 해수-담수 경계면 예측,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 발표회 논문집, 제주, 9월 26-27일, 532-535 

  7. 신재범, 김숙양 이삼근, 김학균, 김창훈, 2003. 새만금 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 한국해양학회 춘계 발표회 논문집, 제주, 2003년 5월 15-16일, 9-10 

  8. 안순모, 이재학, 우한준, 구본주, 이형곤, 유재원, 제종 길, 2006. 새만금 방조제 공사로 인한 조하대 환경과 저서동물 군집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8(4): 367-383 

  9. 우한준, 최재웅, 안순모, 권수재, 구본주, 2006. 새만금방조제공사로 인한 조하대 환경과 저서동물 군집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8(4): 361-368 

  10. 이관홍, 이희준, 2008. 새만금 해역에서 연직 1차원 퇴적물 확산모델 검증, Ocean and Polar Research, 30(4): 537-543 

  11. 이상호, 최현용, 손영태, 권효근, 김영곤, 양재삼, 정해진, 김종구, 2003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 순환,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2): 138 -150 

  12. 이상호, 최현용, 양재삼, 2000. 새만금 연안역의 해수순환, 해양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서울, 10월 27-8일, 27-28 

  13. 이훈열, 한향선, 2005. Landsat 시계열 영상을 이용한 한강수계 호수수온과 계절적 성층 현상분석, Korea Journal of Remote Sensing, 21(4): 253-271 

  14. 이희준, 김민지, 김태경, 2008. 고군산군도 내측해역의 현생퇴적환경, Ocean and Polar Research, 30(4): 519-536 

  15. 전형욱, 손병주, 2009. NOAA AVHRR자료를 이용한 해수면온도 산출에 황사가 미치는 영향, Korea Journal of Remote Sensing, 25(1): 45-49 

  16. 정종철, 유신재, 1999. Landsat TM을 이용한 표층수온 분석 오차, Korea Journal of Remote Sensing, 15(1): 1-8 

  17. 정종철, 윤홍주, 서영상, 2005. 적조의 공간적 특성과 해수온도변화, GIS/RS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서울, 2005년 4월 27-28, 237-240 

  18. 주용기, 2007. 새만금 갯벌은 살고 싶다, 환경과 생명, 52(6): 155-161 

  19. 최진용, 1993.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계절적변동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28(4): 272- 280 

  20. 한국해양연구원 새만금해양환경연구센터 홈페이 

  21. 해양수산부, 1999. 새만금 방조제 주변 부유물질의 거동특성과 인공 갯벌의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연구원, BSPE 99772-00-1232-5, 40-45 

  22. 해양수산부, 2003.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 연구 (1차년도), 한국해양연구원, BSPM139-08-1514-1, 35-40 

  23. 해양수산부, 2005.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 연구 (3차년도) 평가·예측분야, 한국해양연구원, BSPM 26001-1691-2, 128-129 

  24. 해양수산부, 2006. 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 연구 (3차년도)평가·예측분야, 한국해양연구원, BSPM 37903-1844-1, 139-140 

  25. Bertram, D. F., L. Macks, and S. M. McKinnell, 2001. The seasonal cycle revisited, interannual variation and ecosystem consequences. Progress in Oceanography, 49: 283-307 

  26. Colwell, R. N., 1997. 'History and place of Photographic Interpretatio', in manual of photographic Interpretation, American Societ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33-48 

  27. Emery, W. J., S. Castro, G. A. Wick, P. Schuessel, and C. Donlon, 2001. Estimating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infrared satellite and in situ 

  28. George L. P. and J. E. William, 1982. Descriptive physic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Pergamon Press. Elmsford, New York, USA 

  29. Handcock, R. N., A. Gillespie, K. Cherkauer, K. E. Burges, J. K. 2006. Accuracy and uncertainty of thermal-infrared remote sensing of stream temperature at multiple spatial scal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0: 427-440 

  30. Jeremy I. F. and F. M. John, 2004. High spatial resolution sea surface climatology from Landsat thermal infrared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0: 293-307 

  31. Kabbara, N., B. Jean, A. Mohamed, and B. Vittorio, 2008. Monitoring water quality in the coastal area of Tripoli (Lebanon) using highresolution 

  32. Kilpatrick, K. A., G. P. Podesta, and R. Evans, 2001. Overview of the NOAA/NASA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Pathfinder algorithm for 

  33. Lee S., H. J. Lie, K. M. Song, C. H. Cho, and E. P. Lim, 2008, Tidal Modification and Its Effect on Sluice-Gate Outflow after Completion of 

  34. Lee, H. J. and S. O. Ryu, 2008. Changes in topography and surface sediments by the Saemangeum dyke in an estuarine complex, west coast of korea. Continuous Shelf Research, 28: 1177-1189 

  35. Li, X., W. Pichel, P. Clemente-Colon, and J. S. Krasonplsky, 2001. Validation of coastal sea and lake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s derived from NOAA/AVHRR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2: 1285-1303 

  36. Lie H. J., C. Ho. Cho, S. Lee, E. S. Kim, B. J. Koo, and J H. Noh, 2008.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by a large coastal development 

  37. Lukimat, T., S. Sei-Inchi, I. Takahiro, H. Toru, and I. Kohji, 2008. Satellite-measured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he Tokachi River plum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78: 237-249 

  38. Mathew, K., C. M. Magarani, and A. S. Kirankunar, 2001. Split-window and multi-angle method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etermination: an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2(16): 3237 - 3251 

  39. McClain E. P., W. Pichel, and C. Walton, 1985. Comparative performance of AVHRR-based multichannel sea surface temperatr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0: 11,587-11,601 

  40. Nalli, N. and L. L. Stowe, 2002. Aerosol correction for remotely sensed sea surface temperatures from the National Oceanic Atmospheric 

  41. Roundtree, R., D. Borkman, W. Brown, Y. Fan, and et al. 2003. Frame-work for formulating the Mount Hope Bay Natural Laboratory: A synthesis and summary. Final Draft. Dartmouth: The School for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of Massachusetts. 191-192 

  42. Schreiber, K. and W. Mauser, 1996. Processing and accuracy of Landsat thematic mapper data for lake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7: 2027-2041 

  43. Suga, Y., H. Ogawa, and K. Yamada, 2003. Detection of surface temperature from Landsat-7/ETM+, Advanced Space Research, 32(11): 2235-2240 

  44. Tang, D., D. Kester, Z. Wang, J. Lian, and H. Kawamura, 2003. AVHRR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shipboard measurements of the 

  45. Thomas, A. C., D. Byrne, and R. Weatherbee, 2002. Coastal sea surface temperature variability from Landsat infrared data. Remote Sensing Environment, 81: 262-272 

  46. Uncles, R. J. and J. A. Stephens, 2001. The annual cycle of temperature in a temperate estuary and associated heat flus to the coastal zone. Journal of Sea Research, 46: 143-159 

  47. Vagas-Yanez, M., F. Plaza, J. Garcia-Lafuente, T. Sarhan, J. M. Vargas, and P. Veles-Belchi, 2002. About the seasonal variability of the Alboran Sea circulation. Journal of Marine Systems, 35: 229-248 

  48. Walton, C., 1988. Nonlinear multichannel algorithm for estimating sea surface temperature with AVHRR satellite data. Journal of Applied meteology, 27: 115-124 

  49. Xing, Q., C. Chen, and P. Chi, 2006. Method of integrating Landsat-5 and Landsat-7 data to retrieve sea surface temperature in coastal waters on the basis of local empirical algorithm, 41(2): 97-104 

  50. Yokoyama, 1995. Sea surface effects 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estimation by remote sen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6(2): 227-238 

  51. Landsat project Science Office, 2006. Landsat 7 Science Data User’s Handbook. Available fro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