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 월경불편감 및 대처방법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Menstrual Distress and Coping Method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2, 2015년, pp.1118 - 1128  

노윤구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이영숙 (거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 월경불편감 및 대처방법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4년 11월 19일부터 12월 5일까지 K시 소재 K대학 재학 중인 여자 간호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월경불편감은 2.7점으로 78.2%가 호소하였다. 생활습관은 집중저하(r=-.17, p<.05), 행동변화(r=-.14, p<.05)와 음의 상관관계를, 휴식은 집중저하 (r=-.18, p<.05)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음주는 월경불편감(r=-.19, p<.05), 집중저하(r=-.20, p<.05), 행동변화(r=-.18, p<.05), 부정적 정서(r=-.24, p<.05)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월경불편감과 대처방법(r=.54, p<.001)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으로 월경불편감 완화를 위한 교육과 월경불편감을 완화시키는 대처방법에 대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 style, menstrual distress and coping method in nursing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99 nursing students at a nursing college in K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9 to December 5, 2014, and analyzed using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문항은 월경주기에 따른 대처 8문항, 적극적 행동대처 5문항, 적극적 인지 대처 4문항, 회피적 대처 7문항으로 구분된 24문항이었다. 각 문항에 대하여 그 방법에 대해 실시 여부를 확인하고 실시 할 경우 얼마나 효과적으로 불편감이 완화되었는지 표시하도록 하였다. 각 문항들은 5점 likert척도를 사용하여 ‘전혀 효과없음’ 1점, ‘거의 효과없음’ 2점, ‘보통임’ 3점, ‘약간 효과적임’ 4점, ‘아주 효과적임’ 5점으로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대처방법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 월경불편감은 우리나라 간호대학생의 86%이상이 경험하는 건강 문제이므로[3, 13], 미래의 간호 제공자와 건강한 사회인을 준비하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과 월경불편감 및 대처방법의 확인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과 월경불편감 및 대처방법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월경불편감의 효율적인 완화를 위한 건강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 월경불편감 및 대처방법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 월경불편감 및 대처방법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과 월경불편감 및 대처방법의 특성과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여성의 월경 불편감 완화를 위한 건강관리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시도되었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과 월경불편감, 월경불편감과 대처방법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생활습관과 월경불편감의 상관관계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습관이 여성건강 요소인 월경불편감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경불편감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사춘기 이후 가임 능력을 가진 여성은 난소주기에 의한 호르몬 영향으로 자궁내막의 주기적인 변화에 따른 월경을 경험한다. 월경과 관련해서 발생하는 월경불편감(Menstrual distress)은 전통적으로 증상이 발현되는 시기와 골반통증 여부에 따라 월경전증후군과 월경곤란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1]. 월경전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은 배란 후 황체기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신체적, 정서적, 행동적으로 복합된 증후군이 월경 전 약 2∼10일에 나타나서 월경시작 직전이나 직후에 사라지는 것으로 월경주기에 따라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월경전증후군의 증상은? 월경전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은 배란 후 황체기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신체적, 정서적, 행동적으로 복합된 증후군이 월경 전 약 2∼10일에 나타나서 월경시작 직전이나 직후에 사라지는 것으로 월경주기에 따라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관련된 증상은 150∼200여 가지가 넘는데 신체적 증상으로 가스팽만, 유방팽만과 통증, 골반통, 체중증가, 배변장애 등이 있으며 정서장애로는 집중력 장애, 정서 불안, 우울, 식욕변화 등이 흔하고 이로 인한 행동장애로 활동의 제한과 대인기피, 일탈적이고 공격적인 행동 등을 보인다. 월경이 가까워짐에 따라 심한 긴장증을 초래하므로 월경전 긴장증(premenstrual tension, PMT) 또는 월경전 긴장증후군(premenstrual tension syndrome, PTS)이라고도 한다[2].
사춘기 이후 가임 능력을 가진 여성은 어떤 경험을 하는가? 사춘기 이후 가임 능력을 가진 여성은 난소주기에 의한 호르몬 영향으로 자궁내막의 주기적인 변화에 따른 월경을 경험한다. 월경과 관련해서 발생하는 월경불편감(Menstrual distress)은 전통적으로 증상이 발현되는 시기와 골반통증 여부에 따라 월경전증후군과 월경곤란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 H. Lee, H. S. Park, "Maternity & women's health nursing II", pp. 318-319, Seoul : Hyunmoonsa, 2011. 

  2. Women's Health Nursi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s, "Women's health nursing I", pp.330-335, Paju; Soomoonsa, 2012. 

  3. H. S. Choi, E. D. Lee, H. Y. Ahn, "Relationships among premenstrual syndrome, perfection and anxiety among the college student",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Vol. 19, No. 4, pp.265-274, 2013.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4.265 

  4. G. H. Lee, H. S. Jung, D. W. Lee, K. H. Park. "Life style, stress, menstrual history and dietary habits related to primary dysmenorrhea in a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Vol. 35, No. 1, pp.29-39, 2010. 

  5. J. A. Kim, Y. S. Park, "Perimenstrual discomforts and coping methods of female cadets",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Vol. 28, No. 1, pp.84-97, 2010. 

  6. M. A. Shin, M. H. Jeo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2, No. 1, pp.43-51, 2006. 

  7. K. A. Jeong, "Premenstrual syndrome (PMS): Clinical approach of diagnosis and treatment",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50, No. 3, pp.416-422, 2007. 

  8. L. P. Wong, E. M. Khoo, "Dysmenorrhea in a multiethnic population of adolescent Asian girls"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 Obstetrics, Vol. 108, No. 2, 139-14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ijgo.2009.09.018 

  9. S. K. Jo,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job stressors and lifestyle behaviors to psychosocial wellbeing status among hospital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5. 

  10. I. S. Kwon, "The effect of health related habits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s of the rural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2008. 

  11. S. N. Walker, K. R. Sechrist, N. J. Pender,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 36, No. 2, 76-81, 1987.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12. H. W. Kim, "Relationships between sex role identit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remenstrual symptom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7, No. 6, pp.1003-1012, 2007. 

  13. J. E. Song, H. J. Chae, W. H. Jang, Y. H. Park, K. E. Lee, S. H. Lee,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menstrual attitude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9, No. 2, pp.119-128, 2013.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2.119 

  14. W. S. Biggs, R. H. Demuth,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merican Family Physician, Vol. 84, No. 8, pp.918-924, 2011. 

  15. N. Panay, "Treat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A decision-making algorithm", Menopause International, Vol. 18, No. 2, pp.90-92, 2012. DOI: http://dx.doi.org/10.1258/mi.2012.012019 

  16. H. Y. Ahn, H. J. Hyun, H. W. Kim, "Premenstrual discomforts and coping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6, No. 3, pp.289-299, 2005. 

  17. E. M. Jun, "A study on menstrual symptoms, coping and relief of symptoms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9, No. 2, pp.161-169, 2003. 

  18. H. S. Lim, Y. S. Park, "Differences in dietary Intake and life-styl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with and without premenstrual syndrome",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Vol. 16, No. 3, pp.153-161, 2010. 

  19. Y. W. Jo, K. S. Jang, S. H. Park, H. K. Yun, K. S. Noh, S. P. Kim, S. A. Lee, S. H. Ahn, "Relationship between menstruation distress and coping method among 3-shift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Vol. 18, No. 3, pp.170-179, 2012.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3.170 

  20. J. M. Park, "Female worker'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premenstrual discomfort and co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11. 

  21. M. H. Sung, G. O. Min, Y. J. Jang, J. H. Jeon, "Perimenstrual discomforts, coping and relief of symptoms in female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 20, No. 1, pp.57-68, 2006. 

  22. H. J. Kim, "Study on an attitude toward menstruation, perimenstrual symptoms, and coping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1, No. 4, pp.288-295, 2005. 

  23.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No. 2, pp.175-191, 2007. DOI: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24. R. H. Moos, "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atic Medicine, Vol. 30, No. 6, pp.853-867, 1968. DOI: http://dx.doi.org/10.1097/00006842-196811000-00006 

  25. M. K. Chung, "A study on the menstrual knowledge, attitudes, symptoms and coping of the high 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9. 

  26. A. G. Billings, R. H. Moos, "The role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 4, No. 2, pp.139-157, 1981. DOI: http://dx.doi.org/10.1007/BF00844267 

  27. J. Y. Yang, Y. C. Cho,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ttitudes toward Weight Control and Subjective Fatigue Symptoms in Wome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7, 3338-3348,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7.3338 

  28. M. S. Park, K. A. Park, "The differences of dietary and health-related habits, depression, eating disorder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life str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1, 344-355, 2014. 

  29. J. S. Kim, "Factors affecting dysmenorrhea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350-357, 2014.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2.350 

  30. H. K. Chang, "The study of premenstrual syndrome, dysmenorrhea, and stress according to the gender role ident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 19, No. 1, pp.89-9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