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요인이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Life Style Characteristics on Prevalence Risk of Metabolic Syndrom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4, 2009년, pp.594 - 601  

유지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정정인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심장혈관병원) ,  박창기 () ,  강세원 ,  안정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life style characteristics on the prevalence risk of metabolic syndrome (MS). Methods: A total of 581 adults were recruited from a cardiovascular outpatient clinic. A newly developed comprehensive life style evaluation tool for MS pat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종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대사증후군의 평균 진단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만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분석결과가 각 개인의 대사증후군 발생 패턴이 동일하지 않으면 실제 개인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위험도를 파악하는데 그리 효과가 있다고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 통계기법을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 즉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을 얼마나 충족한 상태인지에 더불어 어떤 진단항목에서 충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각 대상자에게 개별적으로 접근하여 식습관 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을 유무로만 분석하지 않고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에 따라 대사증후군을 점수로써 파악하고 이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일원분산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 제시함으로써, 대사증후군의 유무에 따른 생활습관의 관계에 대해서만 파악했던 이전의 연구들과 이들 결과를 기반으로 다소 무리한 이분법적 적용을 했다고 생각되는 중재 프로그램들에서 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점 등을 극복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해 볼 수 있겠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생활습관을 대사증후군과 관련한 건강행위의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측정키 위해 개발된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생활습관 평가 도구’(Kang, 2007)를 이용하여 생활습관 요인이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 앞서 언급된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에 대한 비평, 즉 cutoff point 설정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이분형 변수(binary variable)화로 연구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과 대사증후군의 5개 진단 기준 각각을 점수화해 점수 순위에 따라 분석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ordinal logistic regression)을 함께 적용하여 그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생활습관 요인이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 발병위험도가 높은 그룹의 존재와 그 특성을 파악하고, 어떠한 구체적인 생활습관 요인이 대사증후군의 유병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은 의학적 치료에 더불어 잘못된 생활습관의 교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질환인 이유는? , 2007). 또한 생활습관 요인들이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생활습관의 중재가 대사증후군의 발병을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Azadbakht, Mirmiran, Esmaillzadeh, Azizi, & Azizi, 2005; Giugliano, Ceriello, & Esposito, 2006; Hu et al., 2003; Kim & Yang, 2005; Wirfa_lt et al.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1980년대“Syndrome X”(Reaven, 1988)로 미국에서 거론되기 시작하였고, 내당능장애(glucose intolerance)가 고혈압, 이상지혈증, 복부비만 등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5가지 진단기준 중 3가지 이상을 충족할 때 대사증후군으로 분류되어 왔으며(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 2001), 최근 일각에서는 이렇게 단순화한 진단 분류 기준에 대한 비평이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Kahn, Buse, Ferranini, & Stern, 2005).
2004년 Ford에 따르면 미국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이는 5가지 진단기준 중 3가지 이상을 충족할 때 대사증후군으로 분류되어 왔으며(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 2001), 최근 일각에서는 이렇게 단순화한 진단 분류 기준에 대한 비평이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Kahn, Buse, Ferranini, & Stern, 2005). 대사증후군은 미국에서 성인 4명 중 1명, 60세 이상에서는 40% 이상의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으며(Ford, 2004), 서구에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7%)를 비롯한(Lee et al., 2004) 아시아 지역(인도: 32%)에서도(Gupt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Nutrition Committee. (2006). Diet and lifestyle recommendations revision 2006: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Nutrition Committee. Circulation, 114, 82-96 

  2. Azadbakht, L., Mirmiran, P., Esmaillzadeh, A., Azizi, T., & Azizi, F. (2005). Beneficial effect of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eating plan on features of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8, 2823-2831 

  3. Eckel, R. H., Barouch, W. W., & Ershow, A. G. (2002). Report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Working Group on the pathophysiology of obesity-associated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105, 2923-2928 

  4.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Computers, 28, 1-11 

  5. Ford, E. S. (2004).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US populations.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Clinics of North America, 33, 333-350 

  6. Ford, E. S., Giles, W. H., & Dietz, W. H. (2002).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 356-359 

  7. Giugliano, D., Ceriello, A., & Esposito, K. (2006). The effects of diet on inflammation: Emphasis on the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48, 677-685 

  8. Grundy, S. M., Cleeman, J. I., Daniels, S. R., Donato, K. A., Eckel, R. H., & Franklin, B. A. (2005).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12, 2735-2752 

  9. Gupta, R., Deedwania, P. C., Gupta, A., Rastogi, S., Panwar, R. B., & Kothari, K. (2004).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an Indian urban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97, 257-261 

  10. Henriksen, E. J. (2002). Invited review: Effects of acute exercise and exercise training on insulin resistanc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3, 788-796 

  11. Hu, F. B., Li, T. Y., Colditz, G. A., Willett, W. C., & Manson, J. E. (2003). Television watching and other sedentary behaviors in relation to risk of obesity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in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 1785-1791 

  12. Hu, G., Jousilahti, P., Borodulin, K., Barengo, N. C., Lakka, T. A., Nissinen, A., et al. (2007). Occupational, commuting,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in relation to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middle-aged Finnish men and women. Atherosclerosis, 194, 490-497 

  13. Isomaa, B., Almgren, P., Tuomi, T., Forsen, B., Lahti, K., Nissen, M., et al. (2001).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4, 683-689 

  14. Kahn, R., Buse, J., Ferranini, E., & Stern, M. (2005). The metabolic syndrome: Time for a critical appraisal. Joint statement from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nd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Diabetologia, 48, 1684-1699 

  15. Kang, S. W. (2007). Development of a lifestyle evaluation tool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6. Kim, Y. H., & Yang, Y. O. (2005).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858-867 

  17. Lee, W. Y., Park, J. S., Noh, S. Y., Rhee, E. J., Kim, S. W., & Zimmet, P. Z. (2004).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40,698 Korean metropolitan subject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65, 143-149 

  18. Miyatake, N., Kawasaki, Y., Nishikawa, H., Takenami, S., & Numata, T. (2006).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Okayama prefecture, Japan. Internal Medicine, 45, 107-108 

  19.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01).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5, 2486-2497 

  20. Oh, E. G., Bang, S. Y., Hyun, S. S., Chu, S. H., Jeon, J. Y., & Kang, M. S. (2007). Knowledge,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about metabolic syndrome for an at risk group in an rural community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790-800 

  21. Ohta, Y., Tsuchihashi, T., Ueno, M., Kajioka, T., Onaka, U., Tominaga, M., et al. (2004).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salt restriction and the actual salt intake in hypertensive patients. Hypertension Research, 27, 243-246 

  22. Reaven, G. M. (1988). Banting lecture: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Diabetes, 37, 1595-1607 

  23. Riccardi, G., & Rivellese, A. A. (2000). Dietary treat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The optimal diet.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83, S143-S148 

  24. Saito, I., Murata, K., Hirose, H., Tsujioka, M., & Kawabe, H. (2003). Relation between blood pressure control, body mass index, and intensity of medical treatment. Hypertension Research, 26, 711-715 

  25. Tak, Y. R., An, J. Y., Kim, Y. A, & Woo, H. Y. (2007). The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behavior modification combined intervention (PABM-intervention) on metabolic risk factors in overweight and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02-913 

  26. Uzu, T., Kimura, G., Yamauchi, A., Kanasaki, M., Isshiki, K., Araki, S., et al. (2006). Enhanced sodium sensitivity and disturbed circadian rhythm of blood pressure in essential hypertension. Journal of Hypertension, 24, 1627-1632 

  27. Wirfa_lt, E., Hedblad, B., Gullberg, B., Mattisson, I., Andren, C., Rosander, U., et al. (2001). Food patterns and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men and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within the Malmo diet and cancer cohort.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4, 1150-1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